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나의 독일유학일기] 동호회, 드라마, 쇼핑 독일어 노출 늘리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독일 드라마가 재미없게 느껴진다면 독일어로 더빙한 미국 드라마를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드라마를 그냥 보기만 해도 도움이 되지만, 드라마에 반복적으로 나오는 단어를 찾고 외우면 어휘력은 더 빨리 는다. 이건 내 경험담이기도 하다. 처음 독일어를 배울 때 나는 미국 코미디 드라마 ... ...
- 지뢰찾기 필승 전략은?수학동아 l2020년 10호
- 곳을 찾았다면 그곳에 깃발을 꽂아서 피해야 한다는 표시를 해두면 된다. 깃발이 하나도 없는 상태에서 처음 고른 것이 지뢰면 어떡하냐고? 걱정하지 마라. 컹! 처음에는 지뢰가 나오지 않으니까 안심하고 골라도 좋다.기본적인 방법은 정말 간단하지만, 지뢰밭이 커지면 커질수록 어려워진다. 킁! ... ...
- IT 기술 총집합 방구석 패션쇼수학동아 l2020년 10호
- 3차원 홀로그램이 보인다. 4개의 영상이 구조물의 각 면에 반사돼 보이는 것이지만, 마치 하나의 입체 영상처럼 보인다. 게임이야, 패션쇼야? AR 패션쇼홍혜진 디자이너는 2018년 봄·여름 시즌 서울패션위크에서 선보인 의상으로 런웨이를 증강현실(AR)로 꾸민 ‘AR 패션쇼’를 열었다. 증강현실이란 ... ...
- [수학뉴스] 전염병 확산 모형으로 예측한 홍수의 진행 방향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어떻게 퍼져나갈지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연구팀은 전염병 확산 모형의 하나인 ‘SEIR 모형’의 원리를 그대로 따르는 새로운 홍수 예측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SEIR 모형에서 감염 대상군인 S는 홍수로 넘친 물이 흘러올 수 있는 길, 접촉군인 E는 인근 수로나 빗물 때문에 물이 차오르기 ... ...
- [오일러 프로젝트] 수학자들의 은밀한 파티 '수은파'수학동아 l2020년 10호
- 학문이 시작되죠. 이 과정에서 특정한 성질을 갖는 수들을 발견했는데요, 그중 하나가 친화수입니다. 예를 들어 220의 약수는 1, 2, 4, 5, 10, 11, 20, 22, 44, 55, 110, 220으로 자기 자신을 제외한 약수, 즉 진약수의 합은 284입니다. 한편 284의 약수는 1, 2, 4, 71, 142, 284로 진약수의 합은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을 때는 언제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우선, 재활용 페트병에 흙이나 모래를 채워 무겁게 만든 후, 페트병 뚜껑에 부품을 하나씩 조립하세요. 그리고 날씨를 관측할 적당한 장소를 찾아 웨더 스테이션을 설치하면 된답니다. 이때, 지면과 너무 가까우면 땅에서 올라오는 열기가 기온 관측을 방해하거나 빗물이 튀어 들어올 수 있으니,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만들어져요. 양성자와 중성자는 각각 세 개의 쿼크가 모여서 만들어지죠.이 쿼크들이 하나의 양성자로 묶이려면 서로 끌어당기는 아주 강력한 힘이 필요해요. 이를 ‘강한 핵력’이라 부르죠. 강한 핵력을 전달하여 쿼크들을 묶어놓는 입자가 바로 ‘글루온’이에요. 글루온(gluon)은 풀의 영어 ... ...
- [특집] 클라우드 속에서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서버에 나눠 병렬로 처리하는 기술이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공급자는 여러 개의 서버를 하나의 서버처럼 엮는다. 조금 어려운 용어로 클러스터링이라고 부르는데, 클러스터링을 하면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간에 몇 개 서버에 장애가 발생해도 나머지 서버에 자동으로 작업을 할당함으로써 ... ...
-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교수는 이를 스페인어가 모국어인 학생들에게 스페인어와 영어로 각각 알려주고 A와 B 중 하나를 고르라 했다. 결과는 예상대로 모국어로 들려줬을 때는 당첨금이 많은 복권 B를, 외국어로 들려줬을 때는 안정적인 복권 A를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다. 언어가 뇌를, 그리고 그 뇌는 행동을 바꾼 것이다 ... ...
- 알고리듬으로 더 빠르게 지뢰를 찾자!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위치를 보고 지뢰가 절대 있을 수 없는 곳을 파악하지. 1 주변의 8칸에 이미 지뢰가 하나 있다면 나머지 7칸에는 지뢰가 없다는 사실을 이용하는 거야. 이 정도의 과정만을 사용해 알고리듬을 만들어도 크기가 9×9인 지뢰밭의 지뢰를 모두 찾을 수 있어. 이 알고리듬을 ‘단순 알고리듬’이라고 하지 ... ...
이전1992002012022032042052062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