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 장의 과학] 120m짜리 거대 해파리의 정체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군체 안에서 어떤 개체는 먹이를 먹는 역할을 하고, 또 다른 개체는 생식을 맡는 등 마치 하나의 생물인 양 서로 역할 분담을 해 함께 살아간답니다.연구팀은 가장 바깥쪽 동그라미를 이루는 군체의 길이를 약 47m로 추정했어요. 이를 바탕으로 전체 길이를 추산하면 120m 정도였죠. 연구에 참여한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그러나 AI 클라우드의 경우엔 불가능하다. AI 모델을 정의하는 인자, 입력 데이터 하나하나가 모두 보호해야 할 정보이기 때문이다. 이런 AI 모델 정보 중 일부라도 노출되면 공격자가 AI 전체 결정 과정에 쉽게 개입할 수 있다. 특히 딥러닝의 인공신경망은 육안으로는 구분할 수 없는 미세한 ... ...
-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4중나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100년도 더 전인 1910년 시작됐다. 당시 과학자들은 고농도의 구아닐산(구아닌에 인산기 하나가 붙은 화합물)으로 겔(gel)을 만들어 4중나선 구조를 연구했다. 그리고 50년 뒤 연구자들은 드디어 겔을 말린 구조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구아닐산 4개가 모여 사각 구조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후 ... ...
- [기초과학의 힘, IBS] 나노입자 연구단, 원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나노입자의 3D 증명사진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나노입자를 원자 수준에서 3차원으로 보는 것이다. 나노입자를 구성하는 원자 하나하나의 배열과 상호작용이 나노입자의 성질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가령 나노입자의 원자 배열이 미세하게 바뀌면 촉매의 활성이 저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색 순도가 바뀌는 등 물성이 달라진다. 나노입자를 관찰할 ... ...
- [서평] 언어가 뇌를, 뇌가 행동을 개조한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교수는 이를 스페인어가 모국어인 학생들에게 스페인어와 영어로 각각 알려주고 A와 B 중 하나를 고르라 했다. 결과는 예상대로 모국어로 들려줬을 때는 당첨금이 많은 복권 B를, 외국어로 들려줬을 때는 안정적인 복권 A를 선택하는 비율이 높았다. 언어가 뇌를, 그리고 그 뇌는 행동을 바꾼 것이다 ... ...
- 지뢰찾기가 수학계 7대 난제라고?수학동아 l2020년 10호
- 밝혀지지 않은 NP 문제 중 ‘NP 완전문제’라는 것을 골라내지. NP 완전문제 중에 단 하나라도 P 문제라는 것이 밝혀지면 P=NP라는 연구가 있었거든. 1999년 수학자 리차드 케야 영국 버밍엄대학교 수학과 교수는 지뢰찾기 문제가 NP 완전문제라는 사실을 밝혔어. NP 완전문제는 다항 시간 안에 P가 아닌 NP ... ...
- [변화3] 사람이 없어도 척척! 무인 사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보였어요. 가장 큰 차이점은 결제하는 계산대가 없다는 것이었죠. 매장을 돌아보며 음료 하나와 화장품, 컵라면을 골라 들었어요. 이후 매장을 나오기 전 선택한 상품 중 컵라면은 제자리에 두었지요. 총 두 개의 상품을 들고 출구 앞에 서자 문이 저절로 열렸고, 가게 밖으로 나왔어요. 순간, ... ...
-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밀도만 높을 뿐, 크기는 야구공보다 약 1조 배나 작기 때문이에요. 총 에너지가 작은 사탕 하나를 약 30조각으로 쪼개 한 조각만 먹으면 얻을 수 있는 1kcal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지요. 사탕이 우주를 위협할 수는 없을 테니, 미니 빅뱅 역시 인류를 위협한 적이 없답니다. ‘아기 우주’의 기본 ... ...
- 과학자와 떠난 ‘언택트’ 여름 휴가,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감염병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며 이번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도 그중 하나”라고 말했다.이 교수는 1918년 스페인 독감이 대유행을 일으켰을 때 전 세계적으로 마스크 쓰기 운동이 벌어졌던 역사도 소개했다. 당시 마스크를 쓰자는 포스터가 거리 곳곳에 붙었다. 그는 “과거 사람들은 ... ...
- 알고리듬으로 더 빠르게 지뢰를 찾자!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위치를 보고 지뢰가 절대 있을 수 없는 곳을 파악하지. 1 주변의 8칸에 이미 지뢰가 하나 있다면 나머지 7칸에는 지뢰가 없다는 사실을 이용하는 거야. 이 정도의 과정만을 사용해 알고리듬을 만들어도 크기가 9×9인 지뢰밭의 지뢰를 모두 찾을 수 있어. 이 알고리듬을 ‘단순 알고리듬’이라고 하지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