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리듬으로 더 빠르게 지뢰를 찾자!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위치를 보고 지뢰가 절대 있을 수 없는 곳을 파악하지. 1 주변의 8칸에 이미 지뢰가 하나 있다면 나머지 7칸에는 지뢰가 없다는 사실을 이용하는 거야. 이 정도의 과정만을 사용해 알고리듬을 만들어도 크기가 9×9인 지뢰밭의 지뢰를 모두 찾을 수 있어. 이 알고리듬을 ‘단순 알고리듬’이라고 하지 ... ...
- 팬심 저격하는 맞춤형 패션의 비밀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접속한 고객이 상의와 하의, 신발 등의 의류 항목 중 자신에게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옷을 하나 고르면 비슷한 옷뿐 아니라 함께 입었을 때 어울릴만한 옷이나 신발 등도 추천받을 수 있습니다. 경험적으로 ‘핑크색 니트’가 내게 잘 어울린다면 쇼핑몰에서 핑크색 니트를 찾아 클릭만 하면 AI가 ... ...
- [4회] 도전! 나도 데이터 요리사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어렵진 않쥬? 이제 레시피도 다 알려드렸으니 같이 요리를 해볼게유. 저만 따라하면 하나도 안 어려워유. 오늘 같이 해볼 요리는 소셜네트워크 분석이에유. 다들 트위터 알쥬? 먼저 이거 한번 보고 할게유. 제가 방탄소년단 공식 트위터 게시물을 분석한 거예유! 분석 결과를 통해 방탄소년단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9화. 어느 수학자의 덕질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자랑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풋볼리그는 1992-93시즌을 마지막으로 풋볼리그의 두 리그 중 하나인 1부리그가 EPL이라는 새로운 이름과 구성으로 재개편 됐습니다. 그런데 리버풀은 EPL로 재개편된 이래 단 한 차례도 우승하지 못한 겁니다. 그 사이 EPL 우승보다 더 어려운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2번(2004-05,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가는 길이었다. 스웨이츠 빙하는 남극 빙하 가운데 가장 빠르게 녹고 있는 빙하 중 하나로 ‘최후의 날 빙하(Doom’s day Glacier)’라고도 불린다.헬리콥터에서 내려다볼 때 스웨이츠 빙하 곳곳에는 크레바스가 존재했다. 크레바스는 빙하가 갈라져 생긴 틈으로, 규모가 큰 것은 깊이가 수십m에 이른다. ... ...
- 최초의 민간 유인 우주선 크루드래건, 64일 만의 귀환 스토리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보니 시속 2만8000km로 하강하고 있더군요. 이 순간이 우주탐사에서 가장 위험한 순간 중 하나랍니다. □더그 무사히 바다에 도착하고 회수선을 기다리는 동안 크루 드래건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도 할견 지인에게 전화를 걸고 있었어요. 첫 번째 전화는 휴스턴에 있는 NASA의 임무통제센터 비행 ... ...
- 8기 첫 탐사! '개나리 데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노란 꽃그늘 아래, 가지런히 놓여있는 꼬까신 하나♪”지구사랑탐사대 8기 대원들에게 올해 첫 탐사 미션이 주어졌어요. 바로 ‘우리 동네에 피어 있는 개나리 찾기’예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개나리는 사실 생물종으로 가치가 높은 특산식물이랍니다. 대원들이 첫 미션을 얼마나 잘 ... ...
- [꽃가루의 변신1] 탐정이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심는 경우가 많았기에, 윌트셔 교수는 시신이 있는 곳은 자작나무로 둘러싸인 묘목장 중 하나일 것이며, 범인은 땅을 파지 않고 자작나무 잔가지들로 시신을 덮어 두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런 분석 결과를 통해 경찰은 묘목장 중 양치식물이 있는 한 곳에서 자작나무 아래 움푹 파인 구덩이를 ... ...
- [이달의 과학사] 신경 구조를 밝힌 라몬 이 카할 태어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어둡게 염색하는 방법을 만들었어요. 이 염색법으로 신경 세포를 관찰하여 모든 신경이 하나의 거대한 그물로 연결되어 있다고 결론 내렸어요. 이를 ‘망상 이론’이라고 해요. 스페인의 젊은 해부학 교수 카할은 신경 구조를 연구하면서 골지의 염색법을 발전시킨 ‘급속 골지법’을 만들었어요.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아이들과 연산의 순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뒤의 식에서는 x를 y로 나눈 뒤 z를 곱하는데, 이것처럼 2(9+3)도 곱셈 기호를 생략했으므로 하나의 덩어리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그렇다면 정답은? 이 문제를 접한 다수의 수학자는 ‘문제에 오류가 있다’고 말했다. 즉 문제가 애초에 잘못됐기 때문에 정답을 찾을 수 없다는 것이다. 곱셈 기호를 ... ...
이전2012022032042052062072082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