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실"(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물리학상] 우주의 진화와 구조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그로부터 20년 뒤 실제로 우주배경복사에 최대 10만분의 1K 만큼의 온도 차가 난다는 사실이 밝혀졌답니다. 이뿐만 아니라 피블스 교수는 우주 초기의 밀도 차이로 은하의 분포를 알아내는 이론도 세웠어요. 우주 초기 물질의 밀도가 높았던 곳은 현재 은하가 많이 생성됐을 거예요. 초기의 밀도 ... ...
- 빅토리아● 혹등고래가 물기둥을 주욱!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바다 위로 뛰어오르지 않아 아쉬워요그런 멋진 모습을 기대하시는 분이 많지만, 사실 혹등고래는 수면 위로 거의 뛰어오르지 않아요. 수면 위로 뛰어오르는 행동은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기 때문이지요. 매일 바다에 나가 혹등고래를 관찰하는 저도 그런 모습은 1년에 겨우 한두번 정도 볼 수 ... ...
- 화이트호스● 오로라, 눈앞에 나타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오는 날 밤에 보이는 구름처럼, 하늘에 희미한 빛이 걸려 있었지요.“오로라죠? 맞죠?”사실 밝은 오로라를 보기는 쉽지 않아요. 기상 조건이 잘 맞아야 할뿐더러, 태양의 활동도 강할 때 오로라가 훨씬 잘 보이거든요. 이튿날에는 구름이 잔뜩 끼는 바람에 하늘을 전혀 볼 수 없었어요. 드디어 마지막 ... ...
- 꺼지지 않는 불의 원인은 사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고의로 불을 질렀다? 얼핏 믿기지 않는 이야기일 거예요.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것은 사실이지요. 불을 지르는 이유가 뭘까요? “나무가 있는 삼림은 개발하는 데 1만m²당 400달러가 필요하지만, 불 탄 삼림은 30달러면 충분하다.”국제산림연구센터의 해리 푸르노모 박사는 열대우림에 불을 지르는 ... ...
- [과학뉴스] 블랙홀도 삼시세끼?! 9시간 마다 별 먹는 블랙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2019년 1월, 2월에 걸쳐 GSN069 블랙홀을 관측한 결과, 이 블랙홀이 9시간마다 밝아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은하 중심 블랙홀에서 주기적인 밝기 변화가 관측된 건 처음이었지요.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나는지 정확한 이유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어요. 연구에 참여한 ESA 마르게리타 기스티니 박사는 ... ...
- [Go!Go!고고학자] 경주 고분을 외국인이 발굴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고분이 아니라 작은 산이라고 생각했어요. 오랜 시간이 지나 신라 시대의 무덤이었다는 사실이 잊힌 것이지요.이 경주의 고분을 처음 본격적으로 발굴한 것이 바로 일제강점기의 일본 학자들이었어요. 일본 학자들은 경주의 언덕이 오래된 무덤이라는 것을 알고 발굴을 진행했어요. 하지만 대부분 ... ...
- [과학뉴스] 노벨상에 앞서 발표된 ‘별별 과학상’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잭 레빈 교수팀은 투구게의 푸른피가 세균이나 독소를 만났을 때 딱딱하게 굳는다는 사실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았고, 미국 존스홉킨스 블룸버그 보건대학 노엘 로즈 교수는 자가면역반응을 처음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황금거위상을 수상했답니다. 이런 연구들은 발표 당시 비웃음을 샀지만 ... ...
- [통합과학교과서] 방귀마을, 방귀 멈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푹 쉬면서 말했어요.“일단 늑대를 찾아가 보죠. 늑대가 빨간모자네에 원한이 있는 건 사실이니까.” [스토리] 멀쩡하던 마을이 물바다? 꿀록 탐정과 개코 조수는 늑대를 찾아 길을 떠났어요. 그런데 웬일이래요?“아니, 원래 여기에 큰 강이 있었던가? 저기 뾰족하게 솟아있는 게 설마 지붕이야?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2000년 전부터 인류와 함께한 자석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0호
- 이후 자철석에 쇠붙이가 달라붙는 것과 자철석이 늘 같은 방향으로 놓인다는 사실을 발견했지요. 그래서 고대 그리스 사람들은 자철석의 특징을 이용해 길을 찾기도 했답니다. 이렇게 자철석으로 길을 찾을 수 있는 건 지구가 하나의 거대한 자석이기 때문이에요. 따라서 자철석이 지구 자기장에 ... ...
- 독도 해양생물의 다양성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광활한 바다 한가운데 솟아있어 종종 외로운 섬이라는 오해를 받아. 하지만 사실 바다 밑에 수많은 생물이 헤엄치고 있어서 독도는 생기 넘치는 섬이란다! 최근에는 이러한 모습을 담은 암초 생태지도도 공개됐어. 독도가 해양생물 보물섬인 이유는?독도는 동도와 서도 두 개의 큰 화산섬과 그 ... ...
이전2002012022032042052062072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