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알라딘’의 파란 피부 지니는 청색증 환자?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성분이 들어있었다. 벤조카인이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는
사실
은 이미 알려져 있다. 2018년 5월 미국식품의약국(FDA)은 24개월 미만 유아에게는 벤조카인이 함유된 약제 처방을 금지했다. 국내에서도 청색증을 동반한 메트헤모글로빈혈증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2007년 ... ...
[검시관의 사건노트] 한파가 죽음에 미치는 영향...저체온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벗고 있는 변사체가 발견됐다는 것이다. 그나마 변사체가 여성이 아닌 남성이라는
사실
에 약간 안도했다. 끔찍한 강간살인 사건일 확률은 비교적 낮아졌기 때문이다.40여 분쯤 눈길을 달려 현장에 도착했다. 대문 앞쪽에는 외투와 바지, 신발, 지갑이 마치 전시품처럼 가지런히 놓여있었다. 그리고 그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해도 원숭이 실험에서 신경세포 활성 여부에 따라 팔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
은 알려져 있었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성공한 건 처음이었습니다. 이후 뇌-컴퓨터 접속기술은 팔뿐만 아니라 사지마비 환자를 움직이는 수준까지 발전했습니다. 최근에는 루이 베나비 프랑스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RSA 암호’는 컴퓨터가 아주 큰 수를 소인수분해할 때 무척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사실
을 이용해 만든 암호야. 현재 이 암호를 풀려면 617자릿수의 큰 수를 빠르게 소인수분해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 컴퓨터로는 약 2128번의 계산이 필요해서 현실적으로 풀 수 없지. 그런데 전문가들이 꿈꾸는 ... ...
실전 상황! 꽉 막힌 도심에서 파티장에 도달하라!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대표는 늦은 밤 귀가하는 사람들이 주로 집에 안부 전화를 거느라 통화량이 증가한다는
사실
을 깨닫고 심야 시간 대 통화량이 몰리는 지역을 지나는 노선을 제안했다. 통신 기반의 위치 데이터와 교통 서비스를 연결한 이 아이디어는 대통령상을 받고 대중교통 혁신모델로 알려졌다. 급행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생각하지 못했던 ‘매듭’입니다. 눈을 돌리는 곳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매듭은
사실
굉장히 수학적인 존재랍니다. 수학 연구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는데다, 기하학적으로 아름다운 구조물이기 때문인데요, 이렇게 아름다운 매듭의 매력을 최대로 끌어올린 작품을 12월 전시로 골랐습니다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최초 달성 올해가 양자컴퓨터 개발의 터닝포인트가 될 것이라던 그간의 전망이
사실
로 확인됐습니다. 구글은 54큐비트로 구성된 양자컴퓨터용 칩 ‘시커모어(Sycamore)’가 특정 과제를 푸는 임무에서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슈퍼컴퓨터를 완전히 압도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0월 23일자 ... ...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청각을 실험하던 도중 지렁이가 소리에는 반응하지 않지만, 진동에는 반응한다는
사실
을 확인했다. 다윈이 피아노 옆에 지렁이를 두고 건반을 두드릴 때는 지렁이가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지렁이와 흙이 든 상자를 피아노 위에 올려놓고 건반을 치자 지렁이가 상자 속 흙무덤에 있는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외에도 최근 인슐린 펌프, 호흡 치료기 등 의료기기들이 해커의 공격에 노출된
사실
이 여럿 드러났다. 시레야스 센 미국 퍼듀대 전기및컴퓨터공학부 교수는 “의료기기는 신호를 암호화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인체 내 의료기기에서 나오는 모든 통신 신호를 차단하는 장치를 손목에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양 팀의 파울 개수를 비교하거나 페널티킥 상황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는 등 단순한
사실
나열을 넘어서 풍부한 정보를 담아냈다.한편 올해 AI 월드컵은 번외 경기로 초·중·고등학생이 참여하는 ‘AI 주니어 월드컵’도 동시에 진행됐다. 여기에는 전국에서 18개 팀이 참여했다. 김 교수는 ... ...
이전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