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뉴스&인터뷰] 남극, 호주, 일본, 캐나다… 인류세의 기준이 될 지역은?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주목을 받는 다른 곳은 미국과 호주의 산호초다. 이곳에는 18세기 초에 태어난 늙은 산호들이 사는데, 산호의 골격을 이루는 방사성 탄소의 비율을 계산하면 화석연료의 사용 시점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이들을 포함한 열두 곳의 후보 중 인류세실무연구단의 투표를 ... ...
-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높은 복합 연평균 성장률(CAGR)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나노입자’는 대표적인 21세기 최첨단 기술로 손꼽히지만, 그 역사는 의외로 깁니다. 고대의 유리 공예가들은 유리를 만들 때 금, 은, 구리, 산화철 등의 불순물을 첨가하고 가열해서 다양한 색상의 유리 제품을 제작했습니다. 유리 내부에 넣은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내가 직접 뉴턴 뺨치는 과학자가 되어 봄 PRINCIPIA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못 그려서 논문을 거부당했다?! 17세기 유럽은 ‘과학혁명’의 시대였습니다. 아직은 과학이라는 단어가 지금처럼 쓰이지 않던 그때, 유럽에서는 수많은 사람들이 자연의 신비를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가 잘 아는 아이작 뉴턴은 물론, ‘보일의 법칙’을 발견한 로버트 보일, 탄성체에 ... ...
- [과동키즈] “과학자의 현장은 생각보다 다양합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새로운 회사에 관한 자료를 검토한다. 투자회사는 세상의 변화를 앞서가야 하며 21세기는 기술의 변화가 세상의 변화로 이어지는 시기인 만큼, 이 변화를 신속히 따라가야 할 필요성은 투자회사도 다른 회사들 못지않게 매우 크다. 함께 박사학위를 받은 친구들 중에 여전히 물리학을 연구하는 ... ...
- [러셀 탐구생활] 제3장 의심에서 싹튼 수리철학수학동아 l2023년 03호
- ◼︎ 그리스어 연습장 ◼︎ 19세기 말 영국. 한 소년이 의자에 앉아 일기를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기장의 표지엔 ‘그리스어 연습장’이라고 적혀 있네요. 자신의 생각이 집안 어른들에게 들키지 않기를 바란 소년이 써놓은 위장 제목이었습니다. 첫 장을 이 일기로 시작하는 그리스어 ... ...
- [이달의 책] 재료가 바꾼 인간의 감정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중 하나인 전신(모스 부호 등 전기 신호를 이용한 통신)이다. 미국인 새뮤얼 모스가 19세기 중반에 개발한 전신은 장거리 통신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비약적으로 단축시켰다. 이와 동시에 짧고 건조한 영어 문체가 확산되고, 전신을 받은 사람이 정서적 불안감을 느끼는 등 예상치 못한 변화들도 ... ...
- [Space Math] 세밀한 제어 기술로 승부한다! 우주발사체 기업들수학동아 l2023년 02호
- 계산할 수 있다. 하지만 물체가 세 개만 있어도 중력 때문에 그럴 수 없다는 것이 19세기에 이미 증명됐다. 문제는 우주선이 목적지에 이르려면 적어도 물체 네 개를 고려해야 한다. 우리 주위에서 가장 큰 천체인 태양, 우주선이 떠난 지구, 목적지, 그리고 우주선 그 자체다. 현실적인 답은 ... ...
- 2mm 캡슐이 만들어낸 커다란 도약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대비 출력 에너지를 뜻하는 에너지 증폭률(Q)이 1.5다. 그랜홈 장관은 이번 성과를 “21세기의 가장 인상적인 과학 업적 중 하나”라 자평했다. 핵융합 기술은 흔히 ‘인공태양’에 비유된다. 태양이 핵융합으로 빛과 열을 만들기 때문이다. 태양의 가장 중심부에 위치한 핵은 온도가 1500만K에 달하는 ... ...
- [한승전의 ‘초(超)재료’] 초효율 전기모터 구현할 초자성 금속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자기력이 있다. 자기력은 N극과 S극이 서로 당기는 힘으로, 전기력과도 관련이 깊다. 19세기 초 덴마크의 과학자 한스 외르스테드는 전선에 전류를 가하면 근처의 나침반이 움직이는 현상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이를 바탕으로 영국의 마이클 패러데이는 자기력이 존재하면 전기력이 유도될 것이라는 ... ...
- [Rethinking] - 제1화 - 방정식엔 왜 x를 사용할까?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저것을 지칭하는 아랍어인 ء ي ش ‘(셰이)’라는 표현을 썼대요. 그 당시의 책이 12세기경 유럽에서 번역되면서 셰이에 해당하는 기호가 없어서 χ(카이)로 번역됐다가 같은 방식으로 x(엑스)가 됐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어요. 공식적인 문서에서 처음 x가 미지수로 사용된 건 프랑스 수학자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