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극장] 씨 없는 수박은 우장춘의 작품이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다지고 우량종자를 보급한 실용적 업적을 남겼다. 이런 점에서 그를 농업과학을 넘어서 20세기 전반 한국 과학계 전체를 대표하는 과학자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
- [러셀 탐구생활] 제1장, 러셀을 사랑한 이유수학동아 l2023년 01호
- 한 소년의 이야기 ♥ 19세기 말 영국.한 11살 소년이 생각에 잠긴 채 창가에서 노을을 바라보고 있습니다.그날 소년은 형에게 ‘유클리드 기하학’을 배웠습니다. 소년의 형은 모든 기하학의 정리가 ‘공리’라고 불리는 5가지 전제로부터 나온다는 놀라운 사실을 가르쳐 주었습니다. 시범을 ... ...
- [숫자로 보는 뉴스] 위잉~ 꿀벌도 사람처럼 수를 세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꿀벌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수를 센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어요. 프랑스 툴루즈대학교, 스위스 로잔대학교 등 국제 연구팀이 실험한 결과예요. 꿀벌이 1부터 5까지 수를 셀 줄 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졌지만, 어느 방향으로 수를 세는지 알아보는 실험은 처음이었지요. 연구 ... ...
- [꿀꺽! 수학 한 입] 흩어지면 느리고 뭉치면 빠르다! 과자는 모두 몇 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1호
- 1개로 바꿔 표현한 것과 같은 이치예요. 아주 오래전부터 내려온 편리하고 빠른 묶어세기! 우리 주변에서 묶어 셀 수 있는 물건은 또 어떤 것이 있는지 찾아보세요. 용어 설명메소포타미아★ 지금의 이라크이란 등이 위치한 중동 지역을 가리키는 옛 이름이에요 ... ...
- [냠냠! 어수잼] 선물이 대체 몇 개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4호
- ➊,➋,➌,➍라고 번호를 붙였어요. 번호가 적힌 자리에 상자가 몇 층씩 쌓여 있는지를 세기 위해서였지요. ➊번 자리는 1층만 있으므로 1개, ➋번 자리는 2층까지 있으니까 2개, 3층까지 있는 ➌ 번 자리는 3개, ➍번 자리는 2개예요. 왕큰뿔마을로 보내질 선물의 개수는 ➊+➋+➌+ ➍로 구할 수 있지요. ... ...
- [특집] 인류 최초의 별 목록표 우연한 발견과 복원까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바로 고대 그리스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인 에라토스테네스의 별자리 신화였습니다. 16세기에 종이가 보편화 되기 이전에는 양피지가 매우 비쌌습니다. 그래서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양피지 위에 새로운 내용을 적는 재활용이 일반적이었지요. 이런 양피지를 ‘팔림프세스트’라고 합니다. CCR도 ... ...
- [특집] 최초로 별을 기록한 천문학자 히파르코스는 누구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또한 오랜 기간 정밀한 관측을 통해 처음으로 지구의 세차운동을 발견했어요. 16~18세기에 이르도록 천년이 넘는 시간 동안 천문학자들의 지침서가 된 에는 1000개가 넘는 별들의 좌표가 기록돼 있는데, 대부분 히파르코스의 기록을 참고했어요. 히파르코스의 별 기록이 후대에 큰 영향을 ... ...
- [똥손 체험실] 따뜻한 크리스마스, 둥글~ 둥글~ 장식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3호
- 뒤, 그 위에 꽃이나 리본, 구슬을 달아 만드는 장식이에요. 지금으로부터 약 500년 전인 16세기 유럽에서 만들기 시작했다고 전해지지요. 화환은 대개 둥그런 원 모양이에요. 그런데, 원 모양이 찌그러지지 않게 만드는 건 생각보다 어렵답니다.평평한 면 위에 점 하나를 찍고, 그 점으로부터 같은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3호
- : 지식반장 (구독자 수 : 744명)지구상에서 살아남기 힘든 극한지역 7곳을 공개합니다! 20세기 최악의 원전 사고로 널리 알려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부터 원시 부족이 여전히 생활하는 인도 노스 센티널 섬, 위험성이 이름에서도 드러나듯 세계에서 가장 더운 계곡 데스벨리까지. 드넓은 ... ...
- [별별 우주 기네스] 인간이 발견한 최초의 소행성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22호
- 겨우 1/13 밖에 안 되는 작은 크기지요. 세레스의 발견에는 특별한 일화가 있어요. 18세기 독일의 수학자인 티티우스는 계산을 통해 행성들이 태양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규칙적으로 떨어져 있다는 걸 알게 됐어요. 이후 베를린 천문대장이었던 보데가 이 계산식을 공식적으로 발표했지요. 그런데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