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d라이브러리
"
인공
"(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 재난구조로봇 뽑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컴퓨터에 입력해 모터로 조정하는 방식이라 안정성이 떨어졌다”며 “균형을 맞춰가며
인공
근육의 힘을 조정하는 ‘포스 컨트롤(Force Control)’ 방식을 적용해 안정성 높고 힘센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세계 최고의 재난구조로봇 대회에서 한국 과학자들의 우승을 기대해 본다 ... ...
회색 도시 속, 녹색 숲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도시공원이자 숲이다. 150여 년 전 뉴욕이 대도시로 성장할 당시
인공
적으로 조성됐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시민숲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숲’. 자연 생태계를 보호하는 역할까지 해내는 모범적인 사례로 손꼽힌다. 2000년 보호림으로 지정됐다. 일본 타다스 숲일본 ... ...
“인간 유전자는 특허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인정했다. 하지만 이 역시 향후 문제가 될 수 있다. 이철구 고려대 생명공학과 교수는 “
인공
적으로 만든 유전자라 해도 자연계에서 미처 발견하지 못한 것일 수도 있으며, 설사 지금까지는 없다 해도 미래에 자연발생으로 만들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이번 판결은 인간의 ... ...
레이더로 변신한 마이크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이용하면 가능하다.마틴 베테를리 스위스 로잔연방공대 컴퓨터및통신과학과 교수팀은
인공
적으로 발생시킨 소리를 소수의 마이크로 수집한 뒤, 이를 수학 알고리듬으로 분석해 3차원 실내 구조를 알아내는 방법을 개발해 6월 17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베테를리 교수팀은 실내에 ... ...
보이지 않는 위험에서 살아남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체온을 따뜻하게 유지해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인공
호흡호흡이 멈췄을 경우에는
인공
호흡을 실시해야 한다. 빠르게 산소를 공급해 체내 기능을 되살려야 인명피해를 막을 수 있다.깨끗이 반복해서 씻기독성 기체가 피부나 눈에 닿았을 때는 빨리 여러 번 씻어내는 것이 좋다. 옷이나 장신구에 ... ...
살충제 잘못 쓰면 사람도 쓰러진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除蟲菊). 이 꽃에서는 곤충을 마비시키는 피레트린(pyrethrin) 성분이 나온다. 이 성분을
인공
적으로 합성한 것이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다. 가정용 살충제 대부분이 해당한다.사람을 비롯한 포유류는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 성분을 분해 할 수 있는 효소가 있다. 따라서 사람에게 독성이 강하지는 ... ...
[매스미디어] 슈퍼맨, 실제로 가능할까? 맨 오브 스틸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이용해 우주 밖 행성에서 지구로 음성 메시지를 보낸다. 실제로 우리도 우주 탐사선이나
인공
위성과 교신할 때 전파를 사용한다. 음성이나 문자와 같은 아날로그 신호를 0과 1로 이루어진 디지털 신호로 바꿔 전파를 이용해 주고받는 원리다.하지만 우주공간에는 자연적으로 생기는 다양한 종류의 ... ...
Part 5. 마그마가 올라오는 소리를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않고 새로운 통로를 만들거나 아예 화산 밖에서 터져 버리면 위험하거든요. ‘언제’는
인공
위성으로 지형의 움직임이나 열 발산을 측정해서 추정합니다. ‘얼마나 크게’는 3D로 측정한 화산의 모양, 국지적인 중력 변화, 분출되는 이산화황 가스의 양 등으로 추정하고요.”용암이 분출해 지형이 ... ...
더 넓은 세상에서 진짜 꿈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에너지 손실이 적기 때문에 비교적 오랜 시간 동안 모양이 유지된다.이들은 보텍스 링을
인공
적으로 만들면 따뜻한 공기를 찬 바닥까지 내보낼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고 소리의 파동을 이용해 보텍스 링을 만드는 장치를 고안했다. 이 장치를 천장에 설치했더니 실제로 교실 바닥 온도가 4℃나 ... ...
‘슈퍼박테리아’, 안 쓰면 안 될까요?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외국 언론도 조류 독감 즉 ‘bird flu’라는 말을 쓰고 있어서 갸우뚱하기는 했습니다.
인공
지능의 AI와 혼동되는 것도 있고요. 다행히 인플루엔자, AI라는 말이 비교적 쉽게 대중화되는 바람에 무난히 넘어가게 됐습니다. 다만 AI가 주는 공포감은 지금도 비슷한 것 같습니다.잘못된 과학용어가 ... ...
이전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