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위
인조
가공
가상
시뮬레이션
모조
사이버
d라이브러리
"
인공
"(으)로 총 4,79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신발과 연결하는 ‘나이키 플러스’로 운동량이나 운동에 관한 정보를 제공했다.구글은
인공
지능으로 사용자와 대화를 나누는 방식으로 만들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국내 유일 구글 무인자동차 탑승자 이상묵 교수 인터뷰“도로에서 움직이는 것과 움직이지 않는 것을 실시간으로 구별하는 ... ...
PART 1.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충분해도 불투수면적이 증가해 지표면과 지하가 단절돼 버리면 아무 소용이 없다”며 “
인공
적으로 심은 나무를 살리기 위해 가로수에 물을 주고 다녀야 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지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지적했다.건조한 대기가 도시 외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고립되면 대기 질도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지상에서 약 40km까지는 풍선을 이용해 대기와 기상을 연구할 수 있다. 200km 이상의 고도는
인공
위성으로 관측할 수 있다. 이 사이에 있는 사각지대를 관측하는 용도로 쓰는 게 바로 사운딩 로켓이다. 이 지역을 직접 관측하는 수단은 사운딩 로켓이 유일하다.하늘을 측정하는 로켓‘사운딩’이라는 ... ...
나로호, 드디어 꿈을 싣고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5시 16분 지상과의 첫 교신을 마친 나로과학위성은 다음날 오전 3시 28분우리나라의 KAIST
인공
위성연구센터와도 신호를 정상적으로 주고받아 성능에 이상이 없다는 사실을 증명했지요. 이로써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11번째로, 자국에서 자력으로 위성을 발사한 국가가 가입할 수 있는 ‘스페이스 ... ...
PART 2. Sixth Sense Mobil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소리로 들릴 때의 진동 폭을 데이터로 만든다. 여기서부터는 사람의 뇌를 흉내 내는
인공
지능 신경망 이론을 적용한다. 사람의 뇌는 자극과 흥분 등 신호를 전달하는 약 1000억 개의 뉴런(신경세포)으로 이뤄진다. 뉴런은 다른 뉴런과 수많은 시냅스(연결부위)를 이루고 있다.이런 복잡한 신경 ... ...
PART 1. 검색은 김수현(작가, 탤런트)을 구분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자연어 질문을 이제야 이해하기 시작한 단계”라고 말했다.하지만 곰스 부사장은 “
인공
지능의 걸림돌은 음성 인식, 자연어 이해, 번역 등이었는데 모두 해결의 실마리를 보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구글의 ‘엔터티’ 기반 검색 알고리듬은 미래 로봇에도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아이 돌보미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수 있는 기술 개발로 194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어. 브리지먼은 무아상의 방법으로는
인공
다이아몬드를 만들 정도로 강한 압력이 나올 수 없다고 설명해. 즉 무아상의 방법을 이용해 다이아몬드를 만들었다고 주장해온 다른 과학자들이 다 사기를 치고 있다는 걸 증명한 거지. 무아상의 영예를 ... ...
밴 앨런 대, 알고보니 세 겹이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입자를 방출한 것이 발생 원인이라고 추정했다.밴 앨런 대는 강한 에너지와 하전입자로
인공
위성에 위협적인 존재였다. 이번 발견은 고고도 위성의 임무를 설계하거나 유인 우주비행을 계획할 때 도움이 될 예정이다. 존 그룬스펠드 나사 과학협조관은 “밴 앨런 대가 어떻게 하전입자로 채워지고 ... ...
한국형 달탐사선 베일을 벗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2012년 12월, 전남 고흥군 항공센터에서 가상 달착륙 실험에 성공한 적이 있다.
인공
적으로 만든 달 환경에서 탐사선의 추진장치에 실제로 불을 붙여 추진력을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로켓에 불은 붙였지만 실제로 비행은 하지 않았다.연구진은 이때 얻은 실험수치를 바탕으로 요즘 달 탐사선이 ... ...
산불이 할퀴어도 씨앗은 남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때문이다. 하루 빨리
인공
적으로라도 복구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렇다면 숲은 시급한
인공
복구가 필요할 정도로 무능력한 걸까.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으려면 숲의 ‘천이’와 ‘교란’을 이해하는 게 필요하다. 우선 메마른 땅이라는 말은 잘못된 말이다. 왜냐하면 숲은 항상 같은 형태와 ... ...
이전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