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셀"(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생체시계로 루게릭병 비밀 밝힐까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앓고 있는 병으로 잘 알려진 루게릭병은 운동신경세포만 선택적으로 망가지는 병이다. 아직까지 이 병이 어떤 원 ...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분자생물학 국제학술지인 ‘몰레큘러 셀’ 4월 6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16/j.molcel.2017.03.00 ... ...
- [과학뉴스] 인공 자궁내막 탄생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실험동물을 사용하지 않고도 인체와 가장 비슷한 환경에서 실험하기 위해 만든 인공장기를 ‘오가노이드’라고 한다. 그런데 최근 영국 과학자 ... 발생하는지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셀바이올로지’ 4월 10일자에 실렸다. doi:10.1038/ncb351 ...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교수팀은 우르솔릭산이 근육 성장을 촉진해 체지방과 혈당을 줄인다는 연구 결과를 ‘셀 메타볼리즘’에 발표했다3). 연구팀은 24시간 금식한 생쥐를 우르솔릭산을 주입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우르솔릭산을 먹은 쥐는 대조군보다 근육은 약 7~9%가 많아졌고, 혈당은 30% ... ...
- [Culture] 유미의 연인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세는데 염색하는 거 말고 무슨 대응을 하냐.”“이건 아니지, 어떻게 눈썹부터 셀 수가 있어. 섣날 그믐날에 잠든 사람도 아니고!”정훈은 웃으면서 오른손으로 무르팍을 투덕투덕 두드렸다. 요즘 무릎이 많이 아팠다. 아주 많은 일이 있었고, 아주 많은 시간이 지나갔다. 유미의 볼에 패인 주름만큼, ... ...
- [과학뉴스] 프리온, 효모에게는 ‘이로운 물질’과학동아 l2017년 03호
- 키이스 윌킨스 교수팀은 프리온이 열 스트레스로부터 효모를 보호한다는 연구 결과를 ‘셀 리포트’ 1월 20일자에 발표했다.연구에서 핵심이 된 ‘Lsb2’는 세포골격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여타 단백질처럼 오래 유지되지 않을 뿐더러 열에 약하다. 하지만 Lsb2가 열에 강한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인 0.25m2(0.5m×0.5m)를 기준으로 했습니다. 권 선임연구원은 “셀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건 그만큼 많은 사람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다는 의미로 통계학에서는 다수의 법칙이라고 한다”며 “마치 해상도가 높은 화면처럼 보고자 하는 현실을 더 정확히 볼 수 있게 한다”고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알면 노벨상 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연구에 쓰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개발한 마르틴 카르풀러스, 마이클 레빗, 아리에 와르셀 교수(왼쪽부터). 이들은 이 공로로 2013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존 포플 교수와 월터 콘 교수는 이렇게 만든 ‘가우시안’이라는 프로그램으로 1998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답니다. 이 프로그램은 크기가 ... ...
- [소프트웨어] 스피드 레이서수학동아 l2016년 11호
- 바꿔야 하지요.으아악, 쿵! 아직 실력이 부족한가 봐요. 몇 대의 차와 부딪혔는지 셀 수도 없네요. 가까스로 교통체증 구간을 벗어났더니 코너가 연달아 이어져 있네요. 멋진 코너링 기술을 발휘해야 할 때예요. 그런데 마음처럼 쉽지 않아요. 너무 빨리 돌았는지, 도로에서 벗어나 장애물과 부딪히고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1993년. 당시 하버드대 소속(현재는 매사추세츠 의대) 빅터 암브로스 박사는 학술지 ‘셀’에 논문 한 편을 낸다(DOI:10.1016/0092-8674(93)90529-Y). 예쁜꼬마선충(C. elegans)의 성장 속도를 조절하는 유전자를 연구해 보니, 사실은 그 유전자가 복제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RNA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SNS에서 친구가 많거나, 활발하게 교류하는 사람은 외로움을 덜 느낄까.미국 미주리대 러셀 클레이튼 교수팀은 일상에서 외로움을 잘 느끼는 사람과 덜 느끼는 사람이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방식이 다르다고 밝혔다. 외로움을 덜 느끼는 사람들은 사회관계의 연장선으로 페이스북을 이용한다. 그래서 ... ...
이전1718192021222324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