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ell
감옥
교도소
감방
szell
쎌
샐
d라이브러리
"
셀
"(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아직도 숫자 세니? IT기술과 만난 신개념 줄넘기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개수를 세면서 합니다. 그런데 사람이 하는 일이다보니 100개가 넘어가면 숫자를
셀
때 헷갈리기 시작하지요. 여기서 줄넘기 넘은 횟수를 눈앞에 보여주면 좋겠다고 생각했습니다.”재밌는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된 배경에 대한 탱그램팩토리 김병동 과장의 설명이다.어떻게 작동될까? 줄을 돌릴 ... ...
리만가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상수 e(≒2.718)인 로그함수가 된다. 즉 1부터 N까지 범위에서 소수는 대략 lnN개의 수를
셀
때마다 하나씩 등장한다. 이것이 바로 소수 추측이다.소수 등장 = 동전 던지기?시간이 흘러 노년이 된 가우스는 오차가 훨씬 적은 소수 예측식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다. 이때 떠오른 아이디어가 동전 던지기다.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전기컴퓨터공학과 교수는 지난 7월15일 초소형 LED를 탑재한 새로운 광유전학 장비를 ‘
셀
’에 발표했다. 반도체 공정을 통해 개발한 이 장치는 외부에서 따로 전원이나 빛을 공급하지 않아도 자체적으로 빛을 쏴 뇌에 신호를 줄 수 있다. 크기는 현재 사용되는 광유전학 장비와 비슷하고, 무게는 1.8g ... ...
[핫이슈] 잠든 책이 깨어난다! 구스범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밝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답니다.에는 이 밖에도 거대한 사마귀, 목각인형 등
셀
수 없이 많은 몬스터들이 나와. 그리고 나는 챔프, 헤나, 스타인과 함께 모든 몬스터들을 책 속으로 돌려보내야 하지. 사실 나에겐 다 방법이 있어! 그게 뭐냐고? 궁금한 친구들은 1월 14일에 개봉하는 ...
하늘에서 후두둑 거미 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5호
머리카락을 본 사람 있나요? 아니면
셀
수 없이 많은 거미들이 하늘에서 떨어지는 건요? 지금 수백 마리의 작은 거미들이 우리집 주변에 둥둥 떠 있어요. 누가 과학자 좀 불러 줘요!”지난 5월 4일 자신의 집이 거미줄로 뒤덮인 것을 보고 깜짝 놀란 이안 왓슨이 호주 골번 지역의 페이스북 페이지에 ... ...
드론 미래를 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4호
“위잉~~ 윙윙~~~!” 친구들 안녕! 요즘 나를 모르는 친구들은 아마 없을 거야. 내 이름은 드론. 공중에 붕 떠서 곳곳을 날아다니며 중요한 일들을 하고 있지. 중요한 일이 뭐냐고? 하늘 높이 올라가서 멋진 사진과 영상을 찍고, 접근하기 어려운 곳에 물건을 배달하기도 해. 주로 사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뇌에서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전투와 관련된 단어의 글자 수를
셀
때는 달랐다. 일반인에게서는 전방대상피질의 활성이 증가한 반면, PTSD 환자에게서는 변화되지 않았던 것이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토대로 전방대상피질에 생긴 문제가 편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병원균을 정밀하게 측정할 도구가 부족하다. 다행히 이 문제는 개선되고 있다.
셀
논문의 제1저자인 캐나다 맥길대의 주디스 맨들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유전자가 전사될 때 나오는 물질들을 파악할 수 있는 ‘RNA시퀀싱’ 등 새로운 기술이 발달하면서 연구에 새로운 길이 열리고 있다”고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빛알(광자)이라고 부른다. 전통적인 파동설에서 벗어나, 빛의 본질을하나씩
셀
수 있는 알갱이로 보는 관점이다.아인슈타인은 빛알 개념을 통해 광전효과를 완벽히 해석했다. 그의 설명은 다음과 같다. 전자가 금속판에서 튀어나오려면 일함수 W보다 큰 에너지가 필요하다. 그런데 진동수가 f인 빛알 ... ...
[과학뉴스] 짠물에 버티는 식물, 식량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전세계 경작지의 3분의 1은 식물이 자라기 어려운 땅이다. 염분 농도가 높기 때문이다. 그런데 최근 호주 맬버른대 스태판 퍼슨 교수팀이 염분이 많은 땅에서 식물의 생장 ... 생산의 큰 걸림돌이었던 염분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
셀
’ 9월 4일자에 실렸다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