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셀"(으)로 총 683건 검색되었습니다.
- info. 파랑을 나타내는 키워드 7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보이는 빛은 파장이 380~780nm(나노미터, 1nm=10억 분의 1m)인 가시광선이다. 가시광선에는 셀 수 없이 많은 색깔이 들어 있다. 우리 눈이 구분할 수 있는 색깔만 1만~100만 개나 된다. 이렇게 수많은 색깔 중에서 파랑은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빛의 삼원색 중 하나인 B파랑(B)은 빨강(R)과 초록(G)과 함께 ... ...
- [과학뉴스] 뇌신경 말단도 단백질 합성한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뇌신경망이 정상적으로 형성․유지되려면 축삭의 말단이 정확하게 연결돼야 한다. 최근까지는 이때 필요한 단백질이 모두 뇌세포의 몸통인 세포체에서 합성된다고 알려 ...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셀’ 6월 30일자에 실렸다 ... ...
- [과학뉴스] 줄기세포의 운명, 힘주면 달라진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물리적인 힘을 가하면 세포구조와 유전자 발현이 변한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 셀바이올로지’ 7월 11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특수 장비로 피부줄기세포를 당긴 뒤 유전자 발현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피부줄기세포가 유전자 발현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피부세포로 분화하지 않았다.연구팀은 ... ...
- [과학뉴스] 공룡 멸종 이유가 어둠이 무서워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밝은 빛을 통해 색을 인지하는 원추세포로부터 진화했다는 가설을 ‘디벨롭멘탈 셀’ 6월 20일자에 발표했다.김정웅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미국 국립보건원(NIH) 연구팀은 간상세포에서만 녹색 형광을 내는 유전자변형 생쥐를 만들고, 발생 시기별로 간상세포를 채취해 유전자 전사체(mRNA)를 ... ...
- [Career] 질병 연구의 ‘내비게이션’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함께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 환자 331명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2015년 6월 18일자에 발표했다. 흑색종은 유전적으로 총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BRAF와 NAS, NF1 유전자에 각각 변이가 있는 경우와, 세 유전자 모두에 변이가 없는 경우다. 연구팀은 세 유전자에 변이가 나타나지 ... ...
- [지식] 두 아이가 모두 딸일 확률은?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수를 셀 때 각 경우의 발생 확률이 모두 같아야 한다. 즉 확률이 1/4인 다른 경우와 똑같이 셀 수 없다. 그렇다면 과연 질문 ➋의 답은 1/2일까, 1/3일까? 또는 둘 다 맞을까?해결책 : 동전 문제로 생각하기질문 ➋와 똑같은 동전 문제로 상황을 분석해보자.‘동전이 앞면이 나오는 상황’을 ‘자녀가 딸인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색’에 주목한 적 있는가. 우주에는 우리은하 외에도 셀 수 없이 많은 은하가 존재한다. 그런데 흥미롭게도 은하들의 색깔은 대부분 빨간색 혹은 파란색이다. 별은 표면온도에 따라 빨간색, 노란색, 흰색, 초록색, 파란색 등 색이 다양한데, 왜 이들을 품은 은하는 유독 두 가지 색깔로 보이는 걸까. ... ...
- [과학뉴스] 세포 주기 조절 요인, 단백질(X) mRNA(O)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세포 주기를 조절하는 결정적인 요인이 단백질이 아닌 전령 RNA(mRNA)라는 사실을 국내 연구진이 알아냈다.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장팀은 세포 ... 세포 주기 조절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논문은 ‘몰레큘러 셀’ 온라인판 5월 5일자에 게재됐다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확인됐다. 최근에는 실험쥐에서도 지카바이러스가 발생을 억제한다는 결과가 학술지 ‘셀’에 발표되기도 했다(doi:10.1016/j.cell.2016.05.008). 그러나 지카바이러스가 정확히 어떤 세포를 언제 어떻게 공격해서 문제를 일으키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태아의 발생을 연구해야 하기 때문에 윤리적으로도 ... ...
- Part 2. 수학으로 정체 밝히는 ‘플래닛 나인’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벨트에 떠다니는 여섯 개의 왜행성태양으로부터 약 45억~75억km 떨어진 우주공간에는 셀 수 없이 많은 천체가 모여 있다. 이곳을 카이퍼 벨트라하는데, 바티진과 브라운 박사팀은 이곳에 있는 얼음 천체 13개를 연구하고 있었다. 그 중 6개가 일정한 궤도로 태양 주변을 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➋ 주변 ... ...
이전1920212223242526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