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숭이도 말 배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영리하다해도 언어학자들을 이기기는 어려울 것 같다. "만약 인간 이외의 어떤 동물이
생물학
적으로 언어를 익힐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그것은 마치 인간이 스스로 날 수 있는 섬을 발견한 것과 같은 기적이다"라고 MIT의 언어학자 촘스키는 말한다.그러나 칸지의 보호자들은 이 영리한 원숭이가 더 ... ...
3. 경계선 모호해진 과학과 공학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와 비슷하다) 생명공학과(유전공학과) 정보통신공학과 고분자공학과 분자
생물학
과 물리광학과 환경과학과 의공학과 등등.첨단산업의 규모가 비약적으로 커져 이들 분야의 전공자들이 대거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학과의 등장으로 첨단산업의 인력난이 해소된 것은 아니다. 생긴지가 ... ...
농사를 돕는 흰개미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크가파마디 지역을 조사하기에 이르렀다. 이들은 곧 흰개미가 토양을 변화시키는
생물학
적 제제(biological agent)의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NRI의 생태학자인 헬라이나 블랙은 "지금까지 곤충학자들은 흰개미를 고약한 해충으로만 알아왔다. 아마도 흰개미가 익충(益蟲)역할을 한 사례는 이번이 ... ...
외계에서 날아온 반중력 우주선?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여러 곳에서 온 외계인들이 모두 인간의 모습을 하고 있다는 것은 난센스라는 것이 우주
생물학
자들의 공통된 견해다.멀쩡하고 사회적으로 신뢰받는 사람들이 왜 이토록 다양한 UFO와 외계인을 보고 있는 것일까. 이 문제는 UFO현상에 대한 종교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암시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 ...
초음파 차단벽으로 고래목숨 건져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나와 주목을 끌고 있다. 주창자는 미국 매사추세츠의 개업치과의사인 토마스 포드. 해양
생물학
에 큰 관심을 가진 그는 고래가 쏘는 초음파를 적절히 받아주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시 말해 해변의 경사가 완만해 고래의 초음파를 되튀게 할 수 없기 때문에 제 죽을 줄도 모르고 ... ...
PART Ⅰ 표피세포가 뇌의 출발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심리학적 행동 연구와 동시에 이루어졌을 때 매우 효과적이었다.생물심리학은 행동의
생물학
적 기반을 다루는 심리학의 기초분야다. 대부분의 경우 인간과 동물의 행동은 뇌기능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뇌기능에 관한 기초 연구는 생물심리학의 핵심을 이룬다. 우리는 어떻게 보는가. 슈퍼 ... ...
3 제6세대 컴퓨터를 향한 첫발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그리고 뇌신경 생리학의 방대한 지식의 정리와 그에 근거한 새로운 실험해석, 분자
생물학
이나 생화학에 의한 뇌신경의 미시적인 원리 규명 등이 중요하다. 또 최근 발전이 두드러진 뇌의 내부를 수술하지 않고 볼 수 있는 컴퓨터 단층(CT, Computer Tomography)기술, 더 나아가 초전도 현상을 이용한 ... ...
PART Ⅱ 쾌감도 느끼게 하고 흥분도 삭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왕'으로서 뇌하수체 전엽의 각종 내분비선 자극호르몬의 분비를 통제한다.최근 분자
생물학
적 기법의 발달로 이들 펩티드 신경전달물질 또는 펩티드 신경호르몬들의 합성과정들이 밝혀져, 이제까지 사용하던 신경정신질환 치료제들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며 더 특이적인 새로운 약물을 개발하려는 ... ...
PART Ⅳ 우울증은 우반구에 이상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외인성우울증으로 구별된다.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아민가설 또는 수용체가설 등의
생물학
적 접근이 활발히 시도되고 있다.알츠하이머병/기억력 감퇴부터1907년 알츠하이머에 의해 처음 기술됐다. 노년기 및 초로기에 일어나는 대표적인 퇴행성치매다. 이는 치매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65세 인구의 ... ...
뇌는 눈이 볼 수 없는 것을 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말한다. 이런 노력의 결과로 의식에 대해 '영혼'이나 '혼'과 같은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생물학
적인 개념에 바탕을 둔 새로운 이론들이 나오고 있다. 뇌 구조 해명의 열쇠잠재의식에 대한 개념은 19세기말 한 스위스 심리학자에 의해 최초로 제기됐다. 그 심리학자는 바로 전에 겪은 일조차 전혀 ... ...
이전
225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