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1 인간다움을 추구하는 기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AI연구의 발단이다.지난 40년간 컴퓨터과학자는 물론 심리학자 언어학자 두뇌과학자
생물학
자 등 많은 사람들이 'AI의 실현'을 기대하면서 연구를 계속해왔다. 이에 따라 전문가시스템 비전 자연언어처리 신경회로망 퍼지이론 병렬처리 등 인공지능과 관련된 수많은 연구갈래들이 제시됐고 이에 관한 ... ...
게놈프로젝트의 신병기로 떠올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이 로봇이 게놈프로젝트의 목표달성 시간을 앞당겨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생물학
분야에서는 늘 프랑스와 경쟁을 벌여온 미국도 곧 이와 비슷한 개발에 착수할 예정 ... ...
소련 과학기술계 탐방기-자영협동체 결성, 연구성과 분배요구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것은 아니다. 비록 경제의 어려움으로 인해 기초과학 실험분야에서는 낙후돼 있지만 이론
생물학
은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생물응용과학은 이미 상당한 수준에 올라있어서 빠른 속도로 모방개발 단계를 넘어서 자체내에서 공장화를 추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소장과학자들은 모두 ... ...
장미꽃잎이 검게 물든 사연 식물도 스트레스를 받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사람들은 튼튼하다고 말하고, 살아남지 못하는 식물을 연약하다고 했다. 그러나 최근
생물학
자들은 생물에게 불량한 어떤 환경요소를 가리켜 스트레스(stress)라고 부르고 있다. 또 불량한 환경요소에서 살아남는 식물의 능력을 스트레스 저항이라고 한다.잎의 온도는 몇도일까식물은 스트레스를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전선을 향해 돌진한 과학자들에 의해 우연히 발견됐다. 페니실린의 발견이 그러했고 분자
생물학
의 도약과 유전공학으로의 문을 열어준 제한효소의 발견이 그러했다. 애당초부터 무엇을 발견하며 어떻게 응용해서 영리를 얻어야겠다는 계획하에 이루어진 혁신은 거의 없었다. 대부분의 혁신은 다른 ... ...
PARTⅣ 인류로의 진화 침팬지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연구는 주로 인류 화석(化石)의 비교해부학적 연구가 전부였으나 최근에는 물리 화학
생물학
의 빠른 발달로 새로운 연구 방법이 개발돼 인류의 진화 연구에 많은 공헌을 하고 있다.화석의 연대를 밝히기 위해서 원소들의 반감기(半減期)를 응용하는 칼륨-아르곤 방법(potassiumargon technique)이나 방사선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못한 것이라고 반론을 제기했다.이러한 기나긴 논쟁은 프랑스의 생화학자이자 미
생물학
자였던 파스퇴르(Louis Pasteur)에 의해서 1백여년 전에 잠재워지고 말았다. 그도 역시 고기 국물을 가열하는 방법을 택했으나, 유리플라스크를 밀봉하는 대신 목부분을 길게 늘려 S자 모양으로 구부려서 그 끝을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생물의 진화과정과 이동경로를 밝힐 수 있는 것입니다. 따라서 한반도 연구가 심화되면
생물학
분야에서의 국제적 기여도도 높을 것입니다.환경문제 공동 대처해야사회-남북한의 동식물이 보다 자세히 연구되면 학술적 가치도 크겠지만 환경보호등 당면한 문제에도 많은 가능성을 제시해 줄 수 ... ...
활용분야 넓혀가는 클린룸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등의 특수병실 및 신생아실 회복실, 정확한 검사를 보증하기 위한 임상검사실 등
생물학
적 클린룸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초청정기술시대로현재 클린룸의 이용은 널리 확대되고 있으며, 앞으로도 이용분야는 더욱 확대될 것이 확실하다. 급속히 발전되고 있는 첨단 생산물의 청정화 고순도화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성비의 불균형이 교정되는 현상 등이 바로 자연의 내재율을 보여주는 산 증거다. 분자
생물학
에 기반을 둔 유전공학기술은 이러한 자연의 섭리에 순응하며 개척돼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테면 태아의 성감별이 자연의 섭리를 깨는 자료로 활용된다면 이러한 일은 법의 힘으로라도 강하게 막아야 한다 ... ...
이전
226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