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d라이브러리
"
생물학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암과 AIDS를 번쩍 들어 올릴 수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이용해유전자요법이 가능하게 된 것은 전적으로 유전자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분자
생물학
적 지식이 늘어나고 시험관내에서의 유전자조작기술이 발달한 때문이다. 그러면 유전자요법을 실시할 때 어떤 유전자조작기술이 사용되는가. 유전자요법을 실행하고자 하는 사람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연속적으로 나오는 성질을 이용하면 고속화학반응의 관찰이 가능하며, 이를 분자
생물학
에서 활용하면 DNA를 비롯한 여러 단백질구조를 연구하는데 좋은 도구가 된다. 살아 있는 세포의 미세한 과정도 관찰할 수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 중 노벨상에 가장 가깝게 접근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 ...
PARTⅠ 2000년대를 내다 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사실상 지금까지 유전공학기술은 농업분야에 거의 도움을 주지 못했다. 식물의 분자
생물학
연구가 상대적으로 뒤떨어져 있었기 때문이다.그러나 최근 짧은 기간동안 많은 연구가 진척돼 2000년대에는 엄청난 식량증산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들면 벼해충에 강한 내성을 가진 벼가 소개될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SRC(과학연구센터)로 분자미
생물학
연구센터(서울대 미
생물학
과 하영칠교수 주도) 분자
생물학
및 유전자조작연구센터(경상대 생화학과 조무제교수), ERC(공학연구센터)로 생물공정연구센터(한국과학기술원 장호남박사, 바이오리액터를 주로 연구할 계획이다)와 동물자원연구센터(건국대 축산학과 ... ...
PARTⅢ 분자
생물학
의 기본언어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위한 분자
생물학
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1970년대에 개발된 DNA재조합기술은 분자
생물학
의 발전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해주었다. DNA재조합기술이란 한 마디로 유전자의 클로닝(cloning)과 염기서열결정에 관한 기술이다. 여기서 클로닝이란 유전정보를 간직하고 있는 특정한 DNA분자를 증폭시켜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볼 수 있으므로 동식물 미생물 등에 포괄적으로 적용된다.산업측면에서 분자
생물학
은 공학기술과 결합해 신물질 신품종 개발에 기여하며, 의·약학 농수산업 식품업 분야 뿐아니라 환경정화, 에너지산업에까지 그 성과가 파급될 것으로 보인다.따라서 교과과정에는 생화학 생물물리학 분자유전학 ... ...
식인종을 떨게 하는 「꼬마」 프라이온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진행될 수 있는 단계가 되면 이 오리무중의 질병에 관한 연구는 물론이고 프라이온의
생물학
적 의미에 대해 폭 넓은 해답을 제시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때 분자
생물학
의 창시자인 델브뤼크(1969년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의 영향을 받아 분자
생물학
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둘베코는 도네가와에게 앞으로 면역분야가 재미있을 것이라고 권하면서 세계면역학의 메카인 스위스의 바첼연구소를 소개해 주었다.1971년 바첼연구소에 입소한 그는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끼는데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이외에 해외학자로는 조동협(59·미 코넬대·분자신경
생물학
) 이서구(47·미 국립보건원·신호전달체계) 윤지원(51·캐나다 캘거리대·당뇨병백신개발)박사 등이 있고 국내에는 핏속의 합토글로블린 연구로 유명한 심봉섭교수(64·가톨릭의대) 등이 있으나 노벨상감으로 ... ...
인간의 체취를 진정제로 쓴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이들의 의견에 수긍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심리학자들의 경우 냄새와 감정의 관계는
생물학
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이라고 주장한다. 어떤 냄새로 마음의 위안을 얻거나 즐거움을 느끼는 이유는 본능때문이 아니라 그 냄새를 맡았을 때의 사회적인 관계를 추억해 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사실 ... ...
이전
227
228
229
230
231
232
233
234
2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