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갑오징어도 3D 영화 즐길 수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연구팀은 양쪽 렌즈 색이 적색과 청색으로 다른 3D 안경을 실험에
사용
했어요. 이 안경으로 사물을 보면 적색 렌즈를 낀 눈으론 적색을 볼 수 없고, 청색 렌즈를 낀 쪽으론 청색 사물을 볼 수 없어 두 눈에서 인지하는 사물에 차이가 생겨요. 인간은 양쪽 눈으로 들어오는 서로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진짜로 손에 잡히는 그림, 3D 펜으로 작품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3호
마음대로 플라스틱 작품을 만들 수 있는 거죠. 어떤 플라스틱이든 3D 펜에
사용
할 수 있을까? 3D 펜은 열을 가하면 흐물흐물해지는 플라스틱을 이용해 원하는 모양을 만들어요. 그런데 모든 플라스틱에 열을 가한다고 해서 흐물흐물해지는 건 아니랍니다. 플라스틱은 사슬 모양의 ... ...
바이러스 확진부터 역학조사까지...질병관리본부 르포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양이 워낙 적어 PCR을 통해 바이러스의 유전자 양을 증폭해야 한다. 질병관리본부가 PCR에
사용
하는 기계는 전자레인지 크기 정도다. 여기에 검체와 이를 증폭시킬 효소, 프라이머(유전자에 달라붙어 복제가 시작되도록 돕는 짧은 DNA)를 넣고 일반적으로 90도에서 15초, 60도에서 1분 등 효소가 ... ...
“인공지능은 이미 여러분 옆에 와 있습니다” 김정호 KAIST ICT 석좌교수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것보다 100배 이상 빠르다”고 말했다. 이런 HBM은 수많은 데이터 학습이 필요한 AI에
사용
되기 때문에 AI 반도체라고도 불린다.과학동아 AI 보드 어드바이저를 맡은 김 교수는 “미래사회는 분명 지금보다 AI 기술의 영향력이 클 것”이라며 “AI가 이미 현실에 와있다는 사실을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 ...
[팩트체크] 비 오는 날 전기차 충전해도 될까?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실제로 전기차를 타고 다니면 기대수명이 낮아져 7~8년
사용
하면 배터리 효율이
사용
자가 느낄만큼 떨어질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결국 전기차는 가솔린차나 디젤차처럼 오랜 기간 타기는 어렵습니다. 만약 5년 이상 운행한 전기차를 살 때는 전문가에게 배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해야 ... ...
[과학동아X긱블] 마동석도 들 수 없는 페인트통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전자석은 공급되는 전압이 강할수록 자성도 커지기 때문에 강력한 리튬폴리머배터리를
사용
했습니다. 준비한 철판에 딱 달라붙어서 떼어 내기 어렵네요. 자성 테스트는 성공입니다. 전자석 힘이 약해진 이유를 찾아라 이번에는 리모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티 나지 않게 리모컨을 주머니에 ... ...
[과학동아 키즈] 인공 뇌 연구의 최전선에 서기까지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사용
한다. 반면 이세돌 9단의 뇌는 주먹 두 개 정도의 크기(심지어 그중 일부만
사용
한다)로 시간당 20W의 에너지를 소비했다. 만약 인간의 뇌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인공 뇌를 만든다면 어떨까. 사실 이때 이미 인간 뇌의 동작을 모방할 수 있는 신개념 메모리로 ‘멤리스터(memristor)’가 개발된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내린 커피 한 잔 하실래요?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맛을 비슷하게 내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원두 가루의 알갱이를 크게 하고, 물을 덜
사용
하거나 원두의 양을 적게 써야 한다는 것을 밝혔죠. 연구팀은 이 방법을 쓰면 지금보다 커피 가격을 낮출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 ...
[교육뉴스] 어린이가 충분히 자야하는 이유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저하까지 초래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연구팀은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사용
해 10~13세 어린이 1만 1067명의 뇌를 촬영한 데이터를 제공받아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수면 시간에 따라 뇌의 부피가 변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요, 특히 의사결정 및 인지 과정에 관여하는 뇌의 ... ...
[매스미디어] 수학으로 보글보글 인생라면 레시피
수학동아
l
2020년 03호
쫄깃하고 탄력 있는 식감을 구현했어요. 밀가루를 만들 땐 밀의 껍질과 알맹이를 모두
사용
하는데, 밀가루의 등급이 높을수록 밀의 껍질보다 알맹이의 비율이 높아서 쫀득한 식감을 낼 수 있거든요. 짜파게티는 비벼 먹기 때문에 면도 더 굵고 탄력 있는 면발이고, 사리곰탕면은 곰탕 속 소면의 ... ...
이전
231
232
233
234
235
236
237
238
2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