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윈터 윙즈, 겨울엔 어떤 새를 만날 수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겨울에 필요한 지방을 제공해준다”며 “땅콩버터가 없으면 마가린이나 버터를 사용해도 된다”고 말했답니다.대원들은 직접 만든 먹이통을 들고 먹이통을 매달 장소를 찾아보았어요. 먹이통은 고양이 같은 포식자가 새들을 잡아먹지 못하게 얇은 나뭇가지 위에 걸어야 해요. 또, 덤불이 없는 너른 ... ...
- [에디터노트] 수소의 꿈, 상상의 힘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개발되는 대부분의 연료전지차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한다. (중략) 낙관적인 예측이긴 하지만 2040년경에는 판매되는 차량의 약 90%를 연료전지차가 차지할 전망이다.’지금으로부터 13년 전인 2007년 3월호 과학동아 특집 기사의 한 대목이다. 당시 분위기는 고무적이었다. 2001년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 ...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과학동아 l2020년 02호
- 41개 식품 유형 1454개 제품에서 식용 타르색소 9종의 함량을 분석했습니다. 모든 제품이 사용기준에 적합했고, 인체 위해성이 없다는 사실이 검증됐습니다. 강윤숙 식품의약품안전처 첨가물포장과 과장은 “72종의 식용색소는 이미 독성 실험을 통해 안전성을 확인했다”며 “시중에 판매되는 ... ...
- 2020년 vs. 2030년 에너지 다이어리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국민 1인당 에너지 사용량이 2035년경 7.3TOE에 이를 것으로 예측한다. 세계적으로도 에너지 사용량은 점차 늘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에너지 소비자에서 생산자로 전환돼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2040년 지구와 지구에서 살아갈 우리를 위해서 말이다 ... ...
- 제주에서 바닷바람을 느끼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해상풍력발전이 더 앞선다”고 설명했다. 현재 탐라해상풍력발전은 연간 2만50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국내 해상풍력단지 48곳 추진 중 사실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가 완공되기까지 주민과 사업자 사이에서는 치열한 공방이 이어졌다. 첫 논의가 진행된 2005년부터 2015년 4월 ... ...
- 10만 명 게놈 분석 아시아 첫 유전자 지도 공개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와파린 부작용을 일으키는 유전 요인의 빈도가 다른 민족에 비해서 높았다.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와파린이라는 항응고제에 유전적 요인으로 부작용이 나타나는 사람은 출혈이 지속된다. 와파린의 경우 약물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이 비교적 정확해 부작용을 쉽게 인지할 수 있는 편이지만, 자칫 ... ...
- [비하인드로켓] 마치산 중턱에 발사대를 세우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설계한 발사장을 한국의 원자재와 부품으로 건설하는 일이었다. 러시아는 오랜 기간 사용하며 검증한 러시아 측 원자재와 부품에 익숙했다. 이것을 한국산으로 대체한 뒤 러시아 전문가들에게 이를 설명하고 동의를 얻어내는 과정이 결코 쉽지 않았다. 제작 기간을 고려하면 필요한 원자재와 ... ...
- [미국유학일기] 대포가 쏘아 올린 방 배정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내가 사는 스위트룸의 경우 구성원들이 거실과 화장실, 샤워실만 공유하고 각자 1인실을 사용할 수 있어 사생활을 더 보장받을 수 있다. 그래도 결국 금요일 밤이 되면 모두 거실에 모인다. 그리곤 음식을 만들어 먹거나 맥주를 한 잔 마시며 수다를 떤다. 다른 곳에 사는 친구들을 초대해 놀기도 ...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진행되면서 우리 기술을 실내에서 움직이는 로봇이나 차량의 위치를 측정하는 분야에 사용하고 싶다는 제안이 곳곳에서 들어왔다. 이후 우리는 로봇, 지도, 차량 등 이동과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모빌리티 회사들과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특히 자율주행자동차의 실내 위치인식 기술을 ... ...
- 4000년 역사 ‘근의 공식’ 이제는 외울 필요 없다?! 2차 방정식 푸는 쉽고 새로운 방법 찾았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2차 방정식을 쉽게 풀 수 있는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지금까지 2차 방정식을 풀 때 주로 사용하던 근의 공식은 x에 관한 2차 방정식 ax²+bx+c=0(a≠0)에서 유도한 식(아래)에 각 계수를 대입해 근을 구합니다. 반면 로 교수는 두 근의 평균을 이용한 방법으로 계산 과정을 단순하게 만들었습니다. 아래 ... ...
이전235236237238239240241242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