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일러 프로젝트] 세 자릿수를 곱해 만들 수 있는 가장 큰 대칭수는? 조커수학동아 l2020년 03호
- 문자열로 정의하면 뒤집기가 더 쉽거든요. 이때 문자열은 수와 다르게 작은따옴표를 사용해 나타냅니다. 숫자를 문자열로 바꾸는 함수는 ‘str’입니다. 예를 들어 숫자 123을 문자열 ‘123’으로 바꾸는 명령어는 아래와 같이 씁니다. 2. 문자열을 마음대로 자르고 뒤집기‘잘라낸다’라는 의미가 ... ...
- 스타워즈 광선검이 탐난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김곤호교수는 “플라스마제트는 로봇의 기억장치를 만드는 반도체를 만들 때도 사용한다”며 “플라스마의 쓰임은 다양하다”고 말했어요. _INTERVIEW 유석재(국가핵융합연구소 소장)“우주에서 살려면, 플라스마가 필요해요!” 지난 1월 8일, 국가핵융합연구소 유석재 소장님을 만났어요. ... ...
- [과학뉴스] 세포 로봇의 등장! ‘제노봇’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제노봇은 인간의 몸 안에서 약물을 전달하거나 혈관에 낀 혈전을 긁어내는 데도 사용될 수 있어요. 더 나아가 물속에서 방사성폐기물을 찾아내 청소하거나, 해양에서 미세플라스틱을 수거할 수 있어요. 버몬트대학교 조슈아 본가드 교수는 “제노봇은 전통적인 기계 로봇과는 완전히 다르다”며, ... ...
- 화이트데이엔 직접 키운 ‘락캔디’로~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합니다. 즉 과포화된 설탕 용액에서 다시 입자로 바뀌는 설탕이 붙을 수 있는 중심체로 사용됩니다.막대를 과포화된 설탕 용액 속에 넣을 때, 처음에는 아무 생각 없이 용기에 막대를 비스듬히 담갔습니다. 그리곤 다음 날 막대가 용기의 벽과 바닥에 붙어버린 것을 보고 좌절했죠. 아! 아까운 ... ...
- 어제는 맞고 오늘은 틀리네? 코로나19 진짜 팩트 5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과정이 필요합니다. 반면 DNA 백신은 바이러스의 염기서열이 담긴 DNA 자체를 백신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별다른 처리 과정이 필요 없습니다. 바이러스의 염기서열만 있으면 2주 안에 제작할 수 있습니다. 국제백신연구소가 개발 중인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백신이 대표적입니다.다만 DNA 백신 자체가 ... ...
- “인공지능은 이미 여러분 옆에 와 있습니다” 김정호 KAIST ICT 석좌교수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것보다 100배 이상 빠르다”고 말했다. 이런 HBM은 수많은 데이터 학습이 필요한 AI에 사용되기 때문에 AI 반도체라고도 불린다.과학동아 AI 보드 어드바이저를 맡은 김 교수는 “미래사회는 분명 지금보다 AI 기술의 영향력이 클 것”이라며 “AI가 이미 현실에 와있다는 사실을 과학동아 독자들에게 ... ...
- 위아래로 접는다... 2ROUND 폴더블폰 전쟁과학동아 l2020년 03호
- 기술 구현이 쉽고 디스플레이가 바깥에 있어 반으로 접어도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바깥에 디스플레이를 덧붙일 필요가 없어 얇게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울트라 씬 글라스로 화면 구김 없애 곡률 반경이 작은 폴더블폰을 만들기 어려운 이유는 패널에 있지 않다. ... ...
- [기초과학의 힘] ‘산업의 감초’ 과산화수소, 더 싸게 더 많이과학동아 l2020년 03호
- 못했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가 산업에 적용되면 더 싼 가격에 과산화수소를 사용하면서 환경오염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다만 실제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몇 가지 관문이 남아있다. 성 부단장은 “연구단이 개발한 과산화수소 생산방식은 기존과 달리 전기를 이용하는 방식인 만큼 대형 ... ...
- [비하인드 로켓] 한국 항공우주 기술 자존심 높인 '나로호 2단 고체엔진'과학동아 l2020년 03호
- 페어링 분리구동장치 등으로 구성됐다. 배터리는 당시까지 발사체에 좀처럼 사용하지 않던 리튬이온기술을 적용했다. 배터리를 충·방전하며 용량을 시험하고 배터리에 전자부하를 임의로 가해 성능을 확인하는 시험을 더욱 꼼꼼하게 해야 했다. 전력분배장치는 파이로 충격 시험에서 충격 ... ...
- [미국유학일기]전공, 교양, 연구까지 소방호스로 쏟아붓는 공부량과학동아 l2020년 03호
- 지난 학기에 분산 컴퓨팅(distributed computing) 수업에서 공부했던 이론이 실제로 어떻게 사용되는지 궁금해 교수님께 직접 연구 희망 e메일을 보내 참여할 수 있었다. 연구 수업은 일주일에 한 번씩 교수님을 만나 경과를 보고하고, 토의 후 어떠한 방향으로 연구를 진행할지 지도받는 식으로 이뤄진다. ... ...
이전2332342352362372382392402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