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d라이브러리
"
배양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로 발견해 2007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요구르트 발효에 사용되는 대량의 유산균을
배양
할 때 세균 감염을 막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특히 유 산균을 죽이는 박테리오파지가 나타나면 애써 키운 유산균이 떼죽음을 당할 수 있다. 다니스코의 연구자들은 이렇게 떼죽음 당한 유산균 사이에서 ... ...
[지식] 곰팡이로부터 명약을 떠올리다!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보기로 결정했다.
배양
한 곰팡이는 다른 페트리로 옮겨 포도상구균과 같이 놓았다.
배양
액을 1000분의 1까지 묽게 만들었는데도 포도상구균이 잘 자라지 못했다. 플레밍은 이 곰팡이 속 어떤 물질이 강력한 항균작용을 한다고 확신했다. 처음에는 이를 ‘곰팡이 주스 여과액’이라고 불렀다. 그러다 ... ...
낮은 기온에서 더 활발한 감기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3호
하나는 체온과 비슷한 약 37℃에서
배양
시키고, 다른 하나는 그보다 낮은 약 33℃에서
배양
시켰지요. 그런 뒤, 각 세포에 대표 감기 바이러스인 리노바이러스를 주입했어요. 연구팀의 예상대로 리노바이러스는 온도가 낮은 세포에서 훨씬 빠르게 증식했지요.연구팀은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직후 ...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
수학동아
l
2015년 03호
인공 심장은 이미 3D 프린터로 만들고 있답니다. 최근에는 줄기세포를 3D 프린터로
배양
하는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Q 3D 프린터가 우리 일상에서 쓰이려면 어떤 발전이 있어야 할까요? 안혜영(내포중3)A 실패 확률을 줄여 3D 프린터의 신뢰도를 높이는 게 가장 중요합니다. 인쇄가 너무 오래 걸리는 것도 ... ...
PART 2. 기상천외한 해킹기술 5
과학동아
l
2015년 02호
바꾸 면 A4 용지 한 박스가 넘는다.그래서 분석가들은 악성코드를 자신의 컴퓨터에
배양
한다. 실제 바이러스를 생각해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새로운 바이러스가 나타났을 때, 실험용 쥐에 바이러스를 감염시키거나 우연히 감염된 환자의 사례 를 살펴보는 것처럼 말이다. 분석가는 자신의 컴퓨터 ... ...
[Knowledge] 매혹의 공생 생물, 지의류의 ‘버티는 삶’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탐낼 만큼 대단히 다양한 2차 대사물질을 만드는 것으로 밝혀져 있지만, 도무지 대량으로
배양
할 방법이 없어서 많은 학자들이 연구를 포기했을 정도다.바위나 나무에 붙은 사소한 얼룩처럼 보이는 지의류. 하지만 이들은 생태계의 일부로서 수억 년의 세월을 버텨왔다. 척박한 곳에서 언제나 가장 ... ...
[과학뉴스] 슈퍼박테리아 잡는 항생제, 3시간 내 찾는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세균의 반응을 현미경으로 관찰해 진단에 이용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 세균과
배양
액 혼합용액을 미세유체 기반의 바이오칩에 넣은 뒤, 다양한 항생제를 투입해 세포의 반응을 관찰하는 식이다. 서울대병원과 인천성모병원에서 189명의 균주를 얻어 시험 검사를 해봤는데, 미국 식품의약국(FDA ... ...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8호
같은 수정란에서 시작된 쌍둥이와 달리 이미 성장해서 유전자에 변화가 생긴 세포를
배양
한 것인 만큼 자라면서 나타나는 차이가 일란성 쌍둥이보다 더 클 수 있다”고 설명했다.형제와 같은 이란성 쌍둥이이란성 쌍둥이는 같은 날 태어났을 뿐 유전적으로는 보통 형제와 같아. 같은 유전자를 ... ...
[과학뉴스] 배아줄기세포로 중증 눈질환 치료 성공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이식해 환자들의 시력을 회복시키는 것이다. 광수용체는 망막색소상피세포보다
배양
하기가 더 까다로워 현재 동물실험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 차병원에서도 똑같은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직감적으로 신종을 알 수 있어요. 남들이 못 키우는 박테리아는 굉장히 작아요.
배양
이 되면 아주 작은 게 밤하늘에 있는 별처럼 다닥다닥 붙어 있어요." 미간을 살짝 찌푸리며 눈앞에 밤하늘을 상상하는 모습이 영락없는 천문학자다. 1969년 인간은 달에 발을 디딘다. 박테리아는 그로부터 8년이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