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d라이브러리
"
배양
"(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리의학상 - 체세포의 시계는 거꾸로 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수 있으며 무한정한 분열능력을 갖고 있다. 또 배아줄기세포처럼
배양
이 용이하며(같은
배양
조건에서 키울 수 있다) 본인의 체세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윤리 문제, 면역거부반응 문제도 없다. 또 피부세포 같이 채취하기 편한 세포로도 유도가 가능하기 때문에 임상적 접근성도 높다 ... ...
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헐떡헐떡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다른 쪽에는 모세혈관 세포를
배양
했다. 허파꽈리 조직과 똑같다. 세포가 자란 후
배양
액을 제거하면 칩에서 자란 폐세포가 공기에 노출되면서 인체와 유사한 환경이 만들어진다.“먼저 칩이 실제 허파꽈리처럼 움직이는지 알아봐야 했어요. 칩을 중간에 두고 양 옆을 진공 상태로 만들었죠.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씨앗에 해당하는 ‘아기 우주’를 만들어 냈다는 기사였다. 아기 우주가 인큐베이터에서
배양
중이라는 기사를 급하게 동료들에게 보내고 출근한 나는 팔불출이 돼 있었다.보기 좋게 속아 넘어갔지만 난 인간 안에 잠재하고 있는 우주에 대한 욕망의 끈을 엿볼 수 있었다. 인간은 신을 숭배하지만, ... ...
꽃집 장미는 모두 성형미인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1m)의 작은 금속 탄환에 붙여 고압으로 ‘캘러스’에 발사한다. 캘러스는 식물 세포를
배양
한 것으로, 씨앗처럼 완전한 식물체로 성장할 수 있다. 금속 탄환이 식물세포에 박힐 때 유전자도 함께 전달된다.유전자조작기술을 이용하면 파란 장미 외에도 그동안 불가능했던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다. ... ...
세균만 골라 죽이는 휴대용 플라스마 손전등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개발했다. 플라스마 손전등의 살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장에 기생하는 ‘장구균’을
배양
시켜 25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의 두께로 만든 뒤 5mm 떨어진 곳에서 약 5분간 플라스마를 쏴줬다. 두꺼운 생체막 속에 있는 세균은 대부분 파괴됐지만 세포는 손상되지 않았다. 코스타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플라스미드라는 고리 모양의 유전자에 껍질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끼워 넣은 뒤
배양
했다. 이렇게 만든 단백질이 가득 들어있는 용액 위에 얇은 지방막을 올려두면 단백질과 지방막 표면이 상호작용하면서 2차원 결정체를 만들 수 있다.다음으로 2차원 결정체를 투과전자현미경(TEM)에 넣고 ... ...
“게코도마뱀 발바닥에서 딱정벌레 날개를 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한 칩 안에 구현한 실험장치다. 서 교수팀은 지난 수년 동안 나노패턴 위에서 심장세포를
배양
해 마치 심장처럼 동조해 뛰게 만드는 데 성공했고(2009년) 다공성 물질 위에 신장세포를 키워 세포가 실제 신장의 환경처럼 인식하게 하는 데도 성공했다(2010년).“조직공학의 역사가 100년이 넘었지만 ... ...
Part1. 이 걸 먹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위염에 걸린 것이다. 더 확실히 하기 위해 그는 시료에서 얻은 균을 분리해 배지에서
배양
했다. 열흘 전 자신이 삼킨 것과 같은 균이었다. 마셜은 이 공로로 2005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 또 이 균은 위에서 생존하는 유일한 균으로 기록됐다.거미도 오줌은 역겨워실험을 위해 어느 것이든 먹는 ... ...
Part5. 이사하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말했다.“알아요. 인공 뇌죠. 저기 있는 건 인공 몸이고요. 세포 단계에서 부분을 따로
배양
해서 합치죠. 자라기도 하고 늙기도 하고 죽기도 해요. 살아 있는 건 아니지만 무생물이라고 보기에도 애매하죠. 보아하니 본인 세포를 쓴 것 같네요.”“나는 오늘 여기로 옮겨 갈 거야.”청년은 잠시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초기 발생 단계의 배아 내부에 있는 안쪽 세포 덩어리(ICM)를 분리해서 미분화된 상태로
배양
함으로써 생쥐 배아줄기세포를 만들었다. 이 세포는 체외에서
배양
(증식)이 가능하며 외부 조건에 따라 생쥐의 몸을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로 분화되는 전분화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생물학이나 의학에서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