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배양"(으)로 총 82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한국은 에볼라 무방비 국가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몇 가지 검사를 더 한다. 간접면역형광항체법(IFA), 효소면역분석법(ELISA), 바이러스 분리배양 등이 있다. 여러 번 검사하다보면 점점 100%에 가까워진다. 이런 과정을 거쳐 ‘확진’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RT-PCR 장치밖에 쓸 수 없기 때문이다. 확진을 위해서는 에볼라 바이러스를 ... ...
- PART 2. 한 달 만에 인공신장 만든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무중력 환경이라면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특히 줄기세포는 중력의 방해가 없을 때 배양 속도가 획기적으로 빨라진다. 제로그래비티 솔루션스의 리처드 갓윈 CEO는 “우주라면 30~35일 안에 줄기세포로 신장을 만들 수 있다”며 “우주에서 만든 인공신장은 매우 비싸겠지만 그래도 구입하려는 ... ...
- [가상인터뷰] 손가락 형성의 비밀, 수학으로 풀다!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모델이 실험적으로도 입증이 된 건가요?제임스 샤프 교수 : 우리 연구팀은 손끝 조직을 배양시켜, 실제로 만들어지는 패턴과 연구팀의 모델로 예측한 패턴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우리가 만든 모델이 정확하다는 것이 증명된 셈이죠. 이번 연구 결과는 앞으로 다지증 같은 손가락과 관련된 ... ...
- Part 1. 줄기세포 치료제 언제 나오나과학동아 l2014년 07호
- 배양액도 이 정도로 막연한 기대뿐이다. 그런데 가격은 비싸다. 작년 초 ‘줄기세포배양액 화장품’이 하도 활개를 치자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위·과대광고 특별점검을 실시해 ‘피부 재생’이나 ‘세포 재생’이라는 말을 쓰지 못하도록 했다. 그런 효과가 가능하다면 애당초 의약품이지 ... ...
- 두유노우 마우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과학기술이 발달해서 컴퓨터로 단백질 구조를 분석할 수 있고, 사람 세포를 인공적으로 배양해서 인공 피부나 인공 각막을 만들어 동물 대신 실험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어떤 방법도 동물 실험만큼 효과가 검증되지 않았어요. 동물 실험은 앞으로도 계속된다는 뜻이지요. 과학이 ... ...
- Part 2. 직접교차분화, 암 뛰어넘는다과학동아 l2014년 07호
- 좀더 파고들었다. 연구 끝에 야마나카 인자를 짧은 시간동안만 발현시키고 적절한 배양 조건을 가해주면 목적세포로 분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그 결과로 피부세포를 심장근육세포로 바꿀 수 있었으며, 중배엽성의 섬유아세포를 외배엽성의 신경줄기세포로 직접교차분화시킬 수 있다는 ... ...
- 2009년 노벨 생리의학상 캐럴 그레이더 박사 "무한반복 실험 즐겼더니 노벨상 받았죠"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텔로미어를 효모 세포의 염색체에 붙여보면서 세포 수명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했다. 배양액 등 여러 조건을 바꿔봤다. 1984년 크리스마스, 평소처럼 출근한 그레이더는 염색체 끝에서 텔로미어를 만드는 효소를 드디어 발견했다. 실험실의 세포들이 그레이더의 소원을 들어준 것이다. 이 효소가 ... ...
- “볼펜부터 휴대전화까지, 화학이 없는 곳이 있던가요?”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꿈입니다. 화학생물공학부에서도 가능할까요?A 물론입니다. 백신은 미생물이나 생물로 배양해 만드는데, 실제로 우리 졸업생들이 녹십자 등에서 백신 연구를 주도하고 있어요. 신약도 가능합니다. 단백질 계통 신약과 화학물질 계통 신약으로 나뉘는데, 우리 학부에는 단백질, 미생물, 효소를 ... ...
-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과학동아 l2014년 03호
- 해결했다. 배아줄기세포를 키우던 배지에 부신피질자극호르몬을 넣고 스탭세포를 배양했더니,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수준의 자가재생능력까지 나타났다. 마침내 ‘스탭줄기세포’가 된 것이다.여기서 끝이 아니다. 정상세포에 비해 염색체가 2배(사배체)가 되는 ‘사배체보완실험’에서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각각의 미생물 유전체를 서로 비교하는 일은 꿈도 꾸지 못한다. 미생물 하나하나를 배양해 염기서열을 분석한 뒤 비교해야 했던 과거에는 20~30개의 미생물 유전체를 비교하는 일도 버거웠다. 하지만 이제는 1만 개씩의 유전체를 서로 한꺼번에 비교할 수 있는 수준이 됐다. 이를 이끈 것은 차세대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