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혼자"(으)로 총 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백인 미국인은 한국인을 어떻게 볼까?2016.11.15
- 흔들리지 않는 자기만의 규칙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혹은 모두가 YES 또는 NO 라고 할 때 혼자 반대로 행동할 수 있는 사람들은 생각보다 드물다. 이렇게 행동 규범을 외주하는 인간으로서 차별주의자들 (및 차별에 대해 평소 별 다른 생각이 없던 사람들)의 경우 자신과 같은 차별주의자, 또는 적어도 ... ...
- ‘이해하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별개!2016.11.05
- 이미 상대방에 대한 많은 걸 알고 있다고 해서 사랑을 실제 충분히 ‘주었다(action)’고 혼자 착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만한 일이다. ※ 참고문헌 Winczewski, L.A., Bowen, J.D., & Collins, N.L. (2016). Is empathic accuracy enough to facilitate responsive behavior in dyadic interaction? Distinguishing ability from motivation. ... ...
- 우리는 보노보를 롤모델로 삼아야 할까?2016.10.25
- 미국에서도 해가 떨어지면 밖에 나가기 겁난다고 했다. 한마디로 한국은 밤에 여자 혼자 마음 편히 다녀도 되는 안전한 사회라는 인상을 받았다는 말이다. 수 년 전 필자는 미국에 한 열흘 출장을 다녀왔는데 그분의 얘기와는 달리 한국과 별 차이를 못 느꼈다. 유럽풍 도시라는 동부 보스턴과 ... ...
- 독서의 계절 가을, 독서 문외한을 위한 안내서2016.10.21
- 전국 곳곳에서 조용히 인기를 끌고 있다. 삭막한 도시에서 벗어나 책과 함께 오롯이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고 싶다면, 아이들과 함께 마음의 양식을 쌓는 시간을 보내고 싶다면, 책으로 떠나는 여행을 추천한다. ... ...
- 내 감정 재평가하기 vs 억누르기, 무엇이 효과적?2016.10.18
- 크게 재평가하기(reappraisal)와 억누르기(suppression)의 두 가지가 나타났다. 3) 사람들은 혼자 있을 때보다 타인이 함께 있는 상황에서, 친구나 가족 등 친밀한 관계의 사람들보다 낯선 사람과 함께 있는 상황에서 더 감정을 잘 조절하려고 노력한다. 연구자들은 감정 조절 전략을 모락모락 피어나는 ... ...
- [타운이 만난 사람-멘티편] 창업의 새로운 패러다임, 집단지성에 있습니다동아사이언스 l2016.08.25
- 제 결정이 결실을 맺을 수 있게 해 준 고마운 곳이지요. 앞으로 창업하시는 분들도 혼자 고민하시기보다 집단지성의 힘을 빌어 난관을 쉽게 헤쳐나가실 수 있기를 빕니다.”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본 콘텐츠는 창조경제타운(www.creativekorea.or.kr)의 3주년 기념 기획 인터뷰, ...
- 생각하길 좋아하는 사람이 게으르다?2016.08.16
- 않냐고 물어보면 되려 그런 질문을 하는 게 이해가 안 간다는 표정을 짓곤 하는 친구다. 혼자서도 충분히 지루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외부 자극을 찾아서 바깥으로 나가야 하는 수고를 감내할 필요가 없겠다는 느낌을 받곤했다. 즐거움을 머리 속에서 어느 정도 자족할 수 있는 ... ...
- 국제학술지 표지논문 영광 뒤엔 화려한 그림 한 장동아사이언스 l2016.08.01
- 연명했어요. 생선 가공 공장에 이력서를 넣어본 적도 있고요.” 그러다가 기회가 왔다. 혼자 작업한 3D 그래픽을 블로그에 올려놓았는데, 이를 본 이우영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가 과학논문 표지그림을 그려 달라고 연락해왔다. 논문 그림을 그리는 건 처음이었지만 두 편이 연속으로 국제 ... ...
- 사람을 사냥꾼으로 부리는 꿀잡이새를 아시나요? 2016.07.25
- 되고 사람을 피하지 않다보니 쉽게 붙잡힌다는 것이다. 아마도 어릴 때부터 길이 들어 혼자 사냥하는 능력이 부족한가보다. 소설을 보면 매사냥을 할 때 매가 도망치지 못하게 하는 요령이 나온다. 즉 굶주린 매가(사냥 전 며칠을 굶긴다) 포획한 사냥감을 배불리 먹기 전에 얼른 가서 다리에 줄을 ... ...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2016.07.19
- 즉각적인 결과가 나오지 않는 연구는 다 중지시켰습니다. 이때 알베르트 슈페어 혼자 평가를 했습니다. 당시 우리는 원자로가 제대로 작동한다는 첫 신호를 얻었죠. 처음으로 중성자가 늘어난 겁니다. 13퍼센트로 증가폭이 크지는 않았지만 아무튼 시작이니까요. 보어: 1942년 6월? 시카고의 ... ...
이전2021222324252627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