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실"(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변신 3- 누가 돼지를 둔하다고 했나 감각적인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유전체를 전부 알아냈어요. 그 결과 돼지의 후각이 다른 동물보다 훨씬 뛰어나다는 사실을 밝혔지요. 유전체 해독 결과, 돼지의 후각 수용체 유전자는 총 1300개 정도로, 후각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개보다 많았어요. 개는 보통 1100개 정도의 후각 수용체 유전자를 지니거든요. 이는 후각 수용체 ... ...
- [지구사랑탐사대] 나는야 우리 동네 생태연구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수 있었지요. 그 결과, 유다은 대원은 수로가 변하면 개구리 개체 수가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흙 수로가 콘크리트 수로로 바뀌자 개구리 개체 수가 줄어들었거든요. 유다은 대원은 “수원청개구리의 서식지를 지키기 위해 행동할 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어요. 이 연구는 전국 ...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과학동아 l2019년 01호
- kg의 샘플을 지구로 가지고 왔다. 이를 통해 달 표면이 매우 부드러운 흙으로 덮여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하쿠토 팀이 개발한 로버는 자동차처럼 네 바퀴로 움직인다. 달의 부드러운 흙 속에 바퀴가 파묻히지 않고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에는 넓적한 톱니를 달았다. 길이 58cm인 몸집에 비해 바퀴 ...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화학 연료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연료가 타며 대기 중으로 오염물질도 배출한다. 사실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꿈의 엔진’이 있기는 하다. 바로 ‘이온엔진’이다. 이온엔진의 원리는 간단하다. 우선 엔진 앞부분에서 특정 기체 분자를 이온화(플라스마화) 시킨다. 기체 분자에 높은 ... ...
- [매스미디어]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수학동아 l2019년 01호
- 속 상황 실현 아직은 먼 이야기 그렇다면 드라마는 현재 기술에 비춰볼 때, 어느 정도 사실적일까? 드라마 속에서 화제가 된 물건 중 하나는 스마트 렌즈다. 보통 증강현실은 스마트 글래스나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하는데 드라마에서는 스마트 렌즈를 착용했다. 하지만 아직 이런 스마트 렌즈는 ... ...
- [오일러 프로젝트] 동전으로 2파운드를 만드는 경우의 수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9년 01호
- 화폐 체계가 정립되는 과정에서 현재 사용되는 10진법이 아닌 12진법과 20진법이 쓰였다는 사실이다. 페니의 복수형이 ‘펜스’이고, 페니와 파운드 사이에 ‘실링’이라는 화폐 단위가 하나 더 있었다. 1실링은 12펜스였고, 1파운드는 20실링으로, 바로 이 실링과 페니, 실링과 파운드 사이에 12진법과 2 ... ...
- Part 2. 변신 2 - 사람을 살린다! 의료용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호주 오스틴병원 이안 맥켄지 교수팀이 돼지와 사람의 세포막 모양이 다르기 때문이란 사실을 알아내 발표했답니다. 동물의 세포 표면에는 다양한 탄수화물이 붙어있어요. 동물에 따라 탄수화물의 종류도 달라지죠. 예를 들어 돼지나 소 등 대부분의 포유동물의 단백질에는 ‘알파 ... ...
- [지구사랑탐사대] 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닥터구리 유다은 대원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수원청개구리 개체 수가 줄어들었고, 황등면 일대에서는 수원청개구리 개체 수가 늘어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 제 생각엔 흙 수로가 콘크리트 수로로 바뀌면서 수원청개구리 개체 수가 줄어든 것 같아요. 작년엔 전국과학전람회에 이 문제를 해결할 생태 통로를 제안해 특상을 받았답니다 ... ...
- [가상인터뷰] 웜뱃의 주사위 모양 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해부했어. 그 결과 웜뱃의 장은 딱딱하고 움푹 파인 부분과 부드러운 부분이 반복된단 사실을 알아냈지. 연구팀은 장의 딱딱한 부분에서는 똥의 평평한 면이 만들어지고, 부드러운 부분에서는 모서리가 만들어진다고 추측했단다. 연구팀은 이렇게 완성된 네모난 똥이 딱딱하기 때문에 항문을 ... ...
- [과학뉴스] 2억 개의 흰개미 언덕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연구를 시작했답니다. 그 결과, 마틴 연구원은 흙더미의 정체가 흰개미 언덕이라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흰개미 언덕은 흰개미가 사는 집이에요. 흰개미는 0.5cm 정도의 작은 몸으로 1m에서 최대 8m에 달하는 집을 지어 자연의 건축가라 불리지요. 이번에 발견된 흰개미 언덕은 약 18m 간격으로 23만km2에 ... ...
이전2492502512522532542552562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