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실"(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빨간 장미가 있다면, 모든 까마귀는 검은색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척추동물이다’란 가설을 생각해 봐요. 이때 ‘지렁이는 포유동물이 아니다’란 사실이 가설을 입증할 수 있을까요? 이 경우, 빨간 장미와 비슷해요. 가설의 대우는 ‘척추동물이 아닌 것은 포유동물이 아니다’인데, 이때 ‘척추동물이 아닌 지렁이는 포유동물이 아니다’가 가설을 입증한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호와 채윤이의 마지막 미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속도를 뜻해요.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인 ‘에너지’와 물질의 고유한 양인 ‘질량’이 사실은 같은 것으로, 서로 바뀔 수 있다는 뜻이죠. 1910년대 말, 영국의 물리학자 프랜시스 애스턴은 수소와 헬륨의 질량을 측정해 보았어요. 그랬더니 수소 원자핵 4개의 *원자량은 4.032, 헬륨 원자핵 1개의 ... ...
- [기획] 2018 어과동 어워드 당신의 기자에게 투표하세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연구진은 하품의 지속시간은 대뇌피질의 신경세포 수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어요. 즉, 뇌 구조가 복잡할수록 하품을 길게 하는 거예요. 연구를 이끈 앤드류 갤럽 박사는 “이번 연구는 뇌의 온도를 떨어뜨리기 위해 하품을 한다는 가설에 힘을 실어 주는 결과”라며, “어른이 ... ...
- Part 2. 열기구에서 이온비행기까지, 비행기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사실 하늘을 날고 싶다는 꿈은 아주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어. 그래서 우리 형제 외에도 많은 사람들이 하늘을 날기 위해 수많은 도전을 했단다. 그리고 그 도전은 열기구에서부터 시작되지. 라이트 형제로 한 번, 제트엔진으로 한 번! 사람이 하늘을 비행한 공식적인 첫 기록은 1783년 프랑스의 ... ...
- [JOB터뷰] 한국 대표 공룡 점박이를 만들다! 한상호 감독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난감했어요. 한동안 ‘공룡이 이래도 될까?’라는 질문에 묶여 있었지요.” 그는 상상과 사실을 균형 있게 반영하려고 최신 논문 등을 챙겨보며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지요. “공룡의 모습은 변화하고 있어요. 에서 벨로키랍토르는 뱀 같은 비늘 피부로 표현됐어요. 그런데 2007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가늘고 긴 막대 모양으로 생겼고, 어떤 세포들은 끝이 뾰족한 원뿔 모양으로 생겼다는 사실을 알아낸 거지요. 두 세포는 하는 일도 달라요. 막대세포는 빛에 민감해서, 엄청나게 약한 빛도 감지할 수 있어요. 대신 색깔을 구분하는 능력은 떨어지죠. 원뿔세포는 좀 더 강한 빛에 반응하는 시각 ... ...
- 레이저 쏘아 외계인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우주로 쏘면 태양에서 4광년 떨어진 행성 ‘프록시마-b’에서도 감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또, 지름이 45m, 1MW라면 태양에서 약 39광년 떨어진 ‘트라피스트-1’ 항성계에서 보인다고 밝혔답니다. 프록시마-b와 트라피스트-1는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다고 밝혀진 곳이에요. 만약 이곳에 ... ...
- Part 1.별자리, 누가 왜 만들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범람할 시기가 되면, 하늘의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가 새벽에 동쪽으로 떠오른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그래서 지금의 달력으로는 매년 6월 말인 이 시기를 1년의 첫 달로 정하고 농사를 지었지요. 이렇게 고대인들이 하늘을 관찰하고 익숙한 별 무리에 이름을 붙이면서 별자리도 자연스럽게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물로 된 껍질을 만들지요. 그리고 마지막에는 모두 물방울로 변해요. 간단해 보이지만 사실 여기엔 물의 ●표면장력과 같은 다양한 물리적 현상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답니다. ●표면장력:액체의 표면을 작게 하려고 작용하는 힘 연구를 주도한 주시 라이노넨 연구원은 “이번 연구 자료는 눈에 ... ...
- [핫이슈] 크리스마스를 훔쳐라! 그린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2012년 열화상 카메라로 순록의 코를 관찰했어요. 그 결과 순록의 코에서 열이 난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연구진은 순록의 코에 있는 모세혈관이 사람보다 25% 더 밀집해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지요. 북극과 가까운 추운 기후에 사는 순록은 털이 많아서 추위를 잘 견디지만, 그만큼 열을 밖으로 ... ...
이전2502512522532542552562572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