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초
국향
알
알맹이
알갱이
입자
알멩이
스페셜
"
난
"(으)로 총 39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올리버 색스와 신경퇴행성질환 리티코-보딕 이야기
2018.09.18
때 들은 말을 회상하는 부분이 있다. 당시 레너드는 “누가 밝혀내든 관계없네”며 “
난
그저 그때까지 살아있기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지만 ‘그때까지 살아있지 못하고’ 2001년 79세에 타계했다. 컬렌드의 연구를 바탕으로 콕스가 원인을 밝혀냈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안타까운 일이다. ... ...
[강석기 과학카페] 한때 언어 유전자로 불렸던 FOXP2 이야기
2018.09.11
경우 어떤 말을 할까. 아마도 알렉스보다는 수준이 더 높을 것이다. 만일 이런 일이 일어
난
다면 그저 하드웨어 구축에만 기여했을 뿐인 FOXP2에게 대중매체는 다시 언어 유전자의 지위를 부여하지 않을까.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이 되는 독액 이야기
2018.09.04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 결과 안전성과 효과가 확인돼 신약 개발의 한고비를 넘겼다. 지
난
수십 년 동안 독액에서 치료제를 찾는 연구가 많이 진행됐지만 아직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 청자고둥의 경우 독액을 지닌 700여 종에 들어있는 펩티드가 10만여 가지로 추정되는데 현재까지 실체가 확인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그런데 샌달로어로 OR2AT4를 활성화시키자 이번에는 세포분열이 활성화되면서 표피에
난
상처가 빠르게 치유됐다. 암 진단지표 또는 치료표적으로 코가 아닌 곳에서 발견되는 후각수용체와 관련된 또 다른 놀라운 사실은 여러 암세포에서 후각수용체 발현의 이상이 관찰된다는 점이다. 예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소매 가격은 더 비쌀지라도 실제 비용을 전부 고려한다면 비싼 것도 아니다.” 지
난
주 경기도는 이달 말이나 늦어도 내달 초에 도내 ‘가축행복농장’ 40곳을 지정한다고 발표했다. 제도가 안착되면 2022년까지 400곳으로 늘릴 계획이다. 가축행복농장으로 인증받으려면 마리당 소는 10㎡, 돼지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발현이 줄었다. 테오도어 보베리의 주장대로 단세포성이라는 ‘고대의 표현형’이 드러
난
것이다. 그렇다면 정상 인체 세포에서 단세포 유전자와 다세포 유전자는 각각 어떤 역할을 할까. 단세포 유전자는 세포 주기와 대사 과정에 주로 관여했다. 즉 세포가 분열하고 성장하는데 필요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증후군을 보인 디랙은 “반물질의 철학적 의미를 설명해달라”는 질문에 대해 “
난
그런 거 모른다. 그저 계산(수학)의 결과일 뿐”이라고 퉁명스럽게 답하며 말을 끊었다. 설사 아인슈타인이 자폐 성향이 아니었더라도 10년 넘게 고도로 집중해서 상대성이론 연구를 하다 보니 사회성이 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위로가 필요한 나에게 무슨 말을 할까?
2018.06.02
생각을 확고하게 가지고 있을수록 그렇지 않은 현실을 잘 견디지 못하는 부작용이 나타
난
다는 것이다. 반면 자존감과 상관 없이 스스로에게 너그러울 줄 아는 사람들은 모든 사람들이 적어도 한두번 실패하는데 내가 실패한 게 뭐 대수냐며 다음에 더 잘 하면 된다고 마음먹고 실제로 더 많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
2018.05.14
어느 정도 이상이면 주책맞게 계속 꽃을 피우는 것이다. 교배를 통해 올드 블러시의 고장
난
KSN 유전자가 유입된 결과 현대장미(하이브리드 티 계열) 역시 오랜 기간 꽃을 피울 수 있게 됐다. 한편 홍조(blush)라는 이름을 낳은 올드 블러시의 고운 분홍색은 시아니딘(cyanidin)이라는 색소에서 비롯한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
2018.05.01
투여하면 꽤 효과가 있을 거라는 얘기다. 이에 따라 일본 토야마화학은 지
난
3월부터 파비피라비어를 SFTS치료제로 쓰는 본격적인 3상 임상시험에 들어갔다. 참고로 2014년 에볼라 임상 때도 그렇고 2016년 SFTS 임상도 우리가 알고 있는 전형적인 임상은 아니다. 즉 환자의 절반에게는 진짜 약을 ... ...
이전
21
22
23
24
25
26
27
28
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