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난초
국향
알
알맹이
알갱이
입자
알멩이
스페셜
"
난
"(으)로 총 39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때 정상 생쥐는 시간의 87%를 탐색활동에 보내지만 전뵈트징어복합체의 특정 뉴런이 고장
난
녀석들은 62%에 그쳤다. 반면 털을 고르는 시간은 세 배 더 길었고(10% 대 31%) 가만히 앉아있는 시간도 두 배 더 길었다(3% 대 7%). 연구자들은 이런 행동이 청반이 고장 났을 때 보이는 행동과 비슷하다는 점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사서 복용하고 삶의 소소한 즐거움인 커피까지 끊고 나서야 간신히 회복했다. 지
난
여름 이후 ‘다행히’ 무소식이 희소식인 상태로 지내고 있는 위에게 이 자리를 빌려 모처럼 안부를 전하며 글을 마친다. “이보게 위, 그동안 잘 지냈나? 자네의 수고는 늘 고맙게 생각하고 있네. 앞으로도 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신경생성을 둘러싼 논란이 어떻게 정리될지 궁금하다. 만일 일어나지 않는 걸로 결론이
난
다면 신경과학계는 큰 타격을 입을 것이다. 2000년대 들어 많은 연구가 성인 신경생성을 전제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만일 그게 아니라면 굳이 이런 연구에 세금을 쏟아부을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 글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개인맞춤 치료 시대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24
당시에는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는 방법을 찾지 못했다. 그로부터 약 100년이 흐르고
난
최근에 들어서야 효과를 보이는 면역항암제 연구가 속속 발표됐다. 그 중에서도 ‘T세포’를 이용해 암세포를 파괴하는 면역항암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면역 체계를 조절하는 세포에서 발현된 T세포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사람을 찾아 이들이 그 믿음을 널리 퍼뜨리게 돈을 댄 것”이라고 썼다. 제당업계가 지
난
반세기 동안 영양학계를 풍미한 ‘저지방 식단’ 패러다임을 기획한 게 아니라 편승한 것이라는 말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과학칼럼니스트 (kangsukki@gmail.com)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신은 칼슘맛을 느끼십니까
2018.02.13
초파리는 혀가 없고 대신 주둥이끝(labellum)이나 다리의 털(sensilla)로 맛을 감지한다. 지
난
2013년 주둥이끝의 뉴런에 있는 IR76b라는 나트륨 이온 통로 단백질이 저농도의 기분좋은 짠맛을 감지하는 수용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최근 한미 공동 연구자들은 IR76b이 IR25a, IR62a와 함께 고농도의 불쾌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청바지 파란색 인디고, 녹색으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18.01.23
물이 빠진 상태를 기다리지 못해 물을 뺀 상태의 청바지를 사는 사람들도 많다. 지
난
해 번역출간된 ‘청바지 인류학’이라는 책에서 로베르타 사사텔리 이탈리아 밀라노대 사회학과 교수는 “다른 의복과 달리 청바지 표면의 반복 착용과 색 바랜 흔적 속에 숨은 시간은 일종의 부가가치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술이 안 받는 사람은 안 먹는 게 낫다!
2018.01.16
이런 결과는 Aldh2 유전자 양쪽이 다 변이형인 실험동물과 여기에 Fancd2 유전자까지 고장
난
실험동물을 정상 동물과 비교한 것이므로 극단적인 상황이다. 그럼에도 연구자들은 논문 말미에서 Aldh2 변이형인 사람이 자주 알코올에 노출될, 즉 술을 마실 경우 DNA이중나선이 끊어지고 염색체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라테도 이중 확산 대류가 일어
난
결과라고 해석했다. 에스프레소를 우유에 부은 뒤
난
류(얼룩)가 가라앉아 층이 형성되면서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우유 비율이 늘어나는, 즉 연속적으로 밀도가 커지는 밀도차가 생긴다. 그리고 액체가 식을 때까지 유리잔 안 액체와 밖 공기와의 온도차가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상보적인 가닥에 티민(T) 대신 아데닌이 들어와 결국 A에서 T로 바뀌는 변이가 일어
난
다. TP53 같은 암억제 유전자에 이런 변이가 일어나면 암이 생길 수 있다. - 미국 보건사회복지부 제공 싱가포르와 대만의 공동연구자들은 먼저 대만의 간암 환자 98명을 대상으로 암세포의 전체 엑솜(게놈에서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