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난"(으)로 총 39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2017.03.28
- 딱정벌레가 낳은 애벌레를 즐겨 먹기 때문이다. 산불다양성의 생태적 효과는 불이 난 이듬해보다는 10년이 지났을 때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기후변화로 대형 산불이 잦고 생태계도 취약해지면서 산불 정책도 억제 일변도에서 필요할 경우 불을 내는 전략으로 전환되고 있다. 스페인 동남부 ... ...
- 잠이 모자란 판사는 형량을 더 높게 선고한다?2017.03.25
- 등의 영향에 취약하다는 결과들이 있었다고 하니, 이는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더라도 잠을 얕보지 말도록 하자. ※ 참고문헌 Cho, K., Barnes, C. M., & Guanara, C. L. (2017). Sleepy punishers are harsh punishers: Daylight saving time and legal sentences. Psychological Science, 28, 242–247. ※ 필자소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2017.03.21
- 그 결과 박테리아의 증식이 억제된다. 2004년 면역학자들은 리포칼린2 유전자가 고장난 생쥐를 만들었지만 그 특징 가운데 하나가 비만이라는 데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컬럼비아대 코우스타니 교수팀은 내분비기관으로서 뼈를 재조명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었다. 지방세포가 렙틴을 비롯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2017.02.28
- 맞게 적응돼 있음을 잊어서는 안 된다”고 쓰고 있다. 이와 관련해 놀라운 연구결과가 지난 2011년 ‘사이언스’에 실렸다. 미국 중서부에 사는 한 말벌(Polistes fuscatus)은 정교한 계급사회를 이루고 있는데 각 구성원의 얼굴을 기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각자 얼굴의 노란색과 검은색 패턴이 다른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충식물 세팔로투스 게놈을 해독해보니...2017.02.21
- 얻는 해결책을 찾은 것이다. 따라서 영양이 풍부한 환경에서는 식충식물이 광합성에 뛰어난 평범한 잎만 지닌 식물들과의 경쟁에서 오히려 밀린다고 한다. 즉 식물이 벌레에 입맛을 들이게 된 건 탐욕스러워서가 아니라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고육책이었던 셈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 죄책감을 덜 느껴야 하는 이유2017.02.12
- 반면 이런 걱정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타인에게 피해를 주고 난 후에도 ‘괜찮아. 아무도 못 봤어’라거나 ‘그럴 수도 있지 뭐’라며 죄책감을 별로 느끼지 않는 사람이 있는 반면, 아무도 뭐라고 하지 않아도 ‘내가 왜 그랬을까’라며 자신의 행동을 끊임없이 반성하며 ... ...
- [지뇽뇽의 色수다] (ep8) 어떤 여성들이 포르노 업계에 종사할까?2017.01.15
- 내리는 것은 섣부른 시도가 될 것이다. 다만 한 가지 걸리는 점은 남성 포르노 스타가 ‘난 내 일을 즐기고 있어!’라고 하면 쉽게 믿어줄 것 같다는 점이다. 유독 여성 포르노 스타에 대해 이미 망가진 여자니까 이런 일을 하는 거라는 ‘손상된 제품 가설’이 적용된다는 점은 우리 안의 ‘편견’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2017.01.04
- 이런 수면장애의 주원인이 생체시계 교란이다. 생체시계의 주요 유전자인 Bmal1이 고장 난 생쥐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이상 가운데 하나가 사람의 신경퇴행성질환에 해당하는 증상인 이유다. 한편 Bmal1이나 Clock 유전자의 단일염기다형성(SNP)을 조사한 결과 특정 변이형을 지닌 경우 알츠하이머병이나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6)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분자를 발견한 '해리 크로토'2016.12.19
- 크로토의 부고를 썼다. ‘세상에 온 순서는 있어도 가는 순서는 없다’는 옛말이 실감난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0] 발 냄새와 낫토와 청국장2016.11.28
- 즉 냄새 정보가 냄새 지각에 큰 영향을 준 것이다. 친숙함 평가를 보면 실체를 알고 난 뒤 대부분 점수가 올라갔는데 유독 노루발풀향만 오히려 떨어졌다.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노루발풀이라는 정보를 알아도 낯선 이름이기 때문에 오히려 더 멀게 느껴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메이플향의 경우 ... ...
이전24252627282930313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