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난"(으)로 총 395건 검색되었습니다.
- 1941년 하이젠베르크는 왜 보어를 방문했을까2016.07.19
- 세부적인 논의는 필요없다고. 그리고 자네는 지난 2년 동안 그 일에 전념했다고. (중략) 난 자네가 우리가 고생하고 있지 않다는 걸 스스로에게 확신시키고 만일 우리가 위험한 상황에 처해 있을 경우 모든 방법을 동원해 도와주려고 우리를 방문했다는 인상을 강하게 받았네. 즉 하이젠베르크가 ... ...
- 그레고르 멘델을 변호하다2016.07.04
- 전략을 보이는지 알아보기로 했다. 즉 완두 싹이 나면 가운데 뿌리를 자른 뒤 양옆으로 난 뿌리를 각각 다른 화분에 심는다. 그 뒤 한쪽 화분은 영양분을 일정하게 공급하고 다른 쪽 화분은 편차가 크게 공급한다. 이때 영양분의 평균값은 같다. 연구자들은 뿌리의 양으로 식물의 투자전략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72] 보톡스 맞으면 뇌도 마비된다2016.05.16
- 뒷받침하는 실험들이 많다. 예를 들어 한 그룹은 펜을 입술로 고정하게 하고(약간 화난 표정이 된다) 다른 그룹은 이로 물게 한 뒤(웃는 표정이 된다) 같은 카툰을 보게 한 뒤 평가하게 하면 펜을 이로 문 그룹이 더 재미있다고 평가한다. 펜을 입술로 고정한 그룹은 재미있는 내용을 봐도 웃음을 ... ...
- 잔인한 말로 가하는 충격 요법, 다이어트에 정말 효과있을까?2016.04.26
- 주변의 인정과 사랑에 기대고 있는 사회적 동물인 우리는, '괜찮아 잘하고 있어. 난 네 편이야'라고 해주는 사람들이 곁에 있는 것 만으로 때로 무적이 될 수 있다. ※ 참고문헌 Major, B., Hunger, J. M., Bunyan, D. P., & Miller, C. T. (2014). The ironic effects of weight stigma.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51, 74-80. ... ...
- 현생인류 Y염색체에 네안데르탈인의 흔적 없다2016.04.11
- 성염색체가 다른 성, 즉 사람의 경우 XY인 남성을 뜻한다. “두 이종 동물 사이에서 태어난 새끼 가운데 한쪽 성(sex)이 없거나 드물거나 불임일 경우 그 성은 이형염색체배우자 성이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 ...
- 똑똑한 온실을 넘어 지속가능한 농업으로동아사이언스 l2016.02.26
- 최적화하고, 공장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농업에 활용하고, 발전소의 폐열을 시설 난방에 사용하는 식으로 에너지와 물질의 흐름을 만들고 이를 적절히 제어한다면 지속가능하면서도 부가가치가 높은 농업 환경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본 콘텐츠는 녹색기술센터에서 발행한 ...
- 지카 바이러스와 소두증2016.01.25
- 여러 병원체에 대한 검사를 했지만 모두 음성으로 나왔다. 아무튼 세 사람 다 며칠 앓고 난 뒤 완쾌돼 이 일은 기억에서 점차 잊혔다. 이듬해 코빌린스키는 다시 아프리카 출장을 갔는데 우연히 텍사스대의 의학곤충학자 앤드류 해도우 교수를 만나 맥주를 마시며 담소를 나누다 미지의 감염에 ... ...
- 꽃처럼 아름다운 눈결정에 담긴 비밀2016.01.18
- 히로코(나카야마 미호)는 연인 후지이 이츠키가 죽은 뒤 2년이 지난 어느 날 이츠키가 조난된 산을 찾은 히로코는 아침 눈이 수북이 쌓인 숲 속에서 이런 안부 인사를 외친다. 필자에게 ‘러브레터’는 감성적인 스토리뿐 아니라 화면의 서정적인 아름다움으로도 깊은 인상을 남겼다. 특히 작품의 ...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의학계의 계관시인 ‘올리버 색스’2016.01.05
- 이 아름다운 행성에 살고 있는 감수성이 있는 존재이자 생각하는 동물로 그 자체가 엄청난 특권이자 모험이었다.” 15_평생 음악을 사랑했던 색스는 음악과 뇌를 주제로 책 ‘뮤지코필리아’를 썼다(2008년 출간). 2010년 나온 한글판 표지. (제공 교보문고 ... ...
- 양자전송의 원조를 보여준 영화 '스타게이트(Stargate, 1994)'IBS l2015.12.30
- 사는 사람들을 만나 소통을 시도한다. 그리고 그들이 자유를 쟁취하도록 협력하고 엄청난 노력을 쏟는다. 소 연구위원은 이 대목에서 인문학적 발견을 한다. 소 연구위원은 “소통의 기본은 강자가 약자에게 손을 내미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약자가 강자에게 손을 뻗어 봤자 강자가 주목하지 않으면 ... ...
이전2627282930313233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