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
경작
양성
양식
교화
재배식물
식물
뉴스
"
재배
"(으)로 총 399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청소년, ‘메이커페어 선전’을 접수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5
습도가 낮아지면 물 펌프가 작동해 토양에 물을 넣어 준다. 김태현 학생은 “토마토
재배
환경을 조사하며 생물에 대해 공부한 것도 재미있었다”라며 “페어가 끝나도 센서 값을 스마트폰으로 인식하게 하고, 도구 작동까지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게 발전시켜 보고 싶다”고 말했다. 'Foot ... ...
인분 모아 채소
재배
하는 자원순환식 화장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3
천수텃밭에 설치해 운영했다. 토리에서 인분을 모아 생산한 비료를 뿌려 채소(무)를
재배
한 결과, 실제로 채소의 성장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천수텃밭 관계자는 “일반적인 비료는 20㎏ 당 2~3만 원이 들어가지만, 토리에서 생산된 비료는 구입 비용이 일체 들지 않으며 효과까지 더 좋아 ... ...
몬산토, 유전자변형GM 비판에 응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3
공급할 필요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주력하는 또다른 분야는 환경이다.
재배
면적과 투입 자원을 줄이고 생산량을 높여야 한다. 기후변화와 농업의 관계도 중요한 연구 과제다. 또 사람들이 잘 구매해서 섭취하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때문에 최근 본사에 영양학 전공자를 채용하기도 ... ...
크리스퍼 가위 교정 식품이 식탁으로 들어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다 크고 나서야 개량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씨앗의 유전자를 분석해
재배
기간을 기다리지 않고 개량 성공 여부를 바로 파악할 수 있게 됐다. 강병철 서울대 식물생산과학부 교수는 “각 개량 기술마다 장단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미래 식탁을 꾸리는 일에 어떤 기술이 승자가 ... ...
요즘 SNS에서 핫한 ‘핑크 뮬리’가 뭐길래?
동아사이언스
l
2017.10.28
보이기 시작한 때는 3~4년 전이다.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고 병충해 피해도 적은 등
재배
가 쉬운 편이라 정원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또 외관이 독특하고 아름답기 때문에 SNS에서도 핑크뮬리 군락지가 있는 곳이 관광지로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다. 핑크뮬리는 여러해살이풀로 볏과 식물이다. ... ...
블루베리가 자녀의 집중력을 높여준다!
2017.10.22
마트를 찾는 엄마들이 늘어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야생 블루베리는 북아메리카에서
재배
되고 일반 블루베리보다 작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더 높다고 합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적인 학술지 ‘음식과 기능(Food & Function)’에 발표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개발 후 5년… ‘염기’ 단위로 유전자 교정하고 ‘유전자교정 식물’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08
유전자교정 식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부터 극복해야 한다. 보이타스 교수는 “자연
재배
식물도 수천 년 동안 자연적 유전자 변이를 셀 수 없이 많이 겪어 왔고, 그에 비하면 유전자 교정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변화”라며 “유전자교정 식물뿐만 아니라 GMO도 충분히 안전하다고 ... ...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09.23
규슈대 연구팀이 섭씨 25도에서 자연광의 55% 정도에 해당하는 빛만 유지하면서 월하향을
재배
한 결과 하얀색에 가까운 꽃이 피었다. 75~100%의 빛을 유지하자 본래의 자주빛이 되살아났다. 어렵사리 개발한 푸른 국화를 언제쯤 실제로 볼 수 있을까. 이번 연구의 주역인 노다 나오노부 NARO 연구원은 ... ...
국내 최대 창작문화축제, 2017 메이크랜드에선 무슨 일이?
동아사이언스
l
2017.09.23
1년) 학생. 두 친구는 다른 친구들과 힘을 모아 친환경 미래 생태 도시에 필요한 식물
재배
시스템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 염지현 제공 이현구 학생은 “선생님이 주신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3주 동안 진행했다. 처음엔 불가능할 것 같았는데 이렇게 큰 행사에서 전시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참여 ... ...
30년 뒤 커피 못마실 수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4
최대 1.6㎞ 거리에 열대 우림이 있었다. 열대 우림에 사는 수분 매개 곤충 덕분에 커피를
재배
할 수 있는 장소가 된 셈이다. 파블로 임바크 국제열대농업센터 연구원은 “벌이 많으면 생산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커피 열매 무게도 증가한다”고 커피 농사에서 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