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양
경작
양성
양식
교화
재배식물
식물
뉴스
"
재배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몬산토, 유전자변형GM 비판에 응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3
공급할 필요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 최근 주력하는 또다른 분야는 환경이다.
재배
면적과 투입 자원을 줄이고 생산량을 높여야 한다. 기후변화와 농업의 관계도 중요한 연구 과제다. 또 사람들이 잘 구매해서 섭취하게 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 때문에 최근 본사에 영양학 전공자를 채용하기도 ... ...
크리스퍼 가위 교정 식품이 식탁으로 들어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0
다 크고 나서야 개량 성공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지만 현재는 씨앗의 유전자를 분석해
재배
기간을 기다리지 않고 개량 성공 여부를 바로 파악할 수 있게 됐다. 강병철 서울대 식물생산과학부 교수는 “각 개량 기술마다 장단점이 명확하기 때문에 미래 식탁을 꾸리는 일에 어떤 기술이 승자가 ... ...
요즘 SNS에서 핫한 ‘핑크 뮬리’가 뭐길래?
동아사이언스
l
2017.10.28
보이기 시작한 때는 3~4년 전이다. 환경 적응력이 뛰어나고 병충해 피해도 적은 등
재배
가 쉬운 편이라 정원식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또 외관이 독특하고 아름답기 때문에 SNS에서도 핑크뮬리 군락지가 있는 곳이 관광지로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다. 핑크뮬리는 여러해살이풀로 볏과 식물이다. ... ...
블루베리가 자녀의 집중력을 높여준다!
2017.10.22
마트를 찾는 엄마들이 늘어날 것 같습니다. 참고로 야생 블루베리는 북아메리카에서
재배
되고 일반 블루베리보다 작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더 높다고 합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적인 학술지 ‘음식과 기능(Food & Function)’에 발표되었습니다. ※필자소개 민혜영. YBM시사에서 각종 영어 학습 ... ...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개발 후 5년… ‘염기’ 단위로 유전자 교정하고 ‘유전자교정 식물’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0.08
유전자교정 식물에 대한 소비자들의 거부감부터 극복해야 한다. 보이타스 교수는 “자연
재배
식물도 수천 년 동안 자연적 유전자 변이를 셀 수 없이 많이 겪어 왔고, 그에 비하면 유전자 교정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변화”라며 “유전자교정 식물뿐만 아니라 GMO도 충분히 안전하다고 ... ...
불가능을 가능으로 바꾼 파란 꽃
과학동아
l
2017.09.23
규슈대 연구팀이 섭씨 25도에서 자연광의 55% 정도에 해당하는 빛만 유지하면서 월하향을
재배
한 결과 하얀색에 가까운 꽃이 피었다. 75~100%의 빛을 유지하자 본래의 자주빛이 되살아났다. 어렵사리 개발한 푸른 국화를 언제쯤 실제로 볼 수 있을까. 이번 연구의 주역인 노다 나오노부 NARO 연구원은 ... ...
국내 최대 창작문화축제, 2017 메이크랜드에선 무슨 일이?
동아사이언스
l
2017.09.23
1년) 학생. 두 친구는 다른 친구들과 힘을 모아 친환경 미래 생태 도시에 필요한 식물
재배
시스템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 염지현 제공 이현구 학생은 “선생님이 주신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3주 동안 진행했다. 처음엔 불가능할 것 같았는데 이렇게 큰 행사에서 전시할 수 있게 돼 기쁘다”고 참여 ... ...
30년 뒤 커피 못마실 수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4
최대 1.6㎞ 거리에 열대 우림이 있었다. 열대 우림에 사는 수분 매개 곤충 덕분에 커피를
재배
할 수 있는 장소가 된 셈이다. 파블로 임바크 국제열대농업센터 연구원은 “벌이 많으면 생산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커피 열매 무게도 증가한다”고 커피 농사에서 벌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논문을 보면 나팔꽃(Ipomoea nil)의 영문명이 Japanese morning glory(일본나팔꽃)이다. 그럼에도
재배
역사를 기술한 걸 보니 8세기에 중국에서 약용식물로 들여와 원예식물로 ‘용도변경’을 했다. 문득 ‘우리풀백과사전’에서 언급한 외국이 중국일까 일본일까 궁금해진다. 류시화 시인이 번역하고 ... ...
[때와 곳 18] 국수집: 입맛이 자리 잡는 곳
2017.08.19
그 역사의 원천은 더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데, 기원전 7000년에 메소포타미아에서
재배
되던 야생종 밀이 기원전 1~2세기경에 서아시아로 연결된 실크로드를 따라 중국으로 건너갔다는 것이다. 그 밀로 처음에는 수제비 형태로 만들어 먹다가 가늘고 긴 형태의 면발로 만들어 먹었던 것은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