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냄새감각
악취
냄새
내음
취기
낌새
후감
뉴스
"
후각
"(으)로 총 318건 검색되었습니다.
포켓몬 찾는 것만으론 만족 못해…손으로 느껴 볼 테야!
2016.08.19
그러나 촉감을 넘어
후각
과 미각까지 재현하려면 아직은 갈 길이 멀다. 기초적인 가상
후각
은 이미 현실화 단계다. 프랑스 유비소프트사는 사우스 파크(South Park)라는 게임과 연동해 방귀 냄새가 나는 가상현실 장비 ‘노설러스 리프트(Nosulus Rift)’를 12월 6일 게임과 함께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모기는 왜 나만 물까?
2016.07.20
잘 물리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모기 주둥이에는 뾰족한 침에 피 냄새를 맡는
후각
기관과
후각
수용체가 있는데요. 이를 이용해서 사람이나 동물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나 ‘옥테놀’과 같은 휘발성 물질 냄새를 따라와 땀 냄새나 젖산 성분에 유인됩니다. 2. 모기는 화장품 냄새를 좋아한다? ... ...
모기와의 전쟁에서 살아 남는 법
2016.07.15
‘ZFN 효소’를 모기의 배아에 넣어 돌연변이 모기를 만든 것이다. 돌연변이 모기는
후각
과 관련된 신경전달물질의 활동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야생 모기의 경우 사람과 동물이 함께 있으면 사람에게 달려들지만, 돌연변이 모기는 사람보다 동물을 선호했다. 데이비드 래그즈데일 ... ...
로봇, 3D로 공룡 연구해보니…‘쥬라기공원’ 허구가 아니네!
2016.07.15
이 교수는 “파파사우르스는 초식공룡인 만큼 사냥을 할 필요가 없어 청각과
후각
이 덜 발달했다”며 “대신 멀리 떨어진 곳과 소통할 수 있도록 저음을 내는 기관이 발달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말했다. 고생물학 연구에 사용하는 CT는 병원에서 인체에 사용하는 모델보다 X선이 훨씬 ... ...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
과학동아
l
2016.07.04
모넬 화학지각센터의 파멜라 달튼 박사는 2012년 발간한 ‘
후각
의 인지’에서 “
후각
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경험과 기억”이라며 냄새와 함께 놓여지는 상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문득 궁금해진다.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지 ... ...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지 마라!
과학동아
l
2016.06.03
둥지를 털거나 땅을 파서 매몰된 다른 파충류의 둥지를 털기도 한다. 입천장에는 발달된
후각
기관이 있는데, 뱀처럼 끝이 갈라진 혀를 이용해 공기 중의 화학 물질을 묻혀서 이 기관으로 전달한다. - Bernard DUPONT 제공 ● 누가 내 달팽이를 옮겼을까? 우선 파충류가 숫자를 셀 수 있다는 사실이 ... ...
냉장고 속 식품 먹어도 되나 “전자코가 알려준다”
2016.06.03
냄새 물질과 반응하는 수용체를 계속해서 개발해 나갈 계획이다. 전자코 시스템에 붙일
후각
수용체가 늘어날수록 사람처럼 다양한 냄새를 구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연구진은 단백질이 부패할 때 생기는 ‘카다베린’이란 화합물을 탐지하는 수용체 개발에 성공하고 이를 실용화할 ... ...
VR로 이젠 만지고 냄새도 맡는다
동아일보
l
2016.04.01
정보기술(IT) 전문가들은 VR 기술이 점차 보는 것을 넘어 만지고 느낄 수 있는 촉각과
후각
기술까지로 진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가령 스마트폰 진동을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등장하면 사용자에게 다양한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 촉각 기술을 여러 명이 동시에 즐길 수 있는 가상 스포츠 ... ...
[과학동아 4월호] 명견(名犬) 복제 10년, 현장에 가보니
과학동아
l
2016.04.01
시상 등이 활성화되는 부피가 복제견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엄 교수는 “이 부위는
후각
탐지 능력을 좌우한다”며 “복제견의 인지와 분석, 행동 능력이 일반 개보다 더 뛰어나다는 사실을 뜻한다”고 말했다. 과학동아 4월호에서는 체세포 복제견의 탄생 과정을 더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 ...
‘제2의 브뤼셀 테러’ 막아라, 폭발물 감지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6.04.01
개나 사람에 비하면 여전히 역부족이다. 개는 초당 최대 10회 냄새를 맡는다. 또 사람은
후각
수용체 400개로 1만여 종의 냄새를 동시에 구분한다. 반면 전자코는 센서 하나로 화학물질 하나만 분석하는 수준이다. 문제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 전공 교수는 “현재 상용화된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