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작물
수확물
수확
뉴스
"
작물
"(으)로 총 40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빛바랜 녹색혁명 ‘비료의 역설’ 풀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9.02
전 세계
작물
수확량은 1985년 16억2000만 t으로 2배 이상 크게 늘었다. 이 시기 개발된
작물
들은 곡물 수확량이 많고 비바람에 휩쓸리지 않게끔 키를 작게 만들어 태풍, 호우 등을 잘 견딘다. 하지만 부작용도 나타났다. 키 성장 억제 단백질인 ‘DELLA’를 과발현 시키면서 의도치 않게 영양분 중 ... ...
[표지로 읽는 과학]화산폭발하면 식량 생산성 줄어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6
것을 확인했다. 프록토르 연구원은 “화산 폭발로 인한 화산재가 태양빛을 막아
작물
생산량이 감소한 것”이라며 “화산재 뿐아니라 화산폭발 순간 오존층이 파괴돼 자외선투과량이 증가할 수 있어 농업경제에는 악영향 줄 것으로 추정 중”이라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화산폭발시 일시적으로 ... ...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8.24
있다. 식량
작물
의 경우 유전공학을 이용한 기존의 유전자변형생물체(GMO)와 크리스퍼
작물
을 동일선상에서 볼 것인지 여부가 최근 유럽과 일본에서 도마에 올랐다. 다우드나 박사는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가격을 낮춰 크리스퍼가 여러 사람의 삶을 바꾸는 기술이 되게 할 것”이라고 밝혔다 ... ...
日 “유전체 교정
작물
은 GMO 규제 대상서 제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1
GIB 제공 일본이 ‘크리스퍼(CRISPR)-Cas9’ 등 유전자 가위 기술로 DNA에서 특정 유전자만 잘라내거나 바꾼 ‘유전체 교정 생물체’를 기존의 유전자변형유기체(GMO) 관련 규제 대상에서 제외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21일 NHK, 아사히신문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일본 환경성은 하루 전 날인 20일 내부 검 ... ...
[스타트업, 결정적 순간] 사용자를 인플루언서로 만들다…오드엠의 위기탈출법
2018.08.21
통해 이뤄진 누적 다운로드가 약 32만 건인데 이 게임은 사용자가 게임에서 키운
작물
을 실제 집으로 보내주는 이벤트를 했어요. '레알팜에서 채소를 키우면 집으로 채소가 와요'라는 바이럴 포인트가 잡히면서 애드픽 인플루언서들이 높은 성과를 냈어요. 애드픽을 통해 다운로드도 많이 ... ...
밀 알레르기 없이...짜장면-빵 마음껏 먹자!
동아사이언스
l
2018.08.20
밀은 열량을 기준으로 전 세계 식량의 20%를 공급할 만큼 중요한
작물
이다. 하지만 다른
작물
에 비해 유독 거대하고 복잡한 게놈을 지니고 있어 해독에 오랜 시간이 걸렸다. 밀 게놈의 DNA 수는 160억 쌍으로 벼(4억3000만 쌍), 옥수수(24억 쌍)에 비해 압도적이다. 사람(30억 쌍)보다도 5배 가까이 많다. ... ...
[댓글EVENT] 21세기판 프랑켄슈타인, 당신의 생각은?
2018.07.25
이용해 생물을 편집해서 만들어낼 수 있는 수준까지 왔습니다. 말 많은 유전자변형
작물
(GMO) 논쟁은 이제 옛날 얘기고, 훨씬 손쉽고 정확하게 원하는 형질을 딱 집어내서 유전자 수준에서 편집할 수 있게 된 겁니다. 놀라운 일입니다. 인간은 오랫동안 생물을 편집하는 일에 몰두해 왔어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농업용수의 40%가 가축 사육(livestock)에 들어간다(대부분은 사료
작물
을 재배하는데). 산업용수(industrial)와 생활용수(municipal)가 그 뒤를 따른다. - ‘사이언스’ 제공 나쁜 넛지 좋은 넛지 시장에서 고기를 사는 건 궁극적으로 개인의 결정이므로 여기에 개입해 영향을 ... ...
[여기에 과학]붉은불개미 공포, 한국 위협하는 외래병해충 'TOP 3'는 무엇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7.13
붉은불개미와 같은 새로운 위험요소가 등장하고 있는만큼 특정 병해충을 보거나 피해
작물
을 발견했을 때 신속하게 신고해 문제가 해결되도록 도와야 하겠네요. 괴산군은 지난 2017년 7월 한 논에서 농업용 드론을 이용한 병해충 방제기술 시연회를 진행했다.-뉴시스 제공 ※ 편집자주: ... ...
'세한도' 속 나무가 추위를 견디는 비결, DNA 구조 조절에 있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18.05.30
추사 김정희의 '세한도'(부분). "추운 계절이 된 뒤에야 소나무, 잣나무가 시들지 않는다는 사실을 안다"는 논어의 글에 영감을 받아 그리 ... 데 염색질 구조가 핵심 역할을 한다는 것을 처음 알게 됐다”며 “추운 지역에서 다양한
작물
을 키울 수 있게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24
25
26
27
28
29
30
31
3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