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의 공학 한국, 우리에게 맡기세요!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메커니즘을 알고 그 값을 높인다면 전기 생산 단가를 줄일 수 있다”는 원자핵공
학과
노상우 연구원의 설명에 학생들은 연신 고개를 끄덕였다.“ 처음에는 원하는 팀에 배정을 못 받아 아쉬웠는데, 오히려 원자핵 공학 실험을 하며 내 안에 숨어있던 무언가를 발견한 듯한 충격을 받았어요. 이제 제 ... ...
마음 대청소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해소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기공 치료가 과학적으로 효과가 있을까.전북대 간호
학과
변주나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단전호흡은 면역기능을 향상시킨다. 변 교수는 단전호흡 전후 실험 대상에게서 타액을 채취해 여기에 포함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과 항체의 일종인 면역글로불린 A의 변화량을 ... ...
개는 죽지만, 세포는 옮겨 산다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성기육종’을 연구한 뒤 이 같이 결론을 내렸다. 이 논문의 제3저자는 시카고대 통계
학과
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한국인 김수연 씨다.성기육종은 개에 발생하는 암으로 자신의 세포 중 일부가 돌연변이로 바뀌어 발생하는 일반적인 암과는 달리 교미나 환부 접촉을 통해 다른 개로부터 ... ...
나무판과 현이 빚어낸 천상의 소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어김없이 학생들의 구슬땀이 녹아든 바이올린이 등장한다. 록클래식에서 또 한번 과
학과
음악의 만남에 흥분하며 젊음과 열정에 몸을 불사를 것이다. 다성음악 : 독립된 선율을 가지는 둘 이상의 성부로 이뤄진 음악을 말한다. 폴리포니(polyphony)로도 불린다 ... ...
커플이 싱글보다 안전한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지난해 말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교통사고 발생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가장 높다고 한다. 반면 승차 중 사망 비율은 가장 낮아 교통사고 치사율은 비교적 낮은 편이라고 하니 그나마 다행한 일이다.교통사고에서 물리적으로 가장 위험한 상황은 두 차가 정면으로 충돌하는 경우다. ... ...
꼬마잠자리의 슬픈 비행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49년 전 발견 그리고 부활우리나라 꼬마잠자리는 49년전에 처음 발견됐다. 고려대 생물
학과
김창복 교수가 1957년에 속리산 법주사에서 한 마리를 발견해 꼬마잠자리임을 밝혔다. 그 뒤로는 뚜렷한 발견 기록이 없다가 1999년에 전남 곡성에서 다시 발견돼 서울여대 배연재 교수가 형태와 서식처를 ... ...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오른 19인의 과학도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쉽게 정확한 지도를 볼 수 있게 되었다.한국 최초의 이학박사 이원철(1896〜1963)천문
학과
기상학의 선구자인 이원철은 1926년 미국의 미시간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얻은 한국 최초의 이학박사다. 당시 세계 최고의 천문학자들도 알지 못했던 독수리자리 에타 별의 시선속도가 변한다는 것을 밝혀 세계 ... ...
'에너지 보존법칙'쉬운 길로 가보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한 달 수입에서 지출한 돈을 빼면 남은 돈을 저축하거나 투자할 수 있다. 즉 지출한 돈과 저축하거나 투자한 돈을 합한 것이 그 달의 수입이다. 경제학자는 이것을 돈의 양이 보존되는‘돈의 보존법칙’이라고 부를지도 모른다.자연계에는 보존되는 물리량이 많다. 전하량도 보존되고, 운동량도 보 ... ...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위대한 밥상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환경, 에너지 산업에서 세계를 주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지난해 전주대 식품영양
학과
진효상 교수는 김치와 고추장 등 발효식품에서 독특한 맛을 내는 미생물을 발견했다. 진 교수는 “두 미생물은 김치의 특징인 매콤하고 새콤한 맛을 내는데 작용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김치를 담글 때 이들 ... ...
저항 비켜! 초전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이 교수는 귀국한 뒤 한국의 초전도 연구그룹을 ‘창립’했다. 그는 1987년 포항공대 물리
학과
교수로 임용됐으며 1997년부터 창의적 연구진흥사업단인 초전도연구단의 단장을 맡았다. 초전도연구단은 9년간 매년 6, 7억원을 지원받으며 순수 국내 기술로 초전도 불모지에서 눈부신 성과를 거뒀다. 이 ... ...
이전
293
294
295
296
297
298
299
300
3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