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의 기원을 명강의로 푸는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MIT) 생물
학과
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전공 영역을 넓힐 수 있었다.“물리
학과
의 한 콜로퀴엄에서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미국의 저명한 물리학자 스티븐 와인버그의 흥미로운 강연을 듣고 깊은 감명을 받았습니다. 그가 저술한 ‘최초의 3분’이란 책을 바탕으로 우주와 물질의 기원을 ... ...
반도체 칩 위의 건축가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그는 현재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40여편의 논문을 발표했다.신 교수가 KAIST 전자전산
학과
교수로 온 것은 지난 2004년 7월이다. 신생 연구실이라 아직 연구원은 4명(박사과정 1명, 석사과정 3명)뿐이지만 이들은 “연구가 재미있어서 사람 수가 적은 것은 아무 문제도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 ...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개설된 대학이 27개로 학생 수는 3942명이나 된다. 일본에는 7개 대학에만 한국어
학과
가 개설돼 있지만 일본 청소년들이 한국에 관심을 많이 가지면서 한국어를 가르치는 고등학교가 247개로 늘었다. 그 어느 때보다 지금 한국어는 세대 공감을 넘어 ‘세계 공감’을 얻고 있다. 이유가 뭘까.1996년 ... ...
생명을 살리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항체가 나중에 들어오는 ‘진짜’ 독감 바이러스를 내쫓게 하는 방법이다.경북대 미생물
학과
이재열 교수는 “최근 인공 바이러스를 합성하는 연구가 활발한데 이 방법으로 아주 약한 바이러스를 만들어낸다면 백신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바이러스 치료의 기원은 1796년 영국 ... ...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한국 여자골프 선수들의 활약이 두드러져 세간의 화제다. 생각해 보면 희한한 일이다. 반만년 동안 골프 비슷한 어떤 운동도 해 본 적이 없는 한국 아낙네들이, 어떻게 골프를 만들어 세계적인 스포츠로 키운 사람들을 이기는 것일까. 유독 한국인이 양궁을 잘 하는 이유가 있을까. 같은 육상경기인 ... ...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허상’에 지나지 않는다.2004년 8월 체세포 복제 고양이를 만든 순천대 동물자원
학과
공일근 교수는 “배반포기까지 만든 것도 이 분야에서는 앞선 기술”이라고 말한다. 2001년 미국 어드벤스트 셀 테크놀러지(ACT)의 호세 시벨리 박사도 인간 배아복제에 성공했지만, 배아가 배반포기 전에 죽고 ... ...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캐나다 빅토리아대, 허블우주망원경연구소를 거쳐 1993년부터 지금까지 연세대 천문우주
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이 교수팀은 2주에 한번 미국, 프랑스 연구팀과 3개국 원격회의를 연다. 국제 공동연구를 진행하다 보니 연구비 분담 문제처럼 외적으로 신경 쓸 일도 많다. 1998년 연구를 시작할 당시 ... ...
파리가 잡은 살인범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살아 있었음을 의미한다.”폭발물의 잔해나 독극물의 흔적을 이용한 첨단 수사기법은 의
학과
심리학, 물리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종합 과학의 면모를 보여준다. 특히 찰흙과 컴퓨터를 이용해 두개골에서 원래 얼굴 모습을 복원하는 기술은 실제 모습과 거의 비슷할 만큼 정교하다.각 사례마다 소개된 ... ...
아주 특별한 숫자 1의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9호
기원’의 출판은 세상을 뒤흔들었지. 1831년 스물다섯의 나이로 비글호에 오른 나는 지질
학과
자연사 연구에 푹 빠져 지냈어. 그런데 탐사가 계속될수록 내 마음 속에는 새로운 가설이 떠올라 사라지지 않았지. 바로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론인데 환경에 가장 잘 적응한 생물만이 살아남는다는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1953년 충청남도 부여 출생●1972년 대전고등학교 졸업●1977년 서울대학교 수의
학과
졸업●198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임상수의학 박사●1984~1986년 일본 홋카이도대학 수의학부 연구원●1986년~현재 서울대학교 교수●1997년 서울대학교 동물병원 원장 역임●1999년 국내 첫 복제소‘영롱이’탄생●199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