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42건 검색되었습니다.
- 주사 한 방에 암 2종류 24시간 안에 진단2016.01.11
- 대장암과 유방암에 걸린 쥐에게 상향변환 나노캡슐을 주사해 암 검진을 실시했다(왼쪽). 실험 결과 대장암은 녹색, 유방암은 파란색의 형광을 나타냈다(오른쪽). - 한 ...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ACS 나노Nano’ 7일 자에 게재 됐다. ... ...
- 나노 크기로 ‘상상의 꽃’ 우담바라 만들었다2016.01.11
- 조절해 불과 수㎚ 수준의 액정 판상구조를 벗겨 낸 뒤 그 위에 다양한 모양의 3차원 나노구조체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이 기술을 상용화 할 경우 3차원 패턴을 순식간에 제작할 수 있어 새로운 액정 가공 기술로 각광 받을 걸로 보고 있다. 현재 차세대 기술로 불리는 ‘수직 ... ...
- “‘친구 따라 강남’ 갔지만 지금은 천직” 2016.01.10
- “1997년에 찍은 사진입니다. 그땐 참 젊었죠. 연구원 풍경은 예나 지금이나 아름답네요.” 송남웅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나노안전표준센터장이 사 ... 의미에서 나노안전성 분야는 정말 천직인 것 같습니다.” 송남웅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나노안전표준센터장.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
- 원안위 “北 핵실험 관련 증거 아직 못 찾아”2016.01.10
- 제논은 극미량이며, 전국에 설치된 134개 환경방사능 자동감시망의 측정값은 시간당 50~30나노시버트(nSv/h)를 유지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북한의 핵실험으로 인한 환경방사선 준위 변동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만약 평소와 다른 방사성 물질을 찾아낸다면 분석을 토대로 핵실험에 ... ...
- 공학한림원, 2016년 정회원 27명 선정2016.01.08
- 특수재난실장, 김양국 아이컴포넌트 대표이사, 김하철 일진반도체 사장, 박종구 나노융합2020사업 단장, 박중흠 삼성엔지니어링 사장, 변영삼 LG실트론 대표이사 사장, 석영철 산업통상자원부 R&D전략기획단 국제협력본부장, 오세용 전 SK하이닉스 사장, 오원석 코리아에프티 회장, 유명희 ... ...
- 태양보다 100경(京)배 밝은 빛 쏘아 원자 움직임 본다2016.01.08
- 때 방사광을 내는 특성을 활용한 것이다. 이 빛이 중첩되면 강력하면서도 진폭이 0.1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로 짧은 빛이 돼 물질 속을 관측할 수 있다. 고인수 포항가속기연구소 4세대 방사광가속기 운영단장(포항공대 물리학과 교수)은 “지난해 말 건설을 완료하고 현재 시운전을 위한 준비 ... ...
- TV신기술 3대 핵심은 QD - HDR - IoT동아일보 l2016.01.06
- 밝혔다. 퀀텀닷이란 전류나 빛을 받으면 스스로 색을 내는 양자(量子·퀀텀)를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단위로 주입한 반도체 결정체를 말한다. 이를 발광물질로 사용해 화면으로 구현한 것이 퀀텀닷 디스플레이다. 기본적으로 액정표시장치(LCD)를 기반으로 하지만 실제 사람의 눈으로 보는 ... ...
- “인공지능-불평등-테러리즘, 인류미래 좌우할 키워드 될 것”동아일보 l2016.01.04
- 몸과 마음, 즉 호모 사피엔스 자체를 변화시키는 겁니다. 미래의 인간은 유전공학, 나노기술,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로 수명을 무한대로 연장하고 생명체를 디자인할 거예요.” 이와 관련해 그는 2016년 이후 인류의 미래를 좌우할 키워드로 ‘인공지능(AI)’ ‘불평등’ ‘테러리즘’을 꼽았다. ... ...
- [3D프린터 발암물질 논란] 교육용 기기에서 초미세먼지 나와과학동아 l2016.01.03
- 방출하는지 실험했다(doi:10.1016/j.atmosenv.2013.06.050). 초미세먼지(PM0.1)는 지름이 100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 이하인 먼지로, 기도와 폐뿐만 아니라 폐포 깊숙한 곳까지 침투해 뇌졸중, 천식, 동맥 경화 등을 일으킨다. 연구팀은 부피가 45m3(학교 교실의 약 4분의 1)인 일반 사무실에 FDM 프린터를 ... ...
- “기업 뒷바라지했던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이제는 기업 안 하는 미래기술 연구해야”2016.01.02
- 기반 반도체의 한계를 뛰어넘을 ‘포스트 실리콘’ 반도체도 연구 중이다. 양자컴퓨터와 나노신경망모사 연구도 올해부터 새롭게 시작한다. 이 원장은 “KIST는 ‘처음’이라는 상징성을 가진 만큼 앞으로는 국내에서 미래 기술 연구를 선도적으로 이끄는 허브로 키울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 ...
이전2952962972982993003013023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