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나노"(으)로 총 3,643건 검색되었습니다.
- 겨울철 식중독, 노로바이러스 주의보!동아사이언스 l2015.12.07
- 있는 모습. 왼쪽 하단의 흰 막대는 50nm를 뜻한다. - EPA 제공 노로 바이러스(NLVs)는 27~4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정도 되는 아주 작은 바이러스입니다. 1968년 미국 오하이오 주에서 집단 발병한 뒤 세상에 널리 알려졌습니다.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처럼 매년 새로운 변종이 ... ...
- 우주 중력파 검출을 위한 첫 단추, LISA 패스파인더 발사2015.12.03
- 것을 이용해 감지할 수 있다. 문제는 중력파로 인해 바뀌는 공간의 거리가 0.01㎚(나노미터, 10억 분의 1m)로 너무나 미세하다는 것이다. 이 거리는 원자핵 지름의 1000분의 1에 불과한 짧은 거리다. 이렇게 작은 거리의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선 레이저 간섭계에서 레이저가 이동하는 거리가 ... ...
- 생체분자로 ‘자기 나침반’ 개발 2015.12.02
- 가능한 생체 친화적 유기 물질을 만들 수 있게 될 것”이라며 “다양한 분야에서 나노·마이크로소재 연구 개발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 10월 29일 자에 게재됐다 ... ...
- DNA를 조종해 인공지능을 획득한다, 분자 컴퓨터과학동아 l2015.12.01
- 제외하고도 여러 장점이 있다. 이중나선 DNA 분자는 두께와 폭이 각각 0.34nm, 2nm인 나노구조로, DNA 1g은 1021개의 염기를 포함한다. 이는 10억 테라바이트(TB)에 해당하는 엄청난 집적도다. 이런 특성은 단순한 패턴인식을 넘어서 영상을 분석하는 등 초병렬 분자인식 과정까지 가능하게 한다. 이런 이유로 ... ...
- 이론에서나 가능하다던 ‘수소 도핑’ 첫 성공2015.12.01
-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나노과학분야의 권위 있는 학술지인 ‘ACS 나노’ 10월 27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서형탁 아주대 신소재공학과 교수(왼쪽), 최덕균 한양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 한국연구재단 제공 ... ...
- 대장암 진단하면서 치료, 그래핀으로?2015.11.30
- 결합하면 내부의 형광입자가 빛을 발해 암세포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나노입자 표면을 온도에 민감한 고분자로 코팅해 내시경 빛과 반응할 때만 약물이 나오도록 했다. 이는 주변의 정상 조직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암 조직만 선택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김 연구위원은 ... ...
- 꽃잎 위에도, 거품 위에도…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Gold’ 2015.11.30
- 11월 23일 자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먼저 우유에 들어있는 단백질을 끓여 수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 굵기의 선으로 이뤄진 틀을 만들었다. 이 틀에 금 용액을 넣자 용액이 틀에 엉겨 붙으면서 젤 같이 물렁한 덩어리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과 단백질이 뭉친 덩어리를 꺼낸 ... ...
- 전기 만드는 기특한 바이러스를 아시나요2015.11.25
- 기둥을 형성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바이러스 기둥을 실리콘 기판에 부착해 나노 크기의 압전발전체를 만들었다. 압전발전체란 압력을 하하면 전기를 만드는 소자를 말한다. 이렇게 만든 압전발전체는 바이러스를 수평으로 배열했을 때보다 에너지 생산량에서 3배 이상 증가했다. 연구팀은 ... ...
- 삼성전자 연구원 KAIST 다니더니…2015.11.23
- 이병현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박사과정생 - KAIST 제공 삼성전자 연구원으로 재직 중인 KAIST 박사과정 학생이 컴퓨터나 스마트폰에 흔히 쓰이는 반도체 ... 때문에 생산단가 역시 많이 낮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성과는 나노 분야 학술지 ‘나노 레터스’ 6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 ...
- 달팽이 껍질 위에 동그랗고 까만 저건, 진짜 ‘눈’?2015.11.22
- X선 산란을 이용한 촬영 기법인 ‘SAXS(Small-angle X-ray scattering)’에 주목했다. 이 기법은 나노미터(㎚·10억 분의 1m) 크기의 물체부터 이보다 큰 마이크로미터(㎛·100만 분의 1m) 수준의 물체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여기서 얻은 정보를 3차원(3D) 이미지로 얻을 수는 없었다. ... ...
이전298299300301302303304305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