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42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손에 ‘투명 히터’
2015.12.21
투명전극을 이용해 만든 유연하고 신축성 좋은 피부 부착형 투명 히터. 70%까지 잡아당겨도 온도가 변하지 않고 성능이 유지된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 낮은 편이라 산업 현장에서 적용하기 쉽다”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학술지 ‘
나노
레터스’ 15일자에 실렸다. ... ...
60대 이상 실명원인 1위 치료법 개발
2015.12.16
관련된 질병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6월호 ‘
나노
리서치(Nano Research)’ 표지 논문으로 실렸으며, 연구진은 최근 관련 기술에 대한 미국 특허 등록을 마쳤다. ... ...
항균 은
나노
도 쌓이면 수중 생태계에 위험
2015.12.15
밝혔다. 연구결과는 독성학 관련 학술지 ‘
나노
톡시콜로지’ 4일자에 실렸다. 은
나노
입자에 대한 만성독성 기반의 종민감분포도. 이 중 생물종의 95%를 보호할 수 있는 5% 유해농도로서 0.614 ㎍/L를 수서 생태계 보호를 위한 유해농도로 제안하였다. - 건국대 보건환경과학과 ... ...
g당 200원, 초저가 촉매 나온다
2015.12.14
철과 질소의 분자도 그래핀 기판 표면에 도포된다. 연구팀은 이 복합체를 이용해 굵기가
나노
미터(㎚·1㎚는 10억 분의 1m) 단위인 섬유 형태의 촉매를 만들었다. 이 촉매는 표면적이 넓어 산소 환원 능력이 뛰어났다. 산성 환경에서 성능이 감소하는 백금 촉매와 달리 산성에서도 안정적이었다. ... ...
‘
나노
’ 세계의 물에도 ‘난류’ 존재한다
2015.12.10
연 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7일자에 실렸다. 연구팀이 규명한
나노
크기 물 분자층의 '난류' 모식도. 일정 속도(초속 1㎜) 이상으로 빠르게 움직이면 난류가 발생한다- 서울대 ... ...
무거운 배터리 안녕, 종이 한 장이면 충분
2015.12.09
- 린셰핑대 제공 연구팀은 목재에서 얻은 셀룰로오스 섬유에 고압의 물을 쏴서 지름 20nm(
나노
미터·1nm는 10억 분의 1m)까지 얇게 만들었다. 여기에 전기적으로 대전시킨 고분자 화합물을 가했더니 섬유 주변에 아주 얇은 코팅 막이 생기면서 전기가 잘 흐르는 소재가 만들어졌다. 연구팀의 제스퍼 ... ...
커피 향 성분 ‘멜라노이딘’, 의료영상에도 쓰인다
2015.12.08
연구팀은 커피에 포함된 성분이 '멜라노이딘'을 이용하면 인체에 피해없이 의료영상촬영을 진행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동물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 ... 수술에도 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ACS)가 발행하는
나노
분야 전문지 ‘ACS Nano’ 1일 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 ...
은
나노
와이어로 고성능 투명 전극 만드는 기술 개발
2015.12.08
고현협 교수(왼쪽)와 김진영 교수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무질서한 은
나노
와이어를 원하는 방향으로 정렬해 고성능 투명 전극을 만드는 기술이 ... 고효율 유기태양전지 등에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나노
분야 학술지 ‘
나노
레터스’ 11월 9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힘 좋고 오래가는 수소연료전지 나온다
2015.12.07
백금 촉매가 쉽게 변형돼 기능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백금입자 사이에 철
나노
입자를 배열해 백금의 구성 비율을 절반으로 낮추는 방식으로 촉매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성공했다. 또 백금-철 합금촉매의 표면에 ‘보호막’ 역할을 하는 얇은 탄소원자막을 입혀 철이 산화되는 것을 ... ...
겨울철 식중독, 노로바이러스 주의보!
동아사이언스
l
2015.12.07
있는 모습. 왼쪽 하단의 흰 막대는 50nm를 뜻한다. - EPA 제공 노로 바이러스(NLVs)는 27~40nm(
나노
미터․1nm는 10억 분의 1m)정도 되는 아주 작은 바이러스입니다. 1968년 미국 오하이오 주에서 집단 발병한 뒤 세상에 널리 알려졌습니다.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처럼 매년 새로운 변종이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