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01. 섬씽 디지털이 판치는 세상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식으로 만물의 법칙을 설명했던 아리스토텔레스의 2000년 치하는 끝이 났다. 과학혁명이 17
세기
를 뒤흔들었다.세상은 그대로인데 세상을 설명하는 법칙은 완전히 달라졌다. 지구에서 태양으로, 신에서 인간으로, ‘왜’에서 ‘어떻게’로 생각하는 방법이 바뀌었다. 몇 줄의 글보다 한 토막의 수식이, ... ...
05. 기하급수의 세상에서 사는 법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관광지가 될 것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대학의 역사를 살펴보면 초창기인 12
세기
부터 21
세기
인 현재까지 대학은 계속해서 개혁과 변화를 요구받아왔다. 따라서 대학의 미래를 단순히 교육의 디지털화라는 추세로만 단정하기는 어렵다.무어의 법칙에 따르면 15~20년 후에는 현재 가장 강력한 ... ...
수천개의 젊은 별들이 만들어낸 무서운 우주 독거미 타란툴라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보라. 2002년 6월 공개된 이 사진의 중앙에 붉게 보이는 대상이 바로 타란툴라성운이다. 18
세기
중반 프랑스의 천문학자 루이 드 라카유가 남아프리카공화국 희망봉 근처에서 밤하늘을 관측하다가 발견한 이 성운은 여지없이 타란툴라를 떠오르게 한다.가장 그럴듯한 부분은 성운 중심에서 사방으로 ... ...
"빨대로 무거운 책을 지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정말 대단하죠?이렇듯 과학 교육과 창의성 교육에 힘을 쏟고 있는 예일초등학교에서 21
세기
를 빛낼 미래의 뛰어난 과학자들이 많이 나오길 기대합니다 ... ...
단백질 네 속을 보여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우주와 행성의 관계를 설명하면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유사한 모양을 그렸다. 20
세기
초에는 물리학에서만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작용 범위’ ‘뷔그너-자이츠 영역’ 등 여러 개의 다른 이름으로 불렸다.때문에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이 독립적인 연구 분야로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은 얼마 ... ...
보일의 공기탄성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17
세기
공기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진공에 대한 관심과 맞닿아 있다. 당시 대부분의 학자들은 자연이 진공 상태를 싫어하기 때문에 자연 상태에서 아무 것도 없는 완전히 텅 빈 공간 같은 것은 없다고 믿었다.하지만 1643년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토리첼리는 실험으로 진공이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했다. ... ...
50년 안에 로봇 반란 일어날 수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초대형 화산 폭발’이었다. 로봇은 50년 정도면 인류를 따라잡을 것으로 예상됐다. 21
세기
말까지 온실가스 양이 2배로 늘고 세계 평균기온이 최소 2℃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5만년에 한번씩 일어나는 초대형 화산폭발도 지구를 화산재로 덮어 인류 멸종을 가져온다.‘바이러스 만연’과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다음 해마나 편도체 등에 전기생리학적 방법으로 일정한 자극을 가했다. 그 결과 자극의
세기
와 빈도에 따라 시냅스가 강화되거나 약화되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때 시냅스가 강화되는 현상을 LTP(Long-Term Potentiation), 약화되는 현상을 LTD(Long-Term Depression)라고 한다.LTP는 초기와 후기로 나뉜다. 초기는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먹으면서 맛과 향을 충분히 음미한다면 절대 과식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19
세기
프랑스의 법률가이자 미식가였던 프랑스의 장 앙텔므 브리야 사바랭은 1825년 펴낸 저서 ‘미식 예찬’에서 “미식을 대식이나 폭식과 혼동해서는 안 된다”며 “미식법의 목적은 가능한 한 가장 좋은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자신이 누구인지, 주변 환경은 어떤지 어떻게 알까? 이 같은 의식에 대한 물음은 수십
세기
에 걸쳐 철학자들의 주요 관심거리였다. 그러나 최근 신경과학자들에게도 점점 중요한, 그리고 해결 가능한 문제로 다가오고 있다.“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는 데카르트의 말은 신경과학적 입장에서 ... ...
이전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3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