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가스와 먼지로 구성된 성운이 아니라 제멋대로 생긴 은하다. 실제로 NGC 346이 성운이다. 19
세기
까지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뿌옇게 보이는 은하를 성운이라고 오해했다. 마젤란성운 대신 마젤란은하라는 용어가 맞는 표현이다.소마젤란은하는 지구에서 21만 광년 떨어진 채 우리 은하를 돌고 있는 ... ...
우주의 신비를 찾아나선 대서사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대표 걸작, 20
세기
에 가장 많이 읽힌 과학 고전.칼 세이건의 ‘코스모스’(Cosmos)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책은 1980년 미국에서 1판이 출간된 이래 영어판만 600만부가 팔리고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70주 연속 실린 ‘초 베스트셀러 과학책’이다. 과학과 조금이라도 인연을 맺고 있다면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신호와 신경말단에서 분비되는 화학 신호에 의해 이뤄진다고 할 수 있다.마음의 구조20
세기
초 오스트리아 신경과 의사 지그문트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은 인간의 마음을 보는 관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이론이다. 프로이드는 마음을 의식, 전의식, 무의식으로 나눠 의식은 정신의 가장 ... ...
7. 디자인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모양을 보면 그의 시도가 무모하지만은 않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소두 교수는 “지난
세기
는 똑같은 디자인을 대량생산하던 산업시대였다”며 “아르제니아가 내놓는 다양한 디자인은 수제품처럼 독특함을 보여준다”고 말했다.KAIST 산업디자인과에서 감각적인 조형물과 세련된 모형을 볼 수 ... ...
의학과 지질학의 만남, 메디컬 지질학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광물생약이 제시돼 있다.현대적 관점에서의 메디컬 지질학에 대한 관심은 19
세기
로 거슬러 올라간다. 많은 무기질 원소가 미량이나마 인간과 포유동물의 건강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것을 인식하게 된 것이다. 그 사례가 바다로부터 멀리 떨어져 고립된 내륙 지역인 알프스 지방의 기록이다. 이 지역의 ... ...
보약 못지않은 녹황색 채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영양학자들이 모인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한 적이 있다. 공식행사를 마친 뒤 학자들은 ‘21
세기
의 건강식품은 무엇일까’라는 주제를 의논한 끝에 채소와 콩, 발효식품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한국의 김치와 된장은 채소와 콩을 이용한 발효식품으로 최고의 건강식품이다. 우리는 행복하게도 이 같은 ... ...
창의세상 -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가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einstein.org 3월 14일은 무슨 날일까. 보통 화이트데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시사잡지 타임이 20
세기
최고의 인물로 선정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생일이다. 특히 올해는 아인슈타인이 3월 광양자 가설, 5월 브라운 운동, 6월 특수상대성이론이라는 세가지 획기적 이론을 발표해 과학사에서 ‘기적의 ... ...
나노 세계의 마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것이 아름답다’는 말을 들어 본 적 있나요? 21
세기
첨단 산업의 슬로건인 나노 기술을 일컫는 말이에요. 나노라는 말은‘난쟁이’를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 어인‘나노스’에서 유래되었는데 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나노 기술은 바로 원자나 분자 정도의 아주 작은 크기의 물질을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때 발생하는 빛이 오로라이기 때문이다. 만약 지자기 역전이 일어나기 전에 자기장의
세기
가 약해진다면 자외선을 보호하는 지구의 오존층이 파괴돼 작물생산량이 떨어지고, 피부암 등 암 발생 비율도 높아질 수 있다.지자기 역전 가능성을 놓고 과학자들의 견해는 두 갈래로 나뉜다. 최상의 ... ...
쓰나미 지난 7월 예견 - 정부 외면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해구 아래에서 유라시아판 밑으로 들어간다. 시 교수는 “두 판이 미끄러지지 않고 수
세기
에 걸쳐 맞물려 있다가 어느 순간 갑자기 수m가 어긋나며 큰 지진을 일으킨다”며 지진이 주기성을 지니며 일어나는 이유를 설명했다. 역사상의 패턴과 최근 관측결과를 종합할 때 대형 지진과 그로 인한 ... ...
이전
303
304
305
306
307
308
309
310
3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