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헤는수학] 초신성 사냥꾼 ‘날이면 날마다 오지 않는’ 초신성수학동아 l2020년 08호
- 4681장의 사진을 분류했습니다. 그 결과 757개의 초신성 후보 천체를 발견했고, 연구팀은 그중 190개 천체의 변화를 추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2017년부터 현재까지 15개의 초신성을 공식적으로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새로 발견한 초신성에 대한 기록에 해당 초신성을 발견한 시민 천문학자의 ... ...
- [기획] 세거나 나열하면 보인다! 카드 마술수학동아 l2020년 08호
- 0을 스페이드와 클로버처럼 무늬가 검정 카드, 1을 하트와 다이아처럼 무늬가 빨간 카드 중 하나로 바꾸는 거예요. 주의할 점은 카드의 순서와 종류를 외워야 하므로 쉽게 외울 수 있는 조합으로 카드 뭉치를 만들어야 한다는 거죠. 자, 이제 오른쪽에 있는 클로버 A 카드가 맨 위에 있게 카드 뭉치를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08호
- 쉽고 재미있어 보여 그때부터 참여하고 있어요! Q 문제를 푸는 것과 내는 것 중에서 무엇이 더 좋은가요?저는 문제 푸는 것을 더 좋아해요.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고, 문제를 해결했을 때의 성취감도 좋아요. 문제를 풀 때는 우선 문제에서 핵심적인 조건과 구해야 하는 것을 ... ...
- [팩트체크] 올해 역대급 폭염 찾아올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지구의 노력으로 나타나는 기후 현상이 과거와 달라졌음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그 이유 중 하나로 지난 100년간 화석연료 사용과 같은 인류의 활동이 불러온 지구 온도 상승세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지구온난화는 데이터로 입증된 전 지구적 기후 현상입니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 ...
- to MARS # 생명체의 흔적을 찾아서 우리가 화성에 가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드러나고 있다.올해 7월에는 NASA의 마스 2020을 포함해 아랍에미리트(UAE)의 ‘아말’과 중국의 ‘톈원(Tianwen)-1’ 등 동시에 세 개의 화성 탐사가 진행된다. 유럽연합도 올해 7월을 목표로 ‘엑소마스(ExoMars)’ 임무를 준비해왔지만 낙하산의 기술적인 문제로 2022년으로 발사가 미뤄졌다. 2024년에는 ... ...
- CERN의 미래 가속기, FCC 지을까, 말까과학동아 l2020년 08호
- 통해 알아내고 싶은 우주의 비밀이 많다. 우주와 만물의 근원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 중에서 초대칭 이론이 맞는지 아니면 다른 이론이 맞는지, 그도 아니면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물리현상이 등장할지, 아직 밝혀지지 않은 게 많다. 그래서 FCC 건설 계획이 발표된 것만으로도 아무도 걷지 ...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전문가들도 골격이나 관절을 영화 속 좀비처럼 꺾는 건 불가능하다. 심지어 우리 몸의 중추신경계인 척수가 끊어질 만큼 심하게 몸이 꺾여도 좀비는 멀쩡하다. 두 영화 모두 좀비들은 총이나 도끼로 뇌를 파괴하지 않는 한 끊임없이 움직이는 것으로 나온다. 뇌만 무사하다면 신체의 모든 신경이 ... ...
- [조광래의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운명의 9분, 대한민국에 '성실실패'란 존재하는가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나로호 발사조사위원회는 절반의 성공이 아니라 실패와 연구진의 무능함에 조사를 집중했다. 발사조사위원회는 5개월에 걸친 조사 끝에 페어링이 정상적으로 분리되지 않은 이유를 2가지로 추정해 발표했다. 하나는 발사 후 214.4초에 페어링 분리 명령이 발생한 이후 페어링 분리장치로 고전압 ... ...
- 성층권에 드론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더 좋은 성능의 임무 장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EAV-3의 탑재 능력을 높이는 연구에도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답니다.성층권 태양광 드론은 전세계적으로 개발이 한창이에요. 성층권에서는 태양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좋은 데다, 공기 밀도가 작아 드론이 적은 에너지로 한곳에 오래 머물 수 있기 ... ...
- [과학뉴스] 물방울 모양 별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4423가 물방울 모양인 이유는 근처에 있는 적색왜성 덕분이라고 발표했어요. 적색왜성의 중력이 HD74423을 끌여당겨서 물방울 모양으로 만들고, 한쪽으로만 진동하게 한 거예요. HD74423과 적색왜성은 쌍성계로, 서로를 약 1.6일 만에 공전할 만큼 매우 가까이에 있거든요. 논문의 공동 저자인 영국 센트럴 ... ...
이전3073083093103113123133143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