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d라이브러리
"
중
"(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STEP ③ 유전체 복제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바이러스는 유전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대충 많이’ 만드는 전략을 구사한다. 이
중
살아남는 바이러스만이 전파될 것이다. 그야말로 적자생존의 세계다. 대표적인 예로 헤르페스바이러스는 만들어지는 자손의 50%가 복제가 불가능한 결손바이러스다. 복잡하고 정교한 유전체 복제 과정을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 세포에 멈프스바이러스가 감염된 소의 혈청을 주입한 뒤 멈프스바이러스의 당단백질
중
하나인 헤마글루티닌의 양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시험관의 헤마글루티닌 양은 뚜렷하게 증가했다.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증식시키는 데 성공한 것이다.연구팀은 곧바로 폴리오바이러스에도 도전했다.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또 다른 수상자인 러시아 출신의 메치니코프는 동물학자였다. 1882년 불가사리를 연구
중
이던 그는 불가사리 유충에 가시를 찔러 넣으면 특정 세포들이 가시 주위에 몰려든다는 사실을 우연히 발견했다. 유충의 면역세포가 외부 침입자인 가시를 공격하는 과정이었다. 메치니코프는 이 현상을 ... ...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콜레라균에 감염된 동물에서 뽑아낸 혈청은 콜레라균에만 방어력을 갖는다. 혈청 속 항체가 항원 특이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는 수많은 실험과 연구를 통해 검증 ... easter egg hunt)이며, 훌륭한 업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대답을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질문하는 것이
중
요하다”고 말했다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복합체를 ‘H항원’ 유전자라 불렀다. 추가 연구를 통해 생쥐가 가진 80여 개의 H항원
중
H2항원이 다른 개체군에 대한 거부반응 여부를 결정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비슷한 시기 프랑스 국제수혈센터에 있던 장 도세는 수혈을 많이 받은 환자일수록 혈액 속에 백혈구를 파괴하는 항체가 많다는 점에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개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수지상세포는 포식 작용을 하는
중
항원의 일부를 떼어다가 그 특징을 간직한 단백질(후에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라 명명됐다)을 자신의 막 표면에 발현시키는 능력이 있다. T림프구나 B림프구는 수지상세포 표면에 나타난 항원 유래 단백질을 ... ...
만능 인플루엔자 백신 Universal flu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가 사람 세포에 결합해 유전체를 삽입하는 과정에서
중
요한 역할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을 항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파이크 단백질은 돌연변이가 자주 일어나는 대표적인 부위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도 박쥐 세포에 결합하는 스파이크 단백질이 ... ...
실험실 안에 성층권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보다 정확한 수치를 얻을 수 있지요. 연구팀은 올해 초 UAS를 업그레이드한 뒤, 3월
중
UAS에서 테스트한 라디오존데 장비들을 성층권으로 올려보낼 예정이에요. 김용규 책임연구원은 “UAS를 사용해 전 세계에서 사용하는 라디오존데를 국제 표준에 맞춰 평가할 수 있게 되었다”면서 “앞으로는 UAS로 ... ...
[가상인터뷰] 기름 잡으러 폴라리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수행할 수 있어. Q 물 밖으로 나오지 않아도 위치를 알릴 수 있다고? A 응! 기존 자율수
중
로봇들은 GPS 센서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수면으로 올라와 GPS 신호를 받아야 했어. 만일 바다 표면이 얼면 바다 위로 올라오지 못할 수도 있었어. 반면, 난 바닷속에서도 위치를 파악할 ... ...
[통합과학 교과서] 정전기를 피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있어요. 공기
중
의 입자들도 정전기를 피해갈 수 없기 때문이지요.우리 주변의 공기
중
에는 셀 수 없이 많은 입자들이 떠 다녀요. 에어로졸 형태의 침방울이나 세균, 작은 먼지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지요. 그런데 이 입자들이 빛을 받으면서 (+)나 (-) 전하를 띠게 돼요. 어떤 물질이 빛 에너지를 받으면 ... ...
이전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