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장의 과학] 개구리, 도롱뇽이 형광으로 반짝반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개구리와 도롱뇽의 몸에서 빛이 난다? 이게 무슨 소리일까요? 지난 2월 27일, 미국 세인트클라우드주립대학교 제니퍼 램 교수팀은 ‘대부분의 양 ...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가능성에 대해 말했답니다. 용어정리* 무족영원 : 양서류 중 다리와 발이 없는 동물. 지렁이나 뱀을 닮았다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도시가스 사용량 예측한다고?수학동아 l2020년 07호
- 도시가스 검침기 고장이나 오류 등으로 도시가스 사용량을 잘못 측정한 경우 사용료를 어떻게 내야 할까요? 5월 25일 국가수리과학연구소(이하 수리연)는 과 ... 말했습니다. 현재 NIMS 풀림은 손글씨 숫자를 인식하는 데이터 분석 방법을 공모 중이며, 12월 31일까지 진행할 예정입니다. ... ...
- [수학뉴스] ‘7차원 초구’ 미스터리 풀렸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구처럼 둥그런 모양, 음수면 말의 안장처럼 오목한 모양입니다. 지금까지 7차원 초구 중 일부만 곡률이 음수라는 게 증명됐는데, 케린 교수가 모든 7차원 초구의 곡률이 음수라는 걸 밝힌 거죠. 1960년대에 처음 제기된 뒤 약 60년 동안 풀지 못한 문제를 해결한 겁니다. 케린 교수는 “10년 동안 ... ...
- [기획] Maker. 게임 밸런스의 핵심은 수학!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공격력을 결정하는 무기에는 인챈트 수치가 있는데, 이 수치가 올라가면 적을 명중시킬 확률이 높아져. 보통 +6까지는 인챈트가 100% 가능하지만, 그 이상에서 인챈트를 시도할 경우 정해진 확률에 따라 아이템이 증발할 수도 있어. 만약 인챈트 실패 확률이 20%라면, 10번을 시도했을 때 2번은 무기가 ... ...
- [이달의 수학자] 끈기로 꽃피운 소신 스티븐 스메일수학동아 l2020년 07호
- 교수는 수학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3대 상인 ‘필즈상’과 ‘아벨상’, ‘울프상’ 중에서 필즈상과 울프상을 받은 세계적인 수학자입니다. 누가 봐도 최고라고 하기에 손색이 없지만 30세가 되기 전까지 그의 인생은 최고와는 거리가 멀었습니다.미국 최고의 명문대로 불리는 ‘아이비리그’에 ... ...
-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 등 분절된 유전체를 가진 바이러스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이는 유전자 중 항원 단백질이 완전히 새로운 아형으로 바뀌는 것이다. 이 때문에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신종으로 모습을 바꾸고, 주기적으로 유행을 일으킨다. 항원소변이는 유전체에 돌연변이가 생기는 것으로, 매년 ... ...
- 2019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예측 어려운 신종 괴물의 출현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중국 전역으로 바이러스가 퍼져 나갔고, 수천 명의 감염 사례가 확인됐다. 1월 23일 새벽, 중국 정부는 우한시 봉쇄를 발표했다. 초유의 도시 봉쇄 조치에도 바이러스는 계속 전파됐다. 국내에서는 1월 20일 첫 확진자가 발생한 이후 2월 말을 기점으로 확진자 수가 치솟았다. 2월 20일에는 첫 사망자도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비중이 크고 그만큼 바이러스의 숙주가 될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박쥐가 포유류 중에서 유일하게 날 수 있는 종이라는 점도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큰 장점이다. 박쥐는 땅과 하늘을 가리지 않고 움직이며 새로운 서식처를 찾고, 최대 1300km를 이동하기도 한다. 활동 반경이 넓은 박쥐 덕분에 ... ...
- 자연살해세포...침입 즉시 공격, 진정한 킬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간이나 골수, 림프절, 비장, 편도선, 흉선에서 성숙해 혈관을 순환하며, 림프구 중에서는 가장 크다.자연살해세포는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화학물질에 의해 활성화된 뒤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종양세포(암세포)를 인식한다. 이후 세포독성 T림프구처럼 퍼포린과 그랜자임 단백질을 차례로 ...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많은 물질을 인식할 수 있는 무수히 많은 항체를 몸속에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중 자주 쓰는 항체는 더 많이 살아남고, 덜 쓰는 항체는 적게 살아남는다는 것이다. 예르네의 이론은 이후 틀린 것으로 밝혀졌지만, 1957년 호주의 바이러스 학자 프랭크 버넷이 제안한 클론 선택설의 토대가 됐다 ... ...
이전3103113123133143153163173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