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굴절"(으)로 총 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과학동아 l200205
- 빛과 원자가 눈이 맞았을 때도 큰 변화가 일어난다. 그것은 바로 파장에 따른 물질의 굴절률이 급격하게 변한다는 것이다. 즉 ${n}_{g}$가 큰 값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이것은 빛의 비선형 현상에 속한다.만약 원자에 흡수되는 근처의 파장에 해당하는 사인파들로 빛을 모아 펄스를 만든다면, 이 빛의 ... ...
- 진공에서보다 빠른 빛, 상대성이론에 어긋날까 ?과학동아 l200205
- 굴절률이 급격하게 변하기 때문이다. 다만 다른 점은 이 변화값, 진동수에 대한 물질의 굴절률의 미분값 부호가 서로 다를 뿐이다. 느린 빛의 경우 이 미분값이 양으로 수백만쯤 된다. 반대로 진공에서보다 빠른 빛을 얻으려면 이 부호가 음이 돼야 한다.진공에서보다 빠른 빛을 만들기 위해서는 느린 ... ...
- 엽기적인 X선 이야기과학동아 l200204
- 달리 전기장이나 자기장을 주어도 진로를 굽히지 않고, 거울이나 렌즈에도 쉽게 반사나 굴절을 일으키지 않았다. 그는 이 광선의 정체를 알 수 없다고 해서 X선이라고 명명했다. 이 업적으로 뢴트겐은 1901년 최초의 노벨물리학상 수상자가 됐다.보통 사람 같았으면 특허를 신청했을 터인데 뢴트겐은 ...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과학동아 l200203
- 보는 맛천체망원경이 있다면, 좀더 명확히 토성식을 관측할 수 있다. 보통 구경 60mm 굴절망원경 같은 소형망원경이어도 토성은 아주 잘 보이므로 이 정도의 장비면 충분하다. 망원경에서는 저배율이어도 테를 두른 토성의 모습을 확인하는데 그리 어려움은 없다.하지만 토성식을 관측하는데는 다소 ... ...
- 지옥에서 발견한 오렌지색 하늘 - 금성과학동아 l200202
- 돌로 덮여있었다. 베네라의 컬러사진 모퉁이에는 하늘도 살짝 보였다. 두꺼운 대기의 굴절현상으로 왜곡돼 신기루처럼 굉장히 가까이 보이는 오렌지색 하늘이었다. 금성탐사가 시작되고 22년만에 지옥의 행성 금성에서 인류는 오렌지색 하늘을 올려다볼 수 있었던 것이다 ... ...
- IT - 디지털 마술방망이의 신화과학동아 l200201
- 상황을 판단하는 소프트웨어, 마이크로칩이 빛을 굴절시킨다. 이미 소재에 전압을 가해 굴절지수를 바꾸는 기술은 휴대폰으로 유명한 모토롤러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문제는 낮은 전압으로 최대의 반응을 얻는 소재를 개발하는 것과 안경이니 만큼 자연스러운 모양에 편안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 ...
- 10월 8일 새벽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진다과학동아 l200110
- 보이지 않는다. 토성식을 제대로 관측하기 위해서는 역시 망원경이 필요하다. 대개 60mm 굴절망원경 같은 소형망원경이어도 토성의 테는 잘 보이니까 이 정도면 충분하다. 사실 토성식은 눈으로 본다는 것 자체만으로도 엄청난 감동을 느낄 수 있다. 망원경으로 고배율 상태에서 토성의 절반이 달에 ... ...
- 선글라스 원리 알면 효과 두배과학동아 l200108
- 코팅을 통해 렌즈 뒷면의 반사가 일어나지 않는 것이 바로 소멸간섭을 통해서다. 렌즈에 굴절율이 렌즈보다 작은 막을 적당한 두께로 코팅하면 렌즈 뒷면으로 나아가 표면에서 반사되는 파와 막을 투과해 렌즈와 만나는 경계면에서 반사되는 파가 정확하게 위상이 반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 ...
- 3D 애니메이션이 탄생시킨 시험관아기과학동아 l200108
- 아니다. 특히 사람을 CG로 표현하는 작업은 수많은 물리적 요소가 반영돼야 한다. 즉 빛의 굴절과 반사, 근육운동, 바람의 속도와 중력에 따른 머리카락의 출렁임, 1백80여개의 안면근육 움직임, 5백85여개의 신체관절 회전운동 등 과학적 정보가 오차 없이 표현돼야만 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CG는 많은 ... ...
- 광섬유로 운전자의 음주 측정과학동아 l200107
- 높다. 따라서 광섬유로 들어간 빛은 굴절돼 밖으로 빠져나간다.반대로 노볼락의 굴절률이 광섬유보다 작으면 빛이 광섬유 내부에서 반사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것이 바로 광섬유에서 빛이 전달되는 방법이다. 점점 알코올 농도가 높아지면 광섬유를 빠져나오지 못하는 빛의 양이 많아진다. 결국 ... ...
이전28293031323334353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