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활용
반사
끝바꿈
어미변화
대기차
어형 변화
d라이브러리
"
굴절
"(으)로 총 489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동묘지의 도깨비불
과학동아
l
199906
하고 나누어지기도 한다. 먼 곳의 불빛이 밀도가 다른 대기층을 통과하면서 불규칙하게
굴절
돼 도깨비불로 보인다는 것이다.아직 어느 이론도 완벽하지는 않지만, 도깨비불의 정체는 미구에 밝혀질 것이다. 그러나 도깨비까지 사라지지 말았으면 하는 마음이다. 손때 묻은 물건이 도깨비로 변하는 ... ...
무지개는 왜 원형일까
과학동아
l
199904
비췄을 때처럼 해를 향하고 있는 물방울 표면 전체로 들어간다. 이 빛은 물방울 안에서
굴절
하고 색깔별로 다르게 진행한다. 입체적으로 보면 물방울로부터 나오는 빛은 화살처럼 나오는 것이 아니라 아이스크림 콘같은 고깔 모양이다. 빨간색 빛은 중심각이 42˚인 고깔 모양으로, 보라색 빛은 ... ...
우주가 팽창한다
과학동아
l
199904
설립됐던 시카고대학 교수로 초빙됐을 때다. 그때 서던캘리포니아대학에서 세계 최대의
굴절
망원경을 만들려다가 자금난으로 포기한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망원경 제작에 관심이 많던 22세의 젊은 천문학 교수에게는 구미가 당기는 얘기였다. 그래서 대학총장을 찾아가 서던캘리포니아대학이 만든 ... ...
만유인력을 처음으로 이해한 한국인 최한기
과학동아
l
199904
인해 우리 눈에 약간 떠 보인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던 것이다. 그는 또 대기
굴절
로 천체들이 지평선 부근에서 떠 보이는 현상도 정확히 이해하고 있었다. 달이나 별은 실제보다 수평선 위로 떠올라 보이는데, 이유는 지구 둘레를 감싸고 있는 몽기(蒙氣) 때문이라고도 썼다. 몽기는 지금의 대기에 ... ...
겨울 대삼각형과 오리온의 사냥개들
과학동아
l
199901
예측했다. 그 뒤 유명한 망원경 제작자인 앨번 클라크가 1862년에 새로 만든 직경 47cm
굴절
망원경을 시험하던 중 8.5등급인 작은 동반성을 발견하고 ‘강아지’(Pup)로 이름지었다. ‘강아지별’은 시리우스와 비슷한 표면온도를 가진 별임에도 10등급이나 더 어두워 시리우스 밝기의 1만분의 1에 ... ...
가을밤에 만난 이웃 은하들
과학동아
l
199809
0.5도 북서쪽 위에 보이는 작은 은하로 1773년 메시에가 발견했다.중국에서도 1793년에
굴절
망원경으로 M31을 관측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안드로메다자리 베타별과 델타별 지역에 해당되는 규(奎)자리에 성운성단을 의미하는 백기(白氣)가 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삼각형 자리는 안드로메다자리 ... ...
보이는 빛 보이지 않는 빛
과학동아
l
199809
하고 인체에 밀착될수록 효과가 높다. 왜냐하면 옷이 헐렁해 굴곡이 있으면 적외선이
굴절
되고 간섭을 일으켜 선명한 상을 얻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물론 흐리고 비오는 날 태양빛이 구름에 의해 흡수돼 적외선이 지상에 도착하기 어려운 날보다는 말고 밝은 날이 적당하다 ... ...
번개
과학동아
l
199807
오랫동안 울리는 것은, 벼락이 칠 때 공기의 온도가 장소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소리가
굴절
되거나 반사해 서로 다른 길을 통과하기 때문이라고 한다.번개를 유도하는 피뢰침번개를 무서워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벼락 때문이다. 벼락은 전체 방전의 약 40%를 차 지한다. 이 때의 전하덩어리를 ... ...
밤하늘을 여는 창 망원경 만들기
과학동아
l
199807
케플러는 갈릴레이식 망원경의 단점이었던 좁은 시야와 낮은 배율을 개선한 케플러식
굴절
망원경을 만들어냈다. 1668년에 뉴턴은 청동을 갈아 만든 오목거울을 써서 뉴턴식 반사망원경을 만들었다. 이후 망원경은 다양한 형식으로 발전을 거듭해 오늘날에는 지름 10m에 이르는 거대한 망원경을 ... ...
④ 고대에도 태양관측 있었다
과학동아
l
199807
바로 옆의 기체, 해무리나 무지개, 그리고 여러 개의 태양이 나타나는 것과 같은 햇빛의
굴절
현상 등을 철저히 관측했다. 태양 주변의 모습은 대낮에도 맨눈으로 관찰할 수 있었을 것이다. 특히 기상 조건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현상을 기록한 것으로 보아 철저한 육안 관측을 했을 것으로 ... ...
이전
31
32
33
34
35
36
37
38
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