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암호화폐 없는 블록체인 가능한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유지되는 것이다. 결국 공개형 블록체인은 비트코인 같은 적절한 보상이 없이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유지하기 어렵다. 반드시 암호화폐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이 정도의 동기 부여가 될 수 있는 보상이 있어야 발전할 수 있다. 관리 주체가 운용하는 비공개형 블록체인반면 비공개형 블록체인에서는 ... ...
- [교과연계수업] 대한민국 금메달! 스켈레톤! 최첨단 과학 장비, 봅슬레이, 루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탄소섬유 + 아라미드 섬유 : 탄소섬유는 가벼우면서도 단단해서 썰매 본체를 이루는 데 쓰였다. 한편 아라미드 섬유는 방폭, 방탄 특성이 있어 충돌 위험이 있는 부분에만 사용했다. 러너 : 썰매의 날은 트랙이나 날씨의 특성에 맞게 교환할 수 있다. 무게 중심 : 강철을 넣어 무게중심을 아래에 ...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다리로 자연스럽게 걷는 로봇인 ‘아시모’가 만들어졌답니다. 로봇이 걷는 것도 어려운데, 스키는 어떻게 타는 걸까요? 스키를 타는 사람이 방향을 돌릴 때엔 무게중심을 이용해요. 오른쪽으로 돌고 싶으면 오른쪽 무릎을 굽히면서 허리를 오른쪽으로 틀지요. 그러면 무게중심이 오른쪽으로 ... ...
- [에디터 노트] 과학은 올림픽을 더 재미있게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떴다. 1988년 서울올림픽에서는 최초로 컴퓨터 타임키핑이 적용돼 선수들의 기록이 모두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됐다. 2004년 아테네올림픽에서는 결승선에 통과하는 순간 초당 1000장이 찍혔고, 2012년 런던올림픽에는 양자 타이머가 도입돼 100만 분의 1초까지 기록됐다. 그러니 2월 평창 ... ...
- [과학뉴스] 피부 줄기세포로 근육 만들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람의 피부세포에서 유래한 유도만능줄기(iPS) 세포를 근육 조직으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월 9일자에 발표했다. 피부에서 실제로 수축과 이완을 할 수 있는 근육조직을 만든 건 이번이 처음이다. iPS세포는 피부세포와 같이 이미 분화가 끝난 체세포를 분화가 되기 ... ...
- [과학뉴스] 독감 바이러스, 변신 지치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실을 알아냈다(위 그림).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가 효과적인 독감 백신을 설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결과는 ‘플로스 병리학(PLOS Pathogens)’ 1월 18일자에 실렸다. doi:10.1371/journal.ppat.100679 ... ...
- [과학뉴스] 전문지식 이해하는 AI 개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그 결과 인공지능의 정답률은 약 92%로 전문 의료진(약 66%)보다 높았다. 문제를 푸는 데 걸리는 시간도 사람보다 약 11만 배 빨랐다. 생명의료 분야에서만 하루에도 3000편 이상 새로운 논문이 쏟아지는 정보 홍수 사회에서 인공지능이 전문가의 의사결정 지원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doi:10.2196 ... ...
- [과학뉴스] 전기뱀장어 모방한 고전압 에너지 발생기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일정한 간격으로 직렬 배치한 것이다. 그 결과 수 mm의 크기에서 1V 정도의 전압을 얻는 데 성공했다. 박 교수는 “작은 부피에서도 높은 전압을 발생 시킬 수 있어 인체 삽입형 의료기기나 마이크로로봇, 나노로봇 등에 활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나노에너지’ 2017년 12월 1일자에 ... ...
- [과학뉴스] 우세안 없으면 난독증 생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전 세계에서 7억 명이 알파벳 ‘b’와 ‘d’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인구 10명 중 1명꼴이다.우세안(주로 사용하는 눈)이 없어 거울처럼 반전된 이미지 2개가 뇌에 모두 전달돼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프랑스 렌대 연구진이 이런 난독증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원인을 밝혀냈다. ...
- [초고층빌딩] 불에 타도 끄떡없는 기둥 세워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건물의 뼈대가 되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열화를 입기 때문이다. 소방대원이 접근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고, 화재 이후에 재건축이 어려운 초고층 건물의 특성 상 건물이 화재에 무너지지 않고 버티도록 하는 내화 시스템은 필수적이다. 한화건설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팀은 불에 타지 않는 ... ...
이전3433443453463473483493503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