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종목6] 아이스하키, 선수 위치 실시간 분석 ‘ 언더독의 반란’ 꿈꾼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위치와 속도, 궤적 등의 정보를 기록해 효과를 보고 있다. 감독과 코치들이 전술을 짜는 데에도 도움이 될 뿐 아니라, TV 화면에 공격하는 팀의 선수와 수비수 사이의 거리, 이동 속도, 패스 궤적 등이 표시돼 시청자에게 볼거리도 제공한다. 2016년부터는 훈련에 한해 선수의 심장박동 수와 탈수 ...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양식하는 종묘장을 구축했다. 산호초 생태계는 일종의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겪는데, 건강한 산호가 많을수록 건강한 생태계가 구축된다. 건강한 산호의 생식력이 그렇지 않은 산호에 비해 4배 이상 높기 때문이다. 여기서 힌트를 얻은 연구진은 실험실에서 키운 건강한 아기산호를 퇴화된 ...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가리지 않고 쓰인다. EPO 분석은 여러 개의 항체를 이용하는데, 시료 하나를 분석하는 데 3일씩 걸린다. DCC는 이번 평창 동계올림픽을 위해 ‘유전자 도핑’을 테스트하는 기술도 준비해왔다. 유전자 도핑은 유전자 교정 기술인 ‘크리스퍼’를 이용해 근육량이나 순발력, 지구력 등을 결정하는 ... ...
- [Origin] 몸 밖의 몸,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장 신경망까지 구현하는 연구로 확장했습니다. 그 결과 체외에서 장 운동을 유도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doi:10.1038/nm.4233 이제 장의 신경망이 없어 장 운동에 문제가 생기는 히르쉬스프룽병(Hirschsprung disease)과 같은 질환의 비밀도 곧 풀리게 될 겁니다. 현재 줄기세포 연구자들은 오가노이드에 더욱 ... ...
- [별난이름정리] 공짜 점심은 없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강아지 다섯 품종을 분류하는 데 최적화된 기계학습 모형을 만들어놓고 일곱 품종을 데이터로 넣었을 때도 제대로 분류할 수 있을 거라는 헛된 기대를 하지 말라는 것이지요. 다시 일곱 품종을 구분할 수 있는 최적의 알고리즘을 개발해야 하지요. 어떤 문제든 해결할 수 있는 만능 알고리즘을 ... ...
- [과학뉴스] 갯가재의 강력 펀치 비밀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다리에서도 유사한 줄무늬 구조가 발견된다”며 “고성능 합성 소재를 개발하는 데 연구 결과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02/adma.20170529 ... ...
- [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않았기 때문이다. 모 선수는 작년 하반기 체력 훈련을 통해 무너진 균형을 회복하는 데 집중했다. 송 책임연구위원은 “체력적인 부분은 전성기 시절의 상태를 거의 회복했다”며 “키네틱 체인의 균형도 좋아졌고, 스타트뿐만 아니라 후반 속도도 향상됐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 ...
- [종목4] 봅슬레이, 최첨단 ‘과학 썰매’로 金 사냥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뒤집혔을 때 선수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게 했다. 썰매의 진동을 최소화하는 데도 심혈을 기울였다. 썰매 진동이 클 경우 안정적으로 주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먼저 썰매의 섀시 부분을 바닥과 최대한 가깝게 설계해 무게중심을 최대한 낮췄다. 무게중심이 높으면 바람과 얼음과의 ...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자세를 훈련했다. 도약 자세는 스키점프대에서 공중으로 도약할 때의 자세를 말하는데, 초기 속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로 활공 자세만큼이나 기록에 큰 영향을 미친다. 대표팀은 평소 하루 몇 차례밖에 할 수 없었던 실전 훈련을 하루 종일 반복하면서 도약할 때 바람의 저항이 가장 작은 자세가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연구진은 실험용 토끼의 뇌를 냉동 보존한 지 5년 만에 별 다른 손상 없이 해동하는 데 성공했다. 토끼를 대상으로 한 연구지만 뇌는 냉동인간 기술의 난제로 남아있는 만큼 냉동인간 기술의 돌파구가 제시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한국에 들어온 냉동인간 기술이 처음 접목될 분야는 이식용 냉동 ... ...
이전3453463473483493503513523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