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구온난화 주범 vs. 청정에너지 진흙화산의 두 얼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ROV)의 팔이 진흙화산의 암석을 들어올리고 있다. 진흙화산의 지형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시료다.2. ROV에 달린 카메라를 이용해 선실에서 원격으로 조종하는 모습.3. 아라온호에서 ROV를 바다로 내리고 있다.4. 420m 진흙화산의 중심부에서 얻은 시료. 진흙 사이에 하얀색의 얇고 딱딱한 ... ...
- [Culture] 우리집 고양이는 왜 화장실을 못 가릴까요?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관계는 아주 미묘한 만큼 신경 써서 관찰하지 않는다면 그 관계를 알아차리기 어려운데요. 동거묘들끼리 서로 핥아주는지, 온몸을 스치며 인사를 하는지, 자주 같이 잠을 자는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 이런 친밀한 관계를 ‘선호하는 동료(preferred associate)’라고 부릅니다. 만약 이런 행동을 보이지 ... ...
- [Career] 땀과 공기 통하는 숨 쉬는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거뒀다. 고분자물질이 부피가 변하는 과정에서 고정되지 않으면 측정값에 오류가 생기는데, 코팅으로 고분자물질을 고정시키면서도 부피가 잘 변하게 한 것이다. 정 연구원은 “다양한 방식으로 시도하던 끝에 필름을 3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두께로 코팅하면 가장 효율이 좋다는 ... ...
- 학종 준비의 시작, 진로 설정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위해 필요한 가장 중요한 역량은 국제 관계에 대한 지식일 것이다. 국제 관계를 파악하는 데 기본이 되는 지식은 나라별 역사다. 한중일 3개국의 관계가 그렇고, 독일과 폴란드의 관계가 그렇다. 외교란 현실적 실익의 문제이면서 동시에 국민적 정서와 내부적 정치의 문제이기도 하다. 이 학생은 ... ...
- Part 3. 쌍둥이 눈결정이 있을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있지 않을까? 리브레히트 교수는 실제로 쌍둥이라 불러도 좋을 만한 눈결정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온도와 습도, 공기 흐름 같은 조건을 조절해 원하는 모양으로 인공 눈결정을 만들 수 있는 실험장치를 만든것이다. 쌍둥이 눈결정을 성장시키기 위해서는 결정이 자라나는 환경을 엄격하게 제어해야 ... ...
- [영재교육원 탐방1]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하지만 국가 발전을 위한다면 과학영재를 잘 키워놓는 게 중요합니다. 인재를 키우는 데는 두 가지가 중요하지요. 하나는 지식을심어주는 겁니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지식 외적인 면에서 성숙하게 만들어주는 것입니다. 바로 도전정신, 창의력, 혁신적인 생각 등이지요.” 다시 한번 말하지만, KAIST ... ...
- Part 2. 화이트해커가 필요해!수학동아 l2018년 02호
- 할 수 있다는 겁니다. 휴는 ‘직비’라고 불리는 장치를 이용해 스마트폰과 통신하는데, 직비는 와이파이와 같은 통신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를 악용하면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모든 기기를 감염시켜 특정 서버를 마비시킬 수 있지요. 다행히 발견 즉시 취약점을 해결해, 현재 휴는 매우 ... ...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소녀가 추위를 막아줄 거야! 네버 얼론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정도는 서로 비슷합니다. 행동 변화가 물리적인 양만큼이나 기후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데 중요한 거죠. 새로운 모형에 따르면 단열 주택을 짓거나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구매하는 것처럼 한번 실천하면 오래 영향을 미치는 행동이 기후 변화를 가장 잘 막을 수 있습니다. 오로라가 내 머리로 축구를? ... ...
- Part 3. 로봇이 스키를 타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다리로 자연스럽게 걷는 로봇인 ‘아시모’가 만들어졌답니다. 로봇이 걷는 것도 어려운데, 스키는 어떻게 타는 걸까요? 스키를 타는 사람이 방향을 돌릴 때엔 무게중심을 이용해요. 오른쪽으로 돌고 싶으면 오른쪽 무릎을 굽히면서 허리를 오른쪽으로 틀지요. 그러면 무게중심이 오른쪽으로 ... ...
- [과학뉴스] 피부 줄기세포로 근육 만들어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사람의 피부세포에서 유래한 유도만능줄기(iPS) 세포를 근육 조직으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월 9일자에 발표했다. 피부에서 실제로 수축과 이완을 할 수 있는 근육조직을 만든 건 이번이 처음이다. iPS세포는 피부세포와 같이 이미 분화가 끝난 체세포를 분화가 되기 ... ...
이전3463473483493503513523533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