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4 포트폴리오 만들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태풍을 알고, 수학을 알면 백전불태! 자동차보다 빠르고
우리나라
를 덮고도 남는 태풍 뱅글뱅글 도는 태풍의 모양 태풍의 과거, 그리고 현재 100% 예측은 어려워 슈퍼컴퓨터보다 수치예보모델이 더 중요해 태풍 이름을 미리 맞혀 보자~! 세계의 수학자들이여,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에스컬레이터의 방향 모두우측통행을 기준으로 설치돼 있다. 따라서 좌측통행에 익숙한
우리나라
사람들은 ‘무의식중에’ 혼란을 겪게 된다.시뮬레이션도 우측보행 지지그렇다면 보행방향이 도대체 얼마나 보행효율에 영향을 미칠까. 유 박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알아보기로 했다.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비롯해 열대 우림의 하천에 사는 열대어는 pH 6.5~7의 약산성 물에서 산다. 이런 경우
우리나라
수돗물을 염소만 제거한 채 사용해도 무방하다.그런데 아프리카의 말라위 호수나 탕가니카 호수에 사는 시클리드는 pH가 8에 이르는 알칼리성 물에서 산다. 물이 고여 있는 호수에다가 식물이 부족한 ... ...
미래의 연구자를 위한 최적의 환경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함께 빈 좌대 두 개가 놓여 있다. ‘미래의 한국과학자’라는 명패가 달린 이 좌대는
우리나라
과학계의 노벨상 수상자 탄생을 바라며 비워둔 것이다. 학생들은 빈 좌대를 보며 노벨상 수상에 대한 의지를 북돋운다. 학교를 방문한 방문객이 사진을 찍기 위해 가장 많이 찾는 명소기도 하다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선박에 따라 최적의 안내를 펴는 ‘자동위치식별신호표지’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우리나라
영해를 빈틈없이 감싸고 있는 수천여 개의 항로표지를 관리하는 일. 그 중심에 낭만과 바닷가의 추억으로 대변되는 등대가 서 ... ...
“평범한 우등생보다 잠재력이 중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특징은 무엇인가?가장 파격적인 특징은 점수에 의한 서열화가 없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대학들은 각 전형요소의 비율에 따라 점수를 합산하고 그 점수에 따라 일렬로 세운 뒤 커트라인에 따라 합격자를 결정했다. 그러나 포스텍은 지원자의 재능을 다면적으로 평가하고 종합적으로 ... ...
로켓은 하루 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계약에 따르면 두 번 중 한 번이라도 실패할 경우 러시아는
우리나라
에 1단 로켓을 한 번 더 제공해야 한다는 조항이 있기 때문에 발뺌을 하는 것일 수도 있다. 현재 한국-러시아 공동조사위원회가 1단 로켓의 폭발 원인을 찾고 있다.이처럼 우주로 가는 길은 험난하다. ... ...
대중교통 정복기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바뀌는 경험도 여행의 재미 중 하나다. 이러한 재미를 느끼고 싶다면 열차가 제격이다.
우리나라
의 열차는 크게 무궁화호, 새마을호, 고속철도(KTX)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모두 열차만의 독특한 요금 방식을 공유한다. 열차는 한 번 출발하고 멈추는 데 많은 에너지가 들기 때문에 최저운임이라는 ... ...
이상한 기계나라의 앨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MP3에 이어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컴퓨터도 속속 등장하고 있어요. 이미 2009년 6월에는
우리나라
기업인 삼보컴퓨터에서 ‘루온키즈컴’이라는 어린이용 터치 컴퓨터가 나왔답니다. 2009년 10월에는 마이크로소프트가 터치로 움직이는 운영체제인 ‘윈도7’을 내놓아 이 프로그램을 이용한 다양한 터치 ... ...
발자국이 쿵쿵~, 공룡이 깨어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중생대, 특히 백악기 지층에서는 공룡과 새 발자국 화석이 흔히 함께 나온다고 한다.
우리나라
에는 그 동안 6종의 새 발자국 화석이 알려져 있었는데, 크기가 5㎝가 채 안 되는 이 발자국도 ‘코리아나오르시스 함안엔시스’ 등 기존에 알려진 것과 비슷한 새의 발자국으로 추정된다. 걸었을까 ... ...
이전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0
3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