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개인게놈 시대 미리 맛보기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위험해진다. 인종별 유전형 분포 정보도 있는데, 중국인과 일본인은 대부분이 GG형이다. 우리나라 사람 다수도 아마 GG형일 것이다. 반면 유럽인은 절반 정도만 GG형이고 TT형이 10%나 된다.COMT라는 유전자의 SNP는 성격에 영향을 미친다. 이 유전자는 뇌의 전전두엽 도파민 수치를 낮추는 효소를 ... ...
- 3D TV 아직도 안경 끼고 보세요?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방식’으로 2차원 영상을 3차원으로 변환할 수 있는 휴대전화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우리나라에서는 2006년에 LG전자와 LG필립스가 렌티큘러 방식을 이용한 3차원 모니터를 개발했고, 같은 해 삼성전자에서도 61인치 크기의 3D 디스플레이를 선보였다.각각에 쓰인 기술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크게 ...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웰즐리대에 입학했다. 이 대학은 미국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이 다닌 학교라고 해서 우리나라에서도 유명하다. 1968년 여름 맥클린톡은 친구들과 한 컨퍼런스에 초대됐는데, 그곳에서 어떤 연구자가 암컷 쥐들을 함께 키우면 배란 시기가 같아진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참석자들은 이런 현상의 ... ...
- 2010 개인게놈 시대 개막 선언과학동아 l2010년 06호
- 받았다”며 “컨퍼런스에 초대된 13명 가운데 2명(김성진 교수, 길 부사장)의 게놈분석을 우리나라가 맡았다”고 말했다. 미국 케임브리지=강석기 기자 sukki@donga.com 개인게놈프로젝트 이끄는 하버드대 조지 처치 교수 얼굴 반을 덮은 수염과 연한 녹색 눈, 키가 190cm는 돼 보이는 거구(나중에 PGP ... ...
- 세계 최장 새만금 방조제에 가다!과학동아 l2010년 06호
- 작은 돌 여러 개를 쇠로 만든 망태에 넣어 2~3t의 큰 바위처럼 만든 것.돌망태 공법은 우리나라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기술이다. 돌망태는 큰 바위를 구하기 어려울 때 대신 사용할 수 있고, 큰 바위와 달리 모양을 여러 가지로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공간에 알맞게 채워 넣을 수 있다. 또 큰 바위는 ... ...
- 세계 최고층 건물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만들지만, 초고층 빌딩에 쓰이는 콘크리트는 물과 시멘트 비율이 1대 5정도나 된다. 우리나라 기술팀은 고강도 콘크리트가 빨리 굳게 하기 위해 시멘트와 물이 빨리 반응하도록 돕는 조강물질을 넣었다. 이 조강물질 덕분에 콘크리트가 10시간이면 단단하게 굳어서 3일에 건물 한 층을 지을 수 있게 ... ...
- 내 돈을 안전하게 지켜라!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안전벨트 미착용 등 안전운전 불이행이 12만 건, 안전거리 미확보가 2만 건이 넘었다. 우리나라 사람이 얼마나 위험에 둔감한지 말해 주는 대목이다. 아빠 : 내일 비가 올 확률이 10%라는 말이 무슨 뜻일까?우철 : 10%? 비가 올 가능성이 거의 없다는 거 같은데…. 정확히는 모르겠어요.아빠 : 그럼 전체 ... ...
- 나노응용시스템공학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분야에서 나노과학을 이용해 새로운 소자, 회로, 시스템을 활용한 제품들이 만들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2000년대에 와서 나노과학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이 분야가 공학에 적용돼 실생활에 필요한 응용분야에까진 아직 미치지 않고 있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나노응용시스템공학이 이용되는 ... ...
- 신비로운 구름, 오색 채운과학동아 l2010년 05호
- 권층운에서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달무리와 같은 원리로 생긴다. 최근 10년간 채운이 우리나라에서 관측된 횟수는 총 4회인데, 채운을 평생에 한 번 보기 힘들다는 말은 다소 과장된 측면도 있다. 그러나 채운은 관측할 수 있는 장소가 한정돼 있으며 유지 시간이 30~40분 정도로 짧기 때문에, ... ...
- 식물에게 한 수 배우기수학동아 l2010년 05호
- ‘텃밭에서 배우는 수학’이라는 것인데 1999년부터 미국 전역에서 활용하고 있지요. 우리나라에서도 농촌진흥청이 초등학교 수학 수업에 시범적으로 운영한 적이 있어요.이 프로그램에 따르면 줄기에 잎이 달린 각도를 재거나 다양한 모양의 잎을 회전시키면서 도형의 이동을 배울 수 있어요. ... ...
이전3573583593603613623633643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