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피라미드에 숨겨진 퍼즐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
박사
님, 더 이상은 못 가겠어요. 덥고 무겁고 힘들고….”“조금만 참아라. 저기 보이는 피라미드까지만 가면 정사면체의 비밀을 하나 알려 주마.”“정사면체의 비밀! 뭔데요? 지금 알려 주시면 안 돼요?”“허허. 정팔면체와 정사면체를 이용해 피라미드 모양의 거대한 정사면체를 만들려고 ... ...
미션! 이상한 공장에서 고양이를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과학실험실에 참여하고 싶은 친구는 엽서에 정성을 가득 담아 사연을 보내 주세요. 섭섭
박사
와 함께 과학 실험도 하고 ‘어린이과학동아’에도 실리는 일석이조의 기회! 그림 :박순구참여독자 : 손현아(울산 개운초 5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때보다는 적지만 B에게 일부를 떼어준다. 미국 워싱턴에 있는 세계은행의 카를라 호프
박사
는 “돈을 나누려는 동기는 그런 행동을 기대하는 사회의 규범을 어기지 않으려는 욕망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가장 인색한 선택(한 푼도 안 줄 경우)을 하면 너무 야비한 사람으로 비칠 것이기 때문이다 ... ...
‘곰보 자국’이 달 과거 알려줄까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분석했다. 이 장치는 달 표면이 태양열을 받은 뒤 내보내는 적외선을 감지한다.그린하젠
박사
는 “놀랍게도 일부 지역에서 산소를 함유한 규소와 알칼리 장석이 많이 발견됐다”며 “이 성분은 일반적으로 달 표면에서 찾기 어렵고 오히려 지구를 구성하는 성분에 가깝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고분자 떡’이 되는 거에요.”변덕스럽고 까다로운 고분자당시 장 교수와 오준학
박사
과정 연구원은 고분자가 걷잡을 수 없게 달라붙는 현상을 피하기 위해 수백 번의 실험을 거듭했다. 변덕스럽고 까다로운 고분자는 외부 조건에 예민하게 반응했다. 마그네틱 바를 돌리는 속도 하나에도, ... ...
부정적인 허물 벗어버리는 마음 웰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긍정적인 생각을 떠올리도록 억지로라도 연습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
박사
는 강원도 홍천에서 자연과 함께 즐기며 심신을 안정시키는 치유의 집 ‘힐리언스 선(仙)마을’의 촌장이기도 하다.‘건강한 죽음’ 고민하면 정신이 건강하다웰빙과 함께 웰다잉 즉, ‘잘 죽는 방법’에 대한 ... ...
연세대 한국판 미디어랩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론심화 과정 이후에는 미래융합연구소 인턴을 하며
박사
학위를 받을 수 있다.MIT미디어랩에는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한다. 황당해보이는 아이디어가 실현되기까지는 안정적인 투자 구조가 배경에 있다. 미디어랩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김재완 씨는 ... ...
뇌병변도 막지 못한 청년 과학자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좋겠다”며 “장애인을 위한 학업 환경 개선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김 씨는 미국에서
박사
과정을 마친 후 귀국하면 ‘사업가’로 변신하겠다는 계획도 갖고 있다. 로봇 팔을 개발해 장애인을 돕고 싶지만, 한편으로는 큰돈을 벌어 자신 같은 어려운 사람들을 경제적으로도 돕고 싶다고 했다. ...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문제보다 환경에 적합한 기술을 개발하느냐가 핵심이라는 것이다. 실러글릿
박사
는 “IT 전문가들은 일반인이 어떤 기술을 원하고 무엇을 쓰고 싶어 하는지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면서 “지속가능해야 한다는 전제를 깔고 있는 친환경기술이나 의료기술과 같이 누구에게 언제나 꼭 필요한 기술을 ... ...
하얀 이 검은 이, 자연선택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은폐색이 중요한 진화의 요인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미국 유타대 생물학과 사라 부시
박사
와 동료들은 새의 깃털에 기생하는 ‘깃털 이’의 몸 색깔을 조사한 결과 깃털 색깔과 비슷한 경우가 많았다고 ‘아메리칸 내추럴리스트’ 10월호에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조류 가운데 같은 과(科)에 ... ...
이전
355
356
357
358
359
360
361
362
363
다음
공지사항